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월의 추천도서 (4495) 섬진강 시인들 1. 책소개 ‘엠엔북스’, 문학뉴스의 출판사가 펴낸 두 번째 책 문학뉴스가 운영하는 출판사 엠엔북스가 남정국 시집 『불을 느낀다』에 이어 두 번째로 펴내는 시집이다. 섬진강 유역에 사는 중견 시인 6명의 자선 대표작을 모은 시집 『섬진강 시인들』이다. 섬진강 유역은 오래전부터 김용택 시인을 비롯해 한국을 대표하는 주요 시인들이 터를 잡고 뛰어난 시편들을 전국의 독자에게 전하고 있는 지역으로도 유명하다. 섬진강 유역에 사는 6인의 중견 백학기(순창), 복효근(남원), 장진희(곡성), 박두규(구례), 박남준(하동), 이원규(광양) 시인이 저마다의 빛깔로 빚은 자선 대표작 시 60여 편을 묶어 발간한 이번 시집은 섬진강 유역 시인들의 시선집(詩選集)으로는 처음이다.‘가슴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의 백학..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494) 바움가트너 1. 책소개 2024년 4월 30일, 폴 오스터가 세상을 떠난 뒤그의 1주기에 맞춰 출간되는 생애 마지막 작품기억과 삶, 상실과 애도, 우연과 순간을 엮어 나가며삶을 둘러싸고 있는 관계와 사랑에 대한 애틋한 사유를 전하는폴 오스터의 빛나는 최종 장(章) 이것은 삶을 가득 채우는 부재와 지속되는 상실의 기록이다. 당연한 슬픔이 있지만, 단지 슬픔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상실 속에서도 바움가트너는, 그리고 오스터는 상상력의 힘, 〈아니, 그냥 간단하게, 꿈의 힘〉을 발견한다. 허구이지만 진실보다 더 강력한 그 무엇을. - 금정연(작가)〈떠오르는 미국의 별〉이라는 찬사 속에 데뷔하여 반세기 넘도록 소설과 산문 모두에서 발군의 기량을 발휘하며 미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견고히 자리 잡은 작가 폴 오스터. ..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493) 내면일기 1. 책소개 사랑, 애도와 위기, 고독, 자기성찰, 여행소설가, 화가, 철학자 등 87인의 내밀한 글쓰기“일기는 독특한 증언이자 매번 사라져 버린 의식에 대한 탐구다” 감정과 사색을 담아내며 문학적 가치를 획득하는 일기일기란 “날마다 그날그날 겪은 일이나 생각, 느낌 따위를 적는 개인의 기록”이다. 수많은 개인이 저마다의 일상을 적어 내려가고 저마다의 역사를 기록해 나간다. 일기는 필연적으로 개인의 기록물이기에 타인과 공유되거나 공공의 성격을 띠지 않는다. 하지만 유명인일 경우 얘기가 다르다. 그들의 기록은 대중의 관심을 끌고 어떤 경우에는 일기 그 자체가 한 시대의 역사를 증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안네의 일기』가 대표적이다.“일기 속의 나는 세상의 나보다 더 진실하다”(프란츠 카프카), “일..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492) 행복해질 권리 1. 책소개 “무엇을 소유해도 당신은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소비사회가 만든 불만족과 무력감의 늪에서 벗어나인생이라는 예술을 가꾸라는 바우만의 지혜로운 해법! 20세기 최고의 지성이자, 근대 이후의 사회를 ‘액체 현대’로 규명하며 세계적 명성을 얻은 지그문트 바우만의 미출간 역작이 21세기북스에서 출간되었다.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출간된 이 책에서 바우만은, 단지 물질적 상품만이 아니라 사랑, 정의, 희망 같은 추상적 가치마저 상품화된 현대 소비사회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현대 사회는 끊임없이 개인의 욕망을 자극하고, 소비를 통해서만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는 착각을 조장한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것을 소비하더라도 욕망은 결코 완전히 충족될 수 없다. 그러므로 소비사회는 우리에게 불확실성과 불..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491) 세상을 보는 눈, 융합 지성사 1. 책소개 테네 신전에서 뇌과학 연구소까지, 소크라테스에서 마르크스까지인간 정신이 이루어낸 지성의 연대기 대중의 ‘과학하기’와 ‘과학 이해하기’가 하나의 문화가 되는 사회를 지향하는 유미과학재단의 송만호 이사장과 《과학오디세이: 유니버스&라이프》의 저자 안중호 교수,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홍기빈 소장, 서울대학교 철학과 이은수 교수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학문 간 융합을 통해 인류 사상의 역사를 탐험한다.21세기를 살아가는 현재 전 세계는 하나의 지구적 문명으로 통일되어 있다. 역사와 언어, 문화를 막론하고 세계 거의 모든 나라가 정치적 민주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를 표준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명백히 서구 문명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서구 문명이 어떻게 등장하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