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 1825 1기(13.3~18.2) 썸네일형 리스트형 9월의 추천도서(212) 나는 고故마티아 파스칼이오 - 루이지 피란델로 책소개 나 정말 너무 살고 싶었는데, 이게 진짜 살고 있는 것 맞소? 193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 루이지 필란델로의 대표작으로 국내 처음으로 번역된 소설이다. 이탈리아의 어느 작은 마을 미라뇨에서 주인공 마티아 파스칼이 자신의 특이한 경험을 회상하면서 소설은 시작된다. 보수적이고 무지한 시골 환경에서 성장한 마티아 파스칼은 아이러니한 상황에 휘말려 원치 않는 결혼을 하게 된다. 장모의 미움을 받으며 경제적으로 무능하고 활기 없는 생활을 하던 마티아 파스칼에게, 마침내 거울 속의 자신을 들여다볼 계기가 마련된다. 이 순간부터 주인공은 자아에 대한 의식을 갖게 되고 자신을 덮친 모든 불행과 고통을 웃어넘기는 버릇을 갖게 되는데, 과연 웃음이란, 그리고 인간이란 무엇인가. 작가 루이지 필란델로는 마티아..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211) 끝과 시작 - 비슬라바 쉼보르스카 책소개 1996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폴란드의 여성 시인 비슬라바 쉼보르스카의 시선집. 1945년 등단작부터 2005년 작까지, 60여 년에 걸친 시인의 작품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혼돈과 해체 속에서 사유의 조화로운 동참을 권유하는 미의식'은, 쉼보르스카의 시학이 이룩한 가장 뛰어난 성과로 평가되어 왔다. 흔히 쉼보르스카의 시를 논할 때 "모차르트의 음악같이 잘 다듬어진 구조에, 베토벤의 음악처럼 냉철한 사유 속에서 뜨겁게 폭발하는 그 무엇을 겸비했다"는 스웨덴 한림원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발표 연설문이 인용되곤 한다. 비슬라바 쉼보르스카는 그만큼 간결하면서도 절제된 표현, 정곡을 찌르는 명징한 언어, 풍부한 상징과 은유, 적절한 우화와 패러독스 등을 동원하여 완성도 높은 구조를 만들고, 그 안에..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210) 꿈의 해석 - 지크문트 프로이트 책 소개 정신분석의 창시자 프로이트가 1897년 후반부터 쓰기 시작해 그해 11월에 완성한 책. 프로이트 작품 가운데 가장 중요한 책이며, 무의식의 존재를 드러냄으로써 우리의 정신생활의 또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논리적인 구성, 명료한 개념 설명, 명쾌하고 분명한 언어 표현 등의 형식적인 면에서도 인류사 불후의 명작으로 꼽힌다. 자신의 내면 생활을 알고 싶은 사람에게 '꿈의 해석'은 자신의 억제된 소원 충동으로 가는 안내자요, 무의식의 문을 두드리는 열쇠가 될 것이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지그문트 프로이트 1856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소도시 프라이베르크에서 출생했다. 네 살 때 가족과 함께 빈으로 이주한 프로이트는 빈 대학 의학부에 진학하여 브뤼케 교수가 이끄는 생리학 연구실에 들어가..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209) 꿈꾸는 다락방 - 이지성 책소개 세상에는 일평생 허리가 휘도록 일하고도 자기 집 한 채 장만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놀 것 다 놀면서도 어마어마한 재산을 마련하고 엄청난 유명세를 타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노력이 성공의 비결이라는 것이 이론적으로도 말이 안 되는 것은 ‘세상에는 당신과 같은 나이이지만 당신보다 열 배 스무 배 성공한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사실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만일 노력이 성공의 비결이라면 그들은 당신보다 열 배 스무 배 더 많이 노력한 사람들이어야만 한다. 즉 당신이 하루에 두 시간을 일한다면 그들은 하루에 이십 시간 또는 사십 시간을 일하는 사람들이어야만 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외려 성공하는 이들은 당신보다 더 짧은 시간을 일하고 많은 수익을 가져간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일까..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208) 꿈과 일생 - 에리크 악셀 카를펠트 저 자 에리크 악셀 카를펠트(Erik Axel Karlfeldt, 1864년 7월 20일 ~ 1931년 4월 8일) 에리크 악셀 카를펠트는 스웨덴의 시인이다. 그는 1931년에 노벨 문학상을 추서받았으며 1918년에 노벨 문학상 수상을 거부한 적이 있다. 그는 달라르나 지방의 농가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본명은 에리크 악셀 에릭손(Erik Axel Eriksson)이었다. 하지만 그는 1889년에 새로운 이름을 사용했는데, 이는 죄를 저질러 유죄 판결을 선고받은 아버지와 거리를 두기 위해서였다. 그는 웁살라 대학교를 다니면서 스톡홀름 교외 등지의 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으며 대학을 졸업한 이후 5년 동안 스톡홀름에 위치한 스웨덴 왕립 도서관에서 근무했다. 그는 1904년에 스웨덴 아카데미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더보기 이전 1 ··· 321 322 323 324 325 326 327 ··· 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