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 1825 1기(13.3~18.2) 썸네일형 리스트형 9월의 추천도서(202) 캉디드 - 볼테르 책 소개 책소개 (원제는 )는 볼테르의 사회. 정치. 철학 사상을 풀어 쓴 소설로, 1759년에 발표한 작품이다. 브레똥 같은 평론가는 18세기를 휩쓴 프랑스의 사상 소설 가운데 하나만 내세운다면 서슴없이 이 소설을 들겠느라 했고, 휠씬 뒤인 20세기의 프랑스 지성을 대표한 앙드레 지드 같은 이도 "만권의 세계 문학 가운데서 만약 전쟁으로 책 열 권밖에 가질 수 없다면, 바이블과 셰익스피어 그리고 도스토예프스키와 함께 볼떼르의 를 빠뜨리지 않겠다"고 할 정도였다. 그토록 잘 알려진 이 작품은 볼떼르의 시작(詩作)이나 극작(劇作)을 포함한 많은 저서 가운데 가장 예술적 가치가 높고 생명이 긴 소설로, 사상적 경향이 많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볼떼르는, 그의 사상을 대중에게 쉽게 전하려면 먼저 그 장르에..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201)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도스토옙스키 저자 도스토예프스키 모스크바 출생. 톨스토이와 함께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문호이다. '넋의 리얼리즘'이라 불리는 독자적인 방법으로 인간의 내면을 추구하여 근대소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농노제적(農奴制的) 구질서가 무너지고 자본주의적 제관계(諸關係)가 대신 들어서려는 과도기의 러시아에서 시대의 모순에 고민하면서, 그 고민하는 자신의 모습을 전적으로 작품세계에 투영한 그의 문학세계는 현대성을 두드러지게 지니고 있으며, 20세기의 사상과 문학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빈민구제병원 의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도시적인 환경 속에서 자라났다. 이 점이 바로 러시아 도시문학의 선구자로서의 그의 위치를 굳히게 하는 한편, 훗날의 토양주의(土壤主義:러시아 메시아니즘)의 주장에..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200) 김인식 리더십 - 고진현 책소개 희망을 노래하는 승부사 김인식 감독의 리더십 저자는 리더십에 있어서 가장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인물로 한화 이글스의 김인식 감독을 꼽으며 그의 독특한 리더십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기업경영의 축소판이라고 불리는 스포츠계에 김인식 감독이 '믿음의 인간경영'을 하는 감독이라는 점에서 속도전에 목매는 현 시류와 상반된 길을 걷고 있음을 주목한다. [네이버 제공] 고진현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자랐다.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정치외교학과를 수료했다. 고진현 기자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내다. 자신이 좋아하는 스포츠를 업으로 삼아 신바람을 내며 현장을 누비는 스포츠기자다. 학창시절 수영, 빙상, 육상 선수로 활동한 만능 스포츠맨답개 스포츠에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다...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199) 김수영 시 전집(1,2) - 김수영 1. 책소개 , 등으로 잘 알려진 김수영의 전집. 이미 1981년에 나왔던 전집을 새로 개정해 출간됐다. 제1권은 김수영의 시를 실었으며 제2권은 각 매체에 발표한 그의 산문들을 시대순으로 실었다. 한국문학사에 커다란 획을 긋고 간 김수영 시인의 날카로운 언어와 자유에 대한 절규, 그리고 치열한 시 정신을 엿볼 수 있다. (제1권)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김수영 1921년 서울 종로에서 태어났다. 1935년부터 1941년까지 선린상고(선린인터넷고등학교)에 재학했고, 성적은 우수했으며 특히 주산과 미술에 재질을 보였다. 거쳐 동경 상대에 입학했으나 1943년 조선 학병 징집을 피해 귀국하여 만주로 이주하였으며 심영 등과 연극을 하다가 1946년 문학으로 전향했다. 1946년 연희전문 영문과..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198) 김소월 전집 - 김정식 1. 책 소개 일제 강점기에 우리 민족 본원의 서정성을 우리 말과 가락에 담아낸 민족시인 김소월. , 외에 신문과 잡지에 실린 김소월 시 전 작품의 텍스트를 바탕으로 그 정본을 바로잡고 있다. 또한, 책의 말미에 실린 김소월 시의 주요 어휘에 대한 해설을 통해 김소월 시의 새로운 독법을 제시한다. 2. 개설김소월[金素月]1902∼1934. 시인. 본관은 공주(公州). 본명은 정식(廷湜). 평안북도 구성 출생. 아버지는 성도(性燾), 어머니는 장경숙(張景淑)이다. 2세 때 아버지가 정주와 곽산 사이의 철도를 부설하던 일본인 목도꾼들에게 폭행을 당하여 정신병을 앓게 되어 광산업을 하던 할아버지의 훈도를 받고 성장하였다. 사립인 남산학교(南山學校)를 거쳐 오산학교(五山學校) 중학부에 다니던 중 3·1운동 직후.. 더보기 이전 1 ··· 323 324 325 326 327 328 329 ··· 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