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1월의 추천도서(1797) 화담집 - 서경덕 1. 책 소개 서경덕의 사상은 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흔히 이라고도 말한다. 그는 「이기설」과 「태허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만물의 생성과 우주 변화의 원체(原體)로서의 를 인정하고 있다. 는 하나이지만 동시에 음양(陰陽)의 둘이기도 하다. 이 가 지니고 있는 이(二)의 성질이 서로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모든 존재들이 성립하고 우주의 모든 존재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이라는 것이다.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개성 출신. 본관은 당성(唐城). 자는 가구(可久), 호는 복재(復齋)·화담(花潭). 아버지는 부위(副尉)호번(好蕃)이며, 어머니는 한씨(韓氏)이다.1502년(연산군 8) 『서경』을 배우다가 태음력의 수학적 계산인 일(日)·월(月) 운행의 도수(度數)에 의문이 생기자 보름동안 궁리하여 스스로 ..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1796) 홍루몽 - 조설근 1. 책 소개 『홍루몽 세트』는 중국 근대소설의 효시로 꼽히는《홍루몽》 완역본으로, 18세기 중반에 나온 명작소설이자 나온 지 2백여 년이 지났지만 지금까지 전 세계 20여 종의 언어로 번역되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인간의 감성세계를 정교하게 그려낸 이 소설에는 중국인의 의식구조와 생활습속이 담겨 있다. 또한 인생의 진리와 인간관계의 이치에 대한 깨달음을 전해준다.출처 : 교보문고2. 저자 저자 조설근(曹雪芹)(1715?~1763?)은 본명은 조점曹霑, 자는 몽완夢阮, 호는 설근雪芹, 근계芹溪 또는 근포芹圃이다. 청나라 때 강희제康熙帝의 신임을 받아 강녕직조江寧織造 겸 양회순염감찰어사兩淮巡鹽監察御史를 지내고, 시詩와 사詞, 희곡에 조예가 깊은 조인曹寅의 손자로 태어나 유복한 유년시절을 보내며 문학적 ..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1795) 홍까오량 가족 - 모옌 1. 책 소개 중국 민초들의 생생한 항일 투쟁기! 중국 문단의 대표적인 작가로 급부상한 모옌의 대표작. 소설의 일부 내용을 장이모우 감독이 영화 '붉은 수수밭'으로 제작하였으며, 1920년대 중반부터 1940년대 초반까지의 중국 산둥 성 까오미 현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일본군이 주둔하고 있는 까오미 현은 온갖 착취와 부역 등 일제의 만행에 시달리고 있는데, 서서히 대오를 정비하며 일본군에 맞서는 중국 민초들의 모습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소설은 문둥병을 앓고 있는 고량주 양조장집 아들에게 팔리듯 시집가던 따이펑리옌이 당시 꽃가마를 메던 위잔아오와 사랑에 빠져 '나'의 아버지를 잉태하는 시점에서 비롯된다. 위잔아오는 양조장집 부자를 살해해 따이펑리옌이 그 안주인이 되도록 한 뒤에 양조장에 일꾼으..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1794)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 정창권 1. 책 소개 16세기의 조선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조선과는 사뭇 다른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 이시기 사람들은 가족관계에서 아들과 딸을 가리지 않았고 친족관계에서 본손과 외손을 구별하지 않았다. 혼속과 결혼생활도 남자가 여자집으로 가서 혼례를 올리고 그대로 눌러사는 장가와 처가살이 혹은 남귀여가와 친정생활이 널리 유행하였다. 그에 따라 아들과 딸의 차별없이 균분상속이 이루어졌고 제사도 자녀들이 서로 돌려가며 지내는 윤회봉사가 관행이었다. 이처럼 16세기는 여성사의 입장에서 보면 대단히 흥미롭고 매력적인 시대임이 분명한데 이 시기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으며 어떤 의식을 지니고 있었을까?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지은이 정창권 고려대학교 및 동 대학원 국문과 졸업(문학박사). 현 고려대학교 강사 및 한국..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1793) 홍길동전 - 허균 1. 책 소개 한국의 대표 고전소설『홍길동전』소설가 김탁환이 풀어 쓰고 백범영 화백이 삽화를 곁들인『홍길동전』. 치밀한 사상사적 연구가 바탕이 된 소설들을 발표해온 김탁환이 조선을 대표하는 문장가 허균이 남긴 최초의 한글소설『홍길동전』을 풀어 옮겼다. 완판 36장본, 경판 24장본, 그리고 완판 36장본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영인본을 함께 수록하였다. 허균의 세계관과 이상이 그대로 녹아 있는 작품인『홍길동전』은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을 파헤치고 새로운 영웅과 이상향을 탄생시킨 혁명적 유토피아 소설이다. 또한 홍길동이라는 영웅의 활약뿐만 아니라 적서 차별, 탐관오리의 횡포, 승려의 부패, 조정의 무능함 등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제반 문제를 폭넓게 다룬 사회소설이기도 하다. 이러한『홍길동전』은 시대를 초월해 .. 더보기 이전 1 ··· 573 574 575 576 577 578 579 ··· 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