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7월의 추천도서 (125) 관용론 - 볼테르 1. 책 소개 18세기 프랑스의 사상가이자 작가인 볼테르가 치열하게 전개해온 사상의 한 정점을 보여주는 역작으로, 종교적 편견과 맹신에 저항해서 인도주의의 이름으로 관용을 호소하는 내용이다. 이 책의 저술 계기가 된 장 칼라스 사건을 개관하고 여기에서 얻은 각성의 내용을 서술했다. 신앙의 자유와 박해에 대한 저자의 주장을 비롯해 중국에서 벌여졌던 논쟁에 대한 보고서 등 다양한 내용에 대한 견해를 수록했다. 2. 저자 소개 본명은 프랑수아 마리 아루에이다. 1694년 파리에서 유복한 공증인의 아들로 태어나 예수회 학교에서 수학했다. 부친의 희망에 따라 법률을 공부했으나 곧 문학에 관심을 두고 자유사상가들의 모임에서 타고난 재치로 명성을 얻었다. 1717년 섭정 오를레앙 공작을 풍자한 시를 쓴 죄목으로 바스.. 더보기
7월의 추천도서 (124) 과학은 그 책을 고전이라 한다- 강양구 외 1. 책 소개 『과학은 그 책을 고전이라 한다』는 과학자들과 과학 저술가들이 모여 독자들에게 무궁무진한 과학책의 세계를 탐험하는 길을 제시하는 안내서로서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의 월간 웹진 《크로스로드》 발간 10주년을 맞아 APCTP와 ㈜사이언스북스가 기획한 책이다. 또한,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힘쓰는 35명의 추천 위원과 6명의 선정 위원이 논의를 거쳐 선정한 ‘과학 고전 50’의 서평을 한데 엮었다. ‘과학 고전 50’의 목록을 바탕으로, 내로라하는 대한민국 대표 과학 저술가들이 2016년 한 해 동안 《프레시안》에 연재한 서평들이다. 그뿐만 아니라 특별 좌담을 함께 수록해, 과학 고전의 목록을 단지 알리는 데에 그치지 않고 선정하면서 과학 저술가들이 사유하고 논의한 현장까지를 담아내.. 더보기
7월의 추천도서 (123) 고전 읽기의 즐거움 - 마이클 더다 ◎ 목차 들어가는 글 제1부 유희적인 상상력 1 루키아노스(C.115~200) 『진정한 이야기』, 『루키오스 혹은 당나귀』, 『죽은 자들의 대화』, 에세이 2 드니 디드로(1713~1784) 『라모의 조카』, 기타 작품들 3 토머스 러브 피콕(1785~1866) 『크로쳇 성(城)』, 그 밖의 장편 소설들 4 맥스 비어봄(1872~1956) 『일곱 명의 남자들』, 『크리스마스 화환』, 『줄레이카 도브슨』, 에세이 선집 5 야로슬라프 하셰크(1883~1923) 『병사 슈베이크의 모험』 6 아이비 콤프턴버넷(1884~1969) 『형제와 자매』, 『하인과 하녀』(일명 『고집 센 하인 하녀와 어린 양』),기타 장편 소설들 7 S.J. 페럴먼(1904~1979) 그의 작품 대부분 8 이탈로 칼비노(1923~1985..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122) 광장 - 최인훈 1. 책소개 19세기 말에서 지금 우리 시대에 이르는 근 백 년간의 소설 작품들을 국문학자 · 문학비평가들의 조언과 문학사적인 평가를 토대로 100권으로 간추려 엮은 시리즈는 신소설부터 90년대 현대소설까지 이 땅의 신문학 100년을 아울러 지나간 시대와 우리 시대의 소설을 하나의 선으로 이어 놓음으로써, 돌아보는 일과 내다보는 일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2. 저자소개 최인훈은 1936년에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나서 8.15 해방 이후 함경남도 원산으로 이사하여 그 곳에서 중학교를 다녔다. 이어 원산고등학교를 다니던 중 6.25 전쟁이 발발하자 월남하여 목포고등학교를 거쳐서 서울대 법대에 재학하였으나 중퇴하였다. 1959년 《자유문학》에 「그레이구락부전말기」와 「라울전」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이 두..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121) 광염 소나타 외 - 김동인 1. 책 소개 김동인 소설집 『광염소나타』. 김동인의 소설 , , 를 하나로 엮고 컬러 사진을 더해 작품을 살펴보는 재미를 더한 소설집이다. 김동인은 극단적인 상황 혹은 비극적 운명에 빠진 인물들을 줄거리 위주로 냉정하게 서술함으로써 인간이 환경의 지배를 받는다는 현대적 인식을 드러낸다. 2. 저자 금동(琴童) 김동인은 1900년 10월 2일 평양 하수구리 6번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전주 김씨 양반의 대부호였다. 400평이 넘는 큰 집을 소유하고 개화사상을 지녔던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다는 사실 자체가 그의 전통적 유교사상에 대한 비판이나 유아독존적인 엘리트 의식의 배경이 된다. 동경 유학 중 약관 19세의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주요한, 전영택, 김환, 최승만 등과 함께 한국 근대문학사상 최초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