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월의 추천도서(2177) 남자다움이 만드는 이상한 거리감 - 벨 훅스 1. 책 소개 미국에서 2004년에 출간된 이후 꾸준히 사랑받아온 벨 훅스의 숨은 명저 『남자다움이 만드는 이상한 거리감』. 흑인 여성운동가로서 백인 여성들의 페미니즘 운동이 지닌 한계를 지적하며 페미니즘의 새로운 길을 제시했던 훅스는 계급과 여성에 초점을 두었던 앞선 저서들에서 한발 더 나아가 남성과 남성성이라는 주제에 다가선다. 가히 ‘페미니즘의 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여성들의 목소리가 뜨거웠던 2016년부터 페미니즘 책들이 우리 서점가에 무수히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페미니즘이 많은 여성들 사이에서 열렬한 지지와 환호를 받은 반면, 대다수 남성들과 일부 여성들에게는 아직 페미니즘에 대한 여러 오해와 편견이 있는 듯하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페미니스트라고 말하는 사람에 대해 남성을 적대시한다고 보는..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2176) 남아 있는 날들의 글쓰기 - 에드위지 당티카 1. 책 소개 죽음을 탐구할 수 있는 실마리와 단서를 제시한 문학 작품을 만나다.세계가 주목하는 에드위지 당티카가 어머니에 대해 이야기한 개인적인 기록이자 죽음에 대한 글쓰기를 고찰한 『남아 있는 날들의 글쓰기』.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직접 경험하기도 전인 어린 시절부터 죽음에 대한 공포가 유난히 심해, 죽음에 대해 스스로 무감각해지고 싶은 마음에 언제나 죽음을 소재로 한 글을 써왔던 저자에게 글쓰기는 지금까지 상실과 죽음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어 왔다. 지난 수년 동안, 죽음에 대한 글쓰기에 도전하고 이를 예술의 경지로 승화시킨 많은 작가들의 작품을 반복해 읽은 저자는 어머니의 암 투병과 죽음을 계기로 자신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던 죽음에 대해 되짚는다. 토니 모리슨,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2175) 남아 있는 나날 - 가즈오 이시구로 1. 책 소개 젊은 나날의 사랑은 지나갔지만, 남아 있는 나날에도 희망은 존재한다.글로벌 스타로 거듭난 젊은 거장을 통해 우리 시대 첨단의 문학을 선보이는 「모던클래식」 제34권 『남아 있는 나날』. 일본 태생의 영국 작가로 현대 영미권 문학을 이끌어가는 2017년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가즈오 이시구로가 문단과 독자의 폭발적 반응을 불러일으킨 장편소설이다. 집사로서 평생을 보낸 남자 '스티븐스'의 6일간의 여행을 따라가고 있다. 근대와 현대가 뒤섞이면서 가치관의 대혼란이 나타난 1930년대 영국의 격동기를 지난 스티븐스의 과거도 들여다본다. 스티븐스의 가족과 연인, 그리고 30여 년간 모셔온 옛 주인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우리 삶의 가치를 일깨우고 있다. 특히 인생의 황혼 녘에 깨달아버린 잃어버린 사..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2174) 남북 화해시대의 방송 저널리즘 - 한국방송진흥원 1. 책 소개 기존의 방송저널리즘을 비판하고, 민족의 화해와 화합을 위해 방송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고 또 해야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는 책이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이기현박거용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에 재직하고 있으며,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80년대 말부터 교육운동을 하면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교권실장과 공동의장, ‘전국교수노동조합’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1.서문 2.남북 화해를 위한 방송 저널리즘의 역할과 한계 3.북한 관련 보도 프로그램의 경향과 문제점 4.서독 방송의 통일 관련 보도 프로그램 5.결론: 남북 화해를 위한 방송 저널리즘의 지향점 출처 : 본문 중에서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2173) 남북한 문화차이와 언론 - 한국언론재단 1. 책 소개 남북한 언론에 대한 연구가 사회문화적 관점을 결여함으로써 양 언론의 본질적인 차이를 드러내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 가시적이진 않지만 표면의 차이를 빚어내는 근원적인 힘이 무엇인가를 규명한 연구보고서. 언론을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보고 인문학적, 해석학적으로 접근했다. 출처 : 교보문고 2. 목차 제1장. 서론 ...9 1. 문제제기:1990년대 문학적 동질성과 차이에 대한 남한사회의 통일 담론 ...10 2. 연구의의:낙관적 통일/동질성 담론의 현실적 한계 ...13 3. 연구문제:문화 구조 그리고 언어의 차이에 대한 논의의 필연성 ...17 4. 연구가설:언론의 근대성과 전근대성 ...22 5. 연구방법:사회문화적 접근을 통한 차이의 규명 ...23 6. 보고서의 구성 ...24 제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