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소개
18세기 프랑스의 사상가이자 작가인 볼테르가 치열하게 전개해온 사상의 한 정점을 보여주는 역작으로, 종교적 편견과 맹신에 저항해서 인도주의의 이름으로 관용을 호소하는 내용이다. 이 책의 저술 계기가 된 장 칼라스 사건을 개관하고 여기에서 얻은 각성의 내용을 서술했다. 신앙의 자유와 박해에 대한 저자의 주장을 비롯해 중국에서 벌여졌던 논쟁에 대한 보고서 등 다양한 내용에 대한 견해를 수록했다.
2. 저자 소개
본명은 프랑수아 마리 아루에이다. 1694년 파리에서 유복한 공증인의 아들로 태어나 예수회 학교에서 수학했다. 부친의 희망에 따라 법률을 공부했으나 곧 문학에 관심을 두고 자유사상가들의 모임에서 타고난 재치로 명성을 얻었다. 1717년 섭정 오를레앙 공작을 풍자한 시를 쓴 죄목으로 바스티유 감옥에 투옥되는데 출옥 후 감옥에서 집필한 비극 '오이디푸스'가 큰 성공을 거두고, 이때부터 볼테르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하지만 1726년 한 귀족 청년과의 다툼 끝에 억울하게 다시 감옥에 갇혔다. 영국 망명을 조건으로 곧 석방되긴 했으나 프랑스 사회의 불평등과 부조리에 환멸을 느끼게 된다. 3년간 영국에서 사상적 자유를 만끽하며 견문을 넓히고 프랑스로 돌아와 오늘날 '구체제에 던져진 최초의 폭탄'으로 평가되는 '철학편지'를 출간했다. 하지만 책은 금서조치 당하고 또다시 체포영장이 발부되자 연인 샤틀레 부인의 영지로 피신해 10년 동안 머물러 집필에 몰두했다. 1744년에 복권되어 궁정의 사료편찬관이 되지만 권력에 대한 비판을 멈추지 않아 반감을 사다. 결국 프랑스를 떠나 1750년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2세의 초청으로 베를린에 체류하게 되지만 베를린 아카데미 원장인 모페르튀이와의 논전 끝에 다시 망명길에 오른다. 1758년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지역 페르네에 정착하여 대표작 '캉디드 혹은 낙관주의'를 집필했고 반봉건 반교회 운동의 지도자로서 특권층을 비판하고 종교적 맹신의 희생자들을 위한 부정 재판 탄핵 운동을 벌이는 등 끊임없이 권력에 광신에 맞서 투쟁한다. 그의 이러한 저항 정신은 훗날 프랑스 혁명의 정신적 토대가 되었다. 1778년 '이렌'의 상연을 위해 고국에 돌아왔다가 84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3. 목록
역자 송기형(宋紀炯)은 서울대학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프랑스 혁명기 언어정책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현대 프랑스의 언어정책과 불어 사용법」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앙드레 말로, 문학과 행동』 『프랑스 문화예술, 악의 꽃에서 샤넬 No.5까지』(공저)가 있다.
-출처: 인터넷 교보문고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의 추천도서 (127) 괴델, 에셔, 바흐 -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0) | 2013.07.05 |
---|---|
7월의 추천도서 (126) 괴델과 아인슈타인 - 팰레유어그라우 (0) | 2013.07.04 |
7월의 추천도서 (124) 과학은 그 책을 고전이라 한다- 강양구 외 (0) | 2013.07.02 |
7월의 추천도서 (123) 고전 읽기의 즐거움 - 마이클 더다 (0) | 2013.07.01 |
6월의 추천도서 (122) 광장 - 최인훈 (0) | 201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