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국민 운동

7월의 추천 도서(490) 메데이아 - 에우리피데스 1. 책 소개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와 함께 고대 그리스 3대 비극작가로 꼽히는 에우리피데스의 대표적인 작품. 는 남편의 결점에 관심을 두고 있는 극으로, 은혜를 모르고 부당하게 행동하는 남편을 보복하는 아내에 대한 이야기다. 극중 주인공 메데이아는 자신을 버리려는 남편을 포함한 새신부와 신부 아버지의 살해가 계획대로 이루어졌음을 듣고 기뻐하면서 자신의 아이들까지 죽인다. 남편에게 복수하기 위해 자식의 생사를 두고 갈등하는 메데이아의 심리를 섬세하고도 역동적으로 그려냄으로써 그의 또다른 작품 와 함께 그리스 고전 중에서 백미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2.작가 소개 저자 에우리피데스(Euripides, BC 484∼BC 406)는 그리스의 아테나이에서 므네사르코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생애에 관해서는 알.. 더보기
7월의 추천 도서(489) 메논 - 플라톤 1. 책 소개 서양 고중세 철학 원전의 연구와 번역을 전문으로 하는 학술연구 단체인 ‘사단법인 정암학당’의 플라톤 대화편, 이 출간되었다. 2007년 출간된 , , , , , 에 이은 또 하나의 대화편이 우리글로 출간된 것이다. 서양철학의 근원으로 일컬어지는 플라톤의 저작을 그리스어에서 직접 우리말로 만나게 하겠다며 지난 2000년 본격적인 ‘학당’으로 출범한 정암학당의 기획의도는 이번 대화편 을 통해서도 명료한 우리말로서 본문을 옮기는 것은 물론 풍부한 주석의 내용을 통해서도 다시 한 번 확인된다. 옮긴이의 작품해설과 상세한 찾아보기 항목은 독자의 원전 이해를 돕기 위한 옮긴이와 정암학당의 보이지 않는 노력의 결과이다. - 출처 : 교보문고 2. 작가 소개 플라톤 플라톤(기원전 427~347)은 기원전.. 더보기
7월의 추천 도서(488) 독서방법론(배영사 - 교육신서119) - F.P 로빈슨 1. 책 소개 책을 읽어야 한다고 독서를 강조하는 교육을 참 많이 받았다. 해마다 가을이면 독서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글도 많이 접했다. 몇년새 유행하는 자기계발서에서는 독서, 이를 성공의 비결로 꼽았다. 성공하려면 독서를 해야 한다는 게 계발서의 일관된 주장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대단한 독서가이다. 190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물리화학학자 오스트발트는 일찍이 '위인이나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은 무엇인가'를 조사하여 두 가지 공통점을 발견했다. 첫 번째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일이고, 두 번째는 독서였다. 독서가 위인이나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 조건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시미즈 가쓰요시 외 지음, 김혜숙 옮김, 『성공한 사람들의 독서습관』, 나무한그루, 2004, 50쪽.) 그런데 독서를.. 더보기
6월의 추천 도서(487) 혁명 - 김탁환 1. 책 소개 역사소설의 새 지평을 연 작가 김탁환이 선보이는 조선 500년의 흥망성쇠! 김탁환의 「소설 조선왕조실록」 제1권 『혁명』 제1권. 500년여 년을 이어온 나라 조선의 정사와 야사, 침묵과 웅변, 파괴와 생성의 세계를 넘나들며 소설로 되살리고자 기획된 작품이다. 제1권은 이성계가 해주에서 낙마하는 순간부터 정몽주가 암살당하는 순간까지의 기록을 담고 있다. 고려의 불꽃이 스러지고 조선의 동이 트기까지의 18일간 일어난 일들을 되살리며 광활한 인간 정도전의 고민을 정도전의 방식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저자는 일기체를 통한 비공식적 내면과 연월일 순으로 기록한 편년체를 통한 공식적 외면의 부딪침을 통해 정도전이라는 인간이 원명 교체기라는 격동기와 어떻게 만나고 엇갈렸는지 그려냈다. 깊고 진지한 고뇌.. 더보기
6월의 추천 도서(486) 메가 트렌드 코리아 - 강홍렬 외 1. 책 소개 21세기, 우리 앞의 20가지 메가트렌드와 79가지 미래 변화. 이 책은 크게 20개의 테마로 정리되어 있다. 접속사회로의 전환, 양극화의 가속화, 신유목적 민주주의의 출현 등은 이미 우리 사회 주요 화두로 활용되어 있고,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에 정부와 관련 기관이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NEO경제주도세력의 등장, 기술은 개인 중심으로, 자발적 참여의 증가, 작은 힘들의 전면적 부상, 경계의 소멸, 디지털 경제 패러다임의 등장 등은 미래 사회에서 집단이 아닌 개인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될 것이고 그것으로 인한 패러다임이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전망한다. 또한 신중세적 국제사회로의 전환, 선진국으로의 변모, 동북아시아의 다자주의화 등에서는 국제 사회의 변화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