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국민운동

3월의 추천도서(398) 동양철학 에세이 - 김교빈, 이현구 책소개 1993년에 처음 출간되어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독자가 찾고 있는 스테디셀러 『동양철학 에세이』의 개정증보판. 애초에 대학 신입생과 일반인들의 동양철학 입문서로 기획된 것이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독자 연령층이 점차 낮아져 이제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즐겨 읽는 책,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추천하는 책이 됨에 따라, 편집과 디자인을 완전히 새롭게 꾸몄다. 특히 비디오 아티스트로도 활동하는 삽화가 이부록 씨의 독특한 그림을 넣어 보는 재미를 더했다. 개또한 일반 독자들에게 조금 낯설게 느껴지는 '농가(農家)'를 새로 써넣었다. 농가는 임금이나 백성이나 똑같이 농사지어 먹고살아야 한다고 주장한 허행의 철학이다. 본문 여러 곳에 인용된 고전 원문의 출전을 밝혔으며, 책 말미에 '더 읽으면 좋은 책'..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397) 체험적 독서치료(정신건강과 자아발달을 돕는) - 김정근 책소개 독서치료가 세상의 화두가 되고 있다. 이 책은 이 화두를 앞에 두고 그동안 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 현장의 관심 있는 연구자와 활동가들이 따로 또는 함께 고심하고 노력하여 얻게 된 작은 성과의 일부를 보여준다. 따라서 책의 기획은 처음에 도서관 기반, 사서 주도, 지역 주민 대상의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내용을 일반 사회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저자소개 김정근 도미니칸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토론토 대학교에서 문헌정보학과 교육학을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부산대학교 대학원장을 지냈으며, 현재 같은 대학 문헌정보학과 명예교수이며 ‘책읽기를 통한 정신치료 연구실’의 지도교수로 있다. 목차 제1부 체험적 독서치료란 무엇인가 01 체험적 독서치료의 발견 왜 독..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396) 동양적인 것의 슬픔 - 정재서 책소개 오리엔탈리즘과 중화주의를 넘어, 한국의 동양학이 나아가야 할 길 『동양적인 것의 슬픔』은 누군가에 의해 대변되어야만 하는 '동양'의 현실과 그 현실에서 촉발된 슬픔이 생산해 온 부당한 문화적, 학문적 상황을 고발한 책이다. 이 책은 오늘날 현대의 제국인 중국과 서구의 틈바구니에서 정체성을 모색해야 하는 한국 동양학의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담았다. 동양학에 만연되어 있는 오리엔탈리즘과 중화주의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양자를 극복한 제3의 입장을 구축해 온 저자는 서양에 대한 동양의 권리를 되찾고, 다시 동양 내부에서 중화에 대한 주변의 권리를 되찾는 연속적인 탈중심의 작업을 통해 한국 동양학의 가능성을 예증한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초국가, 초문화, 다원주의, 정체성 등에 대한 토론이 긴..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395) 동양적가치의 재발견 - 위잉스 책소개 미국 국회도서관에서 전 세계 대학, 연구소, 단체 등을 대상으로 인문학 분야에서 독보적 업적을 이룩한 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인 클러지상의 2006년 수상자인 위잉스가 1983년 타이베이에서 '가치체계로 본 중국문화의 현대적 의의'라는 이름으로 강연했던 것을 증보하여 만든 책. 총 21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양 정신세계의 기원과 구조뿐만 아니라 동양적 사유의 틀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지은이는 서구문화와 동양문화의 차이를 초월세계와 현상세계의 관계를 통해 규명하는데, 이것이 인간과 천지만물의 관계, 인간과 인간의 관계, 자아를 바라보는 입장, 삶과 죽음에 대한 생각의 차이를 가져온다고 지적한다. 저자소개 위잉스(余英時, 1930~) ‘우리 세대의 가장 위대한 중국 지성’이라는 칭송을 ..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394) 동아시아의 전통과 변용 - 고병익 책소개 서울대 총장을 역임한 원로학자의 논저. 동아시아의 문화사적 전통과 변황의 문제, 한국, 일본, 중국 삼국의 역사상의 인식관계를 고찰했다. 저자소개 고병익 1914년 경북 문경에서 태어나, 서울대 교수, 서울대 총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원장, 한림대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학술원 회원으로 민족문화추진회 이사장을 맡고 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동아교섭사의 연구』 『아시아의 역사상(歷史像)』 『동아시아의 전통』 『동아시아의 전통과 근대사』 『혜초의 길 따라』 『동아시아의 전통과 변용』 등이 있으며 수상집 『망원경』, 에세이집 『선비와 지식인』 등이 있다. 목차 1. 서방문화와의 만남 1) 한국과 세계:그 문화교류의 역사 2) 한국문화와 세계문화 3) 동서문화의 만남과 수용 2. 동아삼국의 상환원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