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월의 추천도서 (3939) 시(詩)여, 내 손을 잡아줘 1. 책소개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김현자 문학비평가,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1974년 「아청빛 언어에 의한 이미지」로 중앙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되면서 문학비평가로 활동해왔으며, 한국시학회 회장, 한국기호학회 회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장을 지냈다. 텍스트의 심미적 구조와 수사적 장치를 규명하는 내재적 문학 연구 방법을 선구적으로 개척해온 대표적인 학자로 손꼽힌다. 한국문학의 근원적 상상력과 미적 구조를 밝히는 연구로 이화학술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는 『시와 상상력의 구조』, 『아청빛 길의 시학』, 『한국 현대시 읽기』, 『한국시의 감각과 미적 거리』, 『현대시의 서정과 수사』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서정주 시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 「한국 여성시의 계보..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3938) 팬덤의 시대 1. 책소개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마이클 본드 (Michael Bond) 〈뉴사이언티스트〉 수석에디터, 영국왕립학회 수석연구원을 지낸 저명한 저널리스트로 〈네이처〉, 〈뉴욕타임스〉, 〈BBC 퓨처〉, 〈데일리 텔레그래프〉, 〈파이낸셜 타임스〉 등 유수 언론에 기고해왔다. 과학, 심리학, 행동과학의 최신 연구와 다양한 사례 조사를 통해 인간 행동의 비밀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사회적 행동이 주요 탐구 대상인 그는 유엔환경계획, 영국왕립학회를 비롯해 전 세계 정부 기구와 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진행한다. 감정 전염, 군중심리, 집단사고 등 사회심리학의 성과를 흥미롭게 담아낸 저서 《타인의 영향력》으로 2015년 영국심리학회 저술상을 수상했다.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3937) 축복을 비는 마음 1. 책소개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김혜진 201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어비』 『너라는 생활』, 짧은 소설집 『완벽한 케이크의 맛』, 중편소설 『불과 나의 자서전』, 장편소설 『중앙역』 『딸에 대하여』 『9번의 일』 『경청』 등이 있다. 중앙장편문학상, 신동엽문학상, 이호철통일로문학상 특별상, 대산문학상, 2021·2022 젊은작가상, 김유정문학상을 수상했다.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미애 20세기 아이 목화맨션 이남터미널 산무동 320-1번지 자전거와 세계 사랑하는 미래 축복을 비는 마음 해설 마음과 구조·이소 작가의 말 출처:본문중에서 4. 책속으로 모든 게 지나치게 정답 같은 질문들과 대답들. 옳은 것이 분명한 이야기들. 좋은 사람이라면 마땅..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3936) 문예 비창작: 디지털 환경에서 언어 다루기 1. 책소개 케네스 골드스미스의 『문예 비창작: 디지털 환경에서 언어 다루기』 한국어판이 출간되었다. 온라인 아방가르드 아카이브 우부웹(UbuWeb)의 창립 편집자이며 온라인 시 아카이브 펜사운드(PennSound)의 책임 편집자이기도 한 케네스 골드스미스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시학과 시적 실천을 가르치면서 시집 몇 권과 『문예 비창작: 디지털 환경에서 언어 다루기』(2011), 『인터넷에서 시간 낭비하기』(2016) 등을 펴냈고, 텍스트에 바탕을 둔 개념적인 미술 작업을 펼쳐 왔다. 저자는 이 책에서 디지털 시대에 “비독창적 천재(Unoriginal Genius)”로서 “비창조적 글쓰기(Uncreative Writing)”를 구현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증명하고 실천한다. 출처:본문중에서 2...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3935) 성인 지옥에 가다 1. 책소개 노동자 마을로 걸어간 어느 사제 이야기!​ 불란서 노동사제 이야기, 광산촌 출신 노동사제가 가난한 마을, ‘사니’에 들어가 노동자의 열악한 환경속에서 함께 고통으 겪으면서도 하느님 사랑 안에서 희망을 간직하는 이야기. 1950년대 프랑스 교회는 산업사회의 발달과 함께 대두된 사회 문제 앞에서 새로운 시대적 사명을 자각하고 빈민층과 노동자들의 복음화를 위해 비그리스도교적 환경에 복음의 ‘누룩’을 심는 방향으로 선교를 전환한다. 이에 소명을 느끼는 사제를 양성해 사제가 없는 마을이나 노동자 마을로 파견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노동사제의 활동이 시작된다. 이 책의 주인공 피에르 신부는 프랑스 파리 교외 공장지대에 가서 스스로 공장 노동자가 되어 가난한 노동자들과 함께 일하고 생활하며 그들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