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7월의 추천도서 (141) 국가와 혁명 - 니콜라이 레닌 1. 책소개 우리 시대의 잊혀진 고전, 『국가와 혁명』 레닌은 부르주아 국가의 해체와 새로운 사회주의 건설의 전략과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국가와 혁명』을 썼다. 이 책에서 그는 수정주의자와 기회주의자로부터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고, 프랑스 및 러시아의 혁명 경험 위에서 마르크스주의 국가론을 발전시킬 것을 강변한다. 아고라 재발견총서로 재출간된 이 책은 사회주의 혁명사상의 고전 중 가장 중요한 가치를 지닌 책으로 평가받아왔다. 그의 사상에 대한 동의 여부를 떠나 혁명가, 정치가는 물론 지성계와 문화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끼쳐왔다. 마르크스의 『공산당선언』이 공산주의 사회에 대한 이상을 소개한 책이라면『국가와 혁명』은 이를 현실로 옮길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서양의 어느 정.. 더보기
7월의 추천도서 (140) 국가(國家) (발췌.C) - 플라톤 1. 책소개 모든 정치사상의 근본인 플라톤의 『국가』 천병희 선생의 번역으로 만나다 ‘정치란 무엇인가’라고 묻는 책들의 원조이자 ‘이상국가’ 문헌의 원조인 플라톤의 『국가』를 천병희 선생이 번역한 것이다. 국가란 무엇인가, 정의란 무엇인가, 정의와 불의 중 어느 쪽이 유익한가, 정의란 강한 자의 이익인가, 올바르게 살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철인(哲人)으로서의 왕은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하는가, 정치인은 어떻게 선발할 것인가 등등 여러 문제에 대한 철학적 주제들을 제시시한다. 플라톤은 아테네의 영향력 있는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정치에 뜻을 두었다. 20세에 스승 소크라테스를 만나 깊은 지혜에 눈뜨지만, 정권을 쥔 자들에 의해 소크라테스가 사형을 당하자 플라톤은 정계 진출의 꿈을 접고 철학자의.. 더보기
7월의 추천도서 (139) 구토(嘔吐) - 장폴 사르트르 1. 책소개 1964년 로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으나 수상을 거부한 저자의 실존주의를 형상화한 장편소설. 주인공 로캉탱의 예리한 관찰을 통해서 소시민적 권태와 부르주아의 위선, 그리고 더 나아가 무의미한 대화들만 주고받는 모든 인간들의 비진성성을 담아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지은이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1905∼1980. 파리 출생으로 두 살 때 아버지를 잃고 외조부 슬하에서 자랐다. 메를로 퐁티, 무니에, 아롱 등과 함께 파리의 명문 에콜 노르말 슈페리어에 다녔으며, 특히 젊어서 극적인 생애를 마친 폴 니장과의 교우는 그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다. 평생의 연인 시몬 드 보부아르와도 그 시절에 만났다. 전형적인 수재 코스를 밟아 졸업하고, 병역을 마친.. 더보기
7월의 추천도서 (138) 구운몽(九雲夢) - 김만중 1. 책소개 '문학동네 한국고전문학전집' 16권. 하면 떠오르는 것. 일장춘몽, 여성 편력, 유불선의 사상… 지난 수십 년간 국어 교과서를 통해 을 접해온 이 땅의 남녀노소라면, 대부분 이 작품을 이런 어휘들로 기억해낸다. 그렇다면 이 작품의 주제는? 거칠게는 '인생무상', 조금 그럴싸하게 말하면 '일체의 집착으로부터의 해탈'쯤으로 정리하곤 한다. 대체 이게 맞는 이야기일까? 아름다운 여인들과 더불어 그토록 영화로운 세속의 삶을 즐기던 주인공이 갑자기 "인생무상이로다"하고 말한다면, 그리고 지은이의 실제 집필 의도 역시 그게 전부였다면, 이는 즐겁게 작품을 읽어가던 독자에 대한 배신이 아닐까? 은 소설이다. 그것도 아주 재미난,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대중소설이다. 불교의 공(空) 사상을 빌려 삶의 덧없음을.. 더보기
7월의 추천도서 (137) 구원 - 자크 스트라우스 1. 책 소개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배경으로 한 유쾌한 성장담! 소년의 눈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현실을 유쾌하게 그려낸 작품 『구원』. 과거의 유산이 아닌 살아 있는 이 시대의 젊은 고전들을 선보이는 「모던 클래식」 시리즈의 62번째 책이다. 뛰어난 데뷔작으로 평가받으며 커먼웰스 상을 수상한 이 소설은 사춘기 소년이 겪을 법한 내적 갈등을 다루면서도 다인종, 다문화, 다언어 사회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모습을 포착해냈다. 옛 질서와 새로운 질서가 교차하던 1989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를 배경으로, 열한 살 백인 소년이 여러 사건들을 겪으며 성장하는 과정을 담아냈다. 네덜란드계 후손인 아프리카너 아버지와 영국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장난꾸러기 소년 잭 필제. 언제나 잭을 지지해 주는 흑인 가정부 수지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