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월의 추천 도서 (1380) 대한민국 정부형태 어떻게 할 것인가 - 김철수 12월의 추천 도서 (1380) 대한민국 정부형태 어떻게 할 것인가 - 김철수 1. 책소개 『대한민국 정부형태 어떻게 할 것인가』는 대한민국 학술원에서 개최된 토론회에서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CRONIN 교수의 미국 대통령제, STARCK 교수의 독일 의원내각제, HIGUCHI 교수의 일본 의원내각제, 비교정부론의 대가인 ACKERMAN 교수의 새로운 권력분립제 논문을 전재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가 세계적인 최고의 헌법학자.정치학자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줄 것이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저자 : 김철수 저자 김철수 명예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40년간 헌법학을 강의하였다. 한국 헌법학에서 헌법해석뿐만 아니라 헌법철학, 헌법정책학 등 문호를 넓혔으며 헌법재판제.. 더보기
12월의 추천 도서 (1379) 대통령제, 내각제와 이원정부제 - 강원택 1. 책소개 2. 저자소개 저자는 1938년 부산에서 태어나 동래고, 동아대를 거쳐 한양대대학원, 서울대대학원에서 법학, 행정학을 전공했다. 중학교 3학년 때 죽산 조봉암과 박기출 선생의 유세장에서 정치테러를 목격한 후 정치민주화에 대한 뜻을 세우고, 4.19부산학생대책위원장, 민주당 기관지 《민주전선》 편집위원 등을 거치면서 이를 구체화하였다. 정치의 첫발을 국회에서 시작한 저자는 지역구인 동래에서 내리 여섯 번을 당선했으며, 대통령이 지명하지 않은 최초의 야당국회의장이란 기록을 헌정사에 남겼다. 17대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재직한 2년을 빼고는 36년의 정치인생의 전부를 의회에서 보내면서 '한국정치의 진정한 민주화는 의회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만이 유일한 길'이라는 신념을 보여줬으며, 의장 취임 직.. 더보기
12월의 추천 도서 (1378) 탄핵받는 '탄핵', 그 이후 - 고종석 1. 책소개 특집1 에서는 헌정사상 초유의 탄핵 사태의 배경과 의미를 3가지 측면에서 조망해 보았다. 특집2 에서는 이주노동자, 혼혈인, 언어순수주의의 문제를 다루면서 '단일함''순수주의''순혈 지향' 등 다양성의 가치와 덕목을 거스르는 우리 내부의 부정적 요소들에 시선을 돌리고 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康俊晩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준만은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이다. 전공인 커뮤니케이션학을 토대로 정치, 사회, 언론, 역사, 문화 등 분야와 경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사회를 꿰뚫어보는 안목과 통찰을 바탕으로 숱한 의제를 공론화해왔다. 2005년에 제4회.. 더보기
12월의 추천 도서 (1377) 노무현과 클린튼의 탄핵 정치학 - 안병진 1. 저자소개 2. 목차 3. 책속으로 P.5-7 P.258-261 P.282-중략 P.283-중략 P.284-285 더보기
12월의 추천 도서 (1376) 대한민국헌법 - 정종섭 12월의 추천 도서 (137 6) 대한민국헌법 - 정종섭 대한민국 헌법 개정사 대한민국헌법은 한국의 최고 기본법으로, 현재까지 9차례 개정이 이루어졌다. 제헌헌법-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로 구성된 국회(제헌국회)가 헌법기초에 착수하여 동년 7월 17일 공포. 대통령, 부통령을 국회에서 간접 선거로 선출하도록 함. 1차 개헌(1952년 발췌개헌)-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승만이 국회에서 당선될 가능성이 없음을 인정하고 장기 집권을 위해 강제력을 동원하여 헌법을 개정함.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정부안과 의원내각제를 주내용으로 하는 의외 발의안이 충돌하자 정부와 의회가 협장으로 양 개정안에서 발췌한 발췌개헌안을 만들어 공고절차도 없이 기립표결로 통과. 이렇게 야당의 개헌안과 정부의 안을 절충한데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