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월의 추천 도서 (1485) 종교의 기원 - 지그문트 프로이트 1. 책소개 이 책에서 프로이트는 무의식과 원시적인 측면들을 강조하면서 종교와 원시 사회의 정신 생활, 어린아이, 신경증 등을 비교하고 있다. 여기서 프로이트는 구약성서와 유대 전설을 논거로, 모세가 이집트 인이고 모세가 히브리 인에게 전한 유일신교는 이집트의 종교였다는 놀라운 주장을 하며, 성서의 분석을 통하여 심리적으로 억압되어 왔던 태곳적의 진실이 종교를 통하여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해명하고 있다. 출처 - 예스 24 제공 2. 저자소개 지그문트 프로이트 마르크스, 니체 등과 함께 현대의 3대 혁명적 사상가로 꼽히는 인물.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창시자라고 불리운다. 1990년 기념비적인 서적,『꿈의 해석』을 통하여 '무의식'이라는 인간 심리학의 새로운 영역을 열었다. 심리학, 정신의학, 인문학 등 현.. 더보기
3월의 추천 도서 (1484) 좁은 문 - 앙드레 지드 1. 책소개 2. 저자소개 지드의 초상화 지드가 소년기를 지낸 라로크의 별장 3. 목차 4. 책 속으로 p.9-13 - 중 략 - p.26-27 - 중 략 - p.100-101 - 중 략 - p.204-208 더보기
3월의 추천 도서 (1483) 존재와 시간 - 마르틴 하이데거 1. 책소개 인간은 무엇으로서 존재하는가? 그 유한하고 고독하며 불안으로 가득 찬 인간세계! 본디적인 세계에서 진정한 존재의미를 찾는다! 절대의 명저 20세기를 뒤흔든 사상계의 위대한 혁명! 철학의 혁명 『존재와 시간』! 독일 실존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 그는 『존재와 시간』을 통해, 기존 전통서양철학의 잘못된 이해를 비판하며 ‘존재’의 의미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이 거작은 서론 〈존재 의미에 대한 물음의 설명〉에 이어 〈현존재에 대한 준비적인 기초분석〉과 〈현존재와 시간성〉이라는 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해 “과연 그것이 있는가, 혹은 없는가?”라는 물음을 던진다면 어떨까?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철학자들은 ‘존재’ 자체를 문제 삼지 않고 오직 그것이 .. 더보기
3월의 추천 도서 (1482) 존재와 무 - 장 폴 샤르트르 1. 책소개 『존재와 무』를 읽기전에 인간실존을 논하지 말라! ‘인간은 최후에야 비로소 인간이 되는 것이며, 인간은 스스로 만들어 나아가는 것이다,’ 인간은 세상에 던져졌을 때에는 아직 아무 것도 아니다. 스스로 자신을 만들어 나아가면서 자신이 무엇인지를 정의해 나아가는 존재인 것이다. 사르트르는 누구인가? 20세기를 대표하는 프랑스 철학자, 문학자 사르트르. 그는 젊은 시절 독일에 유학하여 후설과 하이데거의 강의를 듣고 현상학에서 자극을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잡지〈현대〉를 창간하여, 실존주의자로서 문학이나 사상의 세계적 지도자가 되었다. 뒷날 공산주의에 접근하여, 문학자의 정치 참여를 역설하고 스스로 실천했다. 소설『구토』, 희곡『악마와 신』, 논저『존재와 무』『변증법적 이성비판』등 세계 .. 더보기
3월의 추천 도서 (1481) 조셉과 그의 형제들(요셉과 그 형제들) - 토마스 만 1. 책소개 노벨문학상 수상자 토마스 만의 장편소설. 구약성서 창세기 27장에서 50장에 서술되어 있는 야콥과 요젭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기독교 전통과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문명을 두루 포함시켰다. , , , 등 4부작의 이야기를 총 6권으로 나누어 서술했다. 집필기간이 12년, 번역기간이 3년 3개월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장편소설이다. 양장본.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T.만 자필원고 《부덴브로크 일가》 노벨문학상의 상장 T.만의 초상 《부덴브로크가의 사람들》의 무대가 된 만가(家)의 건물 만가(家)에 대대로 전래되는 성서. 《부덴브로크가의 사람들》에도 등장한다. 3. 출판사 서평 ■ 고대 오리엔트의 유대 전설과 바빌론·이집트 신화 읽기 그렇다면 우리 주인공 요셉은 누구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