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국민운동

2월의 추천 도서 (719) 뻐꾸기 둥지위로 날아간 새 - 켄키지 1.책소개 켄 키지의 대표작이자 출세작인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는 정신병원을 무대로 하여 거대 조직에 맞선 개인의 저항과 의지를 그린 작품이다. 소설의 주요 인물들은 노동형을 선고받고 작업 농장에서 일하던 중 미치광이 흉내를 내며 정신병원에 위탁된 랜들 패트릭 맥머피를 비롯하여 귀머거리 겸 벙어리 행세를 하는 1인칭 서술자 브롬든, 그리고 정신병동의 실질적인 지배자이자 권위와 체제의 상징인 랫치드 수간호사이다. 제목에서 언급된 '뻐꾸기 둥지'는 속어로 정신병원을 의미한다. 1950년대 비트 세대와 1960년대 히피 세대를 연결하는 작가인 그는 위의 주인공들을 통해 억압된 자유와 강요된 삶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인물들을 그려 냄으로써 새로운 사고 방식, 가치 체계를 추구했던 1960년.. 더보기
2월의 추천 도서 (718) 불량국가 - 노암 촘스키 2월의 추천 도서 (718) 불량국가 - 노암 촘스키 1. 책소개 미국의 대표적인 언어학자이자 인권운동가가 쓴 미국 패권주의 비판서. 국가 안보와 인권이라는 허울로 이루어지는 미국의 무력 침략, 다국적 기업과 국제 금융기구들을 이용한 경제적 수탈, 신자유주의를 앞세운 미국 국내외에서의 빈부 양극화의 심화 등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부제는 미국의 세계 지배와 힘의 논리.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노암 촘스키 미국의 언어학자, 철학자, 인지과학자이자 수십 권의 책을 쓴 저자. 1928년 12월 7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유대계 러시아 이민자 가정의 2세로 태어난 노암 촘스키는 역사 언어학자이자 저명한 히브리어 학자였던 아버지 윌리엄 촘스키의 영향으로 언어학에 입문하게 되었다. 촘스키는 로 촘.. 더보기
2월의 추천 도서 (717)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1.책소개 주인공, 빌헬름은 예술적인 삶과 현실적인 삶에서 고민한다. 그는 여행하면서 여러 사람들, 특히 여자들을 만나면서 내면과 외면이 조화를 이루는, '교양 있는 인간'이 된다는 이야기. 위대한 작품들이 그렇듯, 괴테의 도 저자의 성장 과정과 방황의 경험과 생각이 솔직하게 드러나고 있으며 놀라운 것은 이 소설에 나오는 그 많은 사랑 편력이 실제였다는 것이다. 출처 - 예스24 2.저자소개 요한 볼프강 폰 괴테 1749년 8월, 황실 고문관인 아버지와 프랑크푸르트 시장의 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1765년에 법률학을 배우기 위해 라이프치히 대학에 입학했다. 이때 처음으로 자유롭게 레싱, 빙켈만 등을 읽었다. 그러나 1768년 폐결핵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귀향했다. 1770년 슈트라스부르 대학에 입.. 더보기
2월의 추천 도서 (716) 빌리버드 - 허먼 멜빌 1. 책소개 의 작가 허먼 멜빌의 유작 중편. 소박하고 잘생긴 하급선원 빌리 버드와 사악한 상관 클래가트 사이의 대립관계에서 나타나는 순진함과 사악함, 살인을 그려낸 고전. 세상은 풀 수 없는 수수께끼같이 애매한 곳이지만, 인간은 희생이라는 숭고함으로 영원을 성취할 수 있다는, 그러므로 필연적으로 비극이 내재된 인간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살아가라는 미국 문학의 거장의 최후의 메시지가 담겨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허먼 멜빌 저자 허먼 멜빌 허먼 멜빌(Herman Melville)은 1819년 뉴욕에서 부유한 집안의 셋째로 태어났다. 상인이었던 아버지의 죽음으로 가난에 시달리게 되자 멜빌은 리버풀로 오가는 한 선박의 선원이 된다. 그 후 포경선의 선원이 되어 남태평양을 항해했.. 더보기
2월의 추천 도서 (715) 빌러비드 - 토니 모리슨 1. 책소개 차마 기억할 수 없고 잊을 수도 없는 과거를 ‘재기억’하다! 흑인 여성으로는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살아 있는 미국문학의 대모, 토니 모리슨의 대표작 『빌러비드』. 미국 역사와 사회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흑인문제를 노예제에서부터 현대의 인종차별에 이르기까지 넓은 스펙트럼으로 다뤄온 저자는 이 작품에서 ‘여성 노예’에 초점을 맞춰 노예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폭력을 겪은 이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여성이고 어머니이기 때문에 성적 억압과 모성애의 박탈까지 겪어야 했던 한 흑인 여성이 노예라는 운명의 대물림을 끊기 위해 딸을 죽인 실화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구성했다. 흑인들의 참혹한 역사를 재조명하고 박탈당한 모성애를 되찾은 도망노예의 과격하고 뒤틀린 사랑과 그로 인한 자기 파괴를 보여준다. 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