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월의 추천도서 (3934) 서양 선비, 우정을 논하다 1. 책소개 신분과 국경을 초월해 18세기 조선에 우정의 시대를 연 서양 현인의 금언집을 고전학자 정민 교수의 번역과 해설로 읽는다 조선 지성사를 깊이 탐구해온 고전학자 정민 교수가 16~17세기 동서양 문물 교류의 선구였던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과 마르티노 마르티니의 《구우편》을 새롭게 번역하고 풀어낸 신작. 키케로, 세네카, 아우구스티누스 등 그리스·로마 시대의 격언과 일화부터 《성경》과 《이솝우화》까지. 옛 성현들의 우정에 대한 금언집에 상세한 해제와 영인본, 화보 등 풍성한 자료를 더했다. 서학과 유학이 다르지 않음을 증명해 동아시아와의 접촉면을 확장하고 천주교 신앙을 전파하는 데 토대를 마련한 《교우론》과 《구우편》. 성호 이익, 연암 박지원, 청장관 이덕무 등 조선 후기 지식인들 사이에서 유..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3933) 마음아, 어디 있느냐 1. 책소개 입적 이후 10년, 비로소 세상에 공개되는 한국불교 대강백 제월 통광 스님의 마지막 문장 한암 중원, 탄허 택성 대종사로 이어지는 강맥을 이어 각성 스님, 무비 스님과 함께 ‘탄허 3걸’로 칭송받아 온 우리나라 불교 대표 강백, 제월 통광 스님. 오직 수행 정진과 후학 양성에 출가인으로서의 삶을 바친 스님은 또한 역사 속 큰스님들의 수행처로 알려졌으나 폐허가 된 지리산 칠불사를 복원하여 다시금 ‘동국제일선원’으로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글을 물으러 찾아오는 이들에게 항상 환희심을 내어 친절하고 곡진하게 가르쳐 주셨다는 스님. 아쉽게도 더 이상 글을 물을 수도, 법문을 청할 수도 없지만, 다행스럽게도 스님이 생전 남기신 글들을 책으로 엮을 수 있게 되었다. 경전과 고승어록을 역해한 몇몇 서..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3932) 아웃퍼포머의 힘 1. 책소개 가짜 뉴스와 SNS(소셜미디어)는 ‘진짜 언론’과 ‘유사 언론’의 경계까지 무너뜨리고 있다 전 세계 언론사와 저널리스트들은 유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VR) 기술이 급진전하는 가운데, 초등학생부터 90세 노인까지 개인들도 뉴스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든 금세 만들고 있어서다. 가짜 뉴스의 범람과 유튜브 같은 SNS(소셜미디어)의 득세는 ‘진짜 언론’과 ‘유사 언론’의 경계까지 무너뜨리고 있다. 100년 넘게 통용되어온 미디어 법칙이 파괴되고 있는 지금, 한국 언론은 어떻게 생존하고 존재 가치를 증명할 수 있을까? 올해 34년차 현역 언론인인 저자는 해법을 복잡한 이론이나 디지털 투자, 인력 증원·처우 개선 같은 외부 변화보다는 저널리스트들의 머리와 심장, 즉 내적인 ..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3931) 글 쓰는 여자들의 특별한 친구 1. 책소개 읽고 쓰며 친구와 함께 살아간 여자들이 발명한 귀하고도 드문 문학적 우정에 대한 기록! 버지니아 울프, 코코 샤넬, 시몬 드 보부아르, 한나 아렌트, 이 시대 가장 위대한 이름을 남긴 이들에게는 더욱 특별한 친구가 있었다! “모든 시대, 모든 여성들의 우정에 대한 기념비로서 나는 이 책을 글 쓰는 책상 앞에 놓아둘 것이다. 그러면 지칠 때마다 다시 우정의 힘을 얻어, 또 읽고 쓸 것이다.” ─ 팟캐스트 「여자 둘이 토크하고 있습니다」 김하나 추천!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장영은 문학 연구자. 여성들이 글을 쓰며 자기 자신을 어떻게 이야기했는지 분석하는 일에 관심이 많다. 자서전, 회고록, 일기, 편지, 기행문, 연설문, 소설, 대담 등 다양한 양식의 자기 서사에 주목하고 있다. ..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3930) 카뮈의 말 1. 책소개 『이방인』과 『페스트』의 작가 알베르 카뮈 인간의 위기를 마주한 그의 호소력 짙은 연설들 20세기를 대표하는 지성이자 세상의 부조리를 고발하는 작품들로 당대의 문제들을 날카롭게 지적한 알베르 카뮈의 강연록 모음집 『카뮈의 말』이 출간되었다. 1937년부터 1958년까지 이루어진 서른네 편의 강연 및 연설 들을 엮은 이 책은, 우리에게 『이방인』 『페스트』 등으로 익숙한 카뮈를 온전한 육성으로 새로이 만나게 해준다. 철학가, 작가, 극작가 그리고 언론인으로서 활발히 이 세계에 참여했던 그이기에, 그의 견해를 듣고자 국내외의 사람들은 수많은 연설과 회담의 장으로 카뮈를 초대했다. 자신이 그럴 만한 자격을 갖추었는지를 끊임없이 의심했기에 자주 주저하고 망설였지만, 카뮈는 결국 그들 각자의 불행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