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월의 추천 도서 (1697) 폭풍의 언덕 - 에밀리 브론테 1. 책 소개 열정적이면서도 비극적인 에밀리 브론테의 마지막 작품서른 살의 나이에 요절한 에밀리 브론테가 죽기 일년 전에 발표한 유일한 소설 작품으로, 황량한 들판 위의 외딴 저택 워더링 하이츠를 무대로 벌어지는 캐서린과 히스클리프의 비극적인 사랑, 에드거와 이사벨을 향한 히스클리프의 잔인한 복수를 그리고 있다. 발표 당시 반도덕적이라는 비난을 면치 못했던 이 작품은 백 년이 지난 오늘날 세익스피어의 '리어왕'. 멜빌의 '백경'과 비교되리 만치 그 비극성과 시성(詩性)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본능적이며 야만적이기까지 한 히스클리프와 오만하면서도 열정적으로 그에게 끌리는 캐서린이라는 이상화되지 않은 현실적 인간을 통해, 작가는 인간 실존의 세계를 강렬한 필치로 그려내고 있다. 세대마다 역가를 새로 써야 .. 더보기
10월의 추천도서(1696) 편지 - 최정호 1. 책 소개 평생을 언론과 대학, 두 세계에 몸담아 온 우리 시대의 석학 최정호崔禎鎬(1933- ) 교수가 평생 동안 받은 수많은 편지들 가운데서, 이미 작고한 55인의 편지 150통을 『편지』라는 책을 통해 공개했다. 이 편지의 주인공들은, 19세기의 1880년대생부터 20세기의 1950년대생에 이르기까지 두 세대에 걸쳐져 있으며, 편저자인 최정호 교수가 서울대 철학과 졸업 후 독일 유학 시절에 알게 된 독일 현지에 있는 인사들로부터 귀국 후 한국에서 대학과 언론에 몸담으며 친교했던 지난 시대의 내로라하는 학자, 언론인, 문인, 화가, 음악가, 정치인, 출판인 등 그 면면이 매우 다양하다. 2. 저자 평생을 언론과 대학의 ‘두에 몬디(두 세계)’에 살고 있는 최정호는 우리나라에서 연재 칼럼을 쓰고 있..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 (1695) 에드거 엘런 포우 단편선 - 에드가 엘런 포우 1. 책 소개 환상 공포 문학의 거장 에드거 앨런 포의 대표 단편들을 엄선한 『에드거 앨런 포 단편선』. 오늘의 독자들을 위해 엄선하여 번역한 문학 고전을 선보이는 「세계문학전집」의 308번째 책이다. 환성적이고 그로테스크한 소재를 다루며 이성과 감성, 현실과 초현실, 일탈과 순응 사이의 간극을 넘나드는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들. 특히 그는 이성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인간 심리의 복합성을 포착하여 탁월한 통찰을 보여주었다. 이 단편선에는 우연히 유령선에 타게 된 남자가 병 속에 남긴 마지막 기록, 자신을 방해하는 도플갱어를 둔 남자의 심리적 혼란, 화가인 남편이 그려준 초상화에 영혼을 잃어가는 아내, 아끼던 검은 고양이를 무참히 살해하게 된 과정 등의 이야기를 그린 열네 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어두운 상..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 (1694) 평천하 : 승자의 조건 - 둥예쥔 1. 책소개 『평천하: 승자의 조건』. 시대를 뛰어넘는 새로운 지혜의고전! 세상을 경영하는 지혜와 난세의 숲을 헤쳐 온 영웅의 가상을 배우고 변화의 21세기를 살아가는 해법을 제시한다. 2. 저자 둥예쥔東野君 중국의 대표적인 소장 역사학연구 그룹. 대표자 류샤(劉俠)를 비롯한 청장년 학자, 작가로 이루어진 이들은 당대 중국 지식 문화계의 실질적인 주역들이다. 주로 역사 인물을 소재로 한 전기·평전 등 역사 교양서를 기획, 출간해 왔으며, 중국의 오랜 정신문명을 오늘의 시각에서 연구하여 살아있는 지혜로 만들어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요 저서로 , , , , 등이 있다. 3. 목차 4. 책 속으로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 (1693) 편지 - 빈센트 반 고흐 1. 책 소개 반 고흐의 고통스러웠던 인생 그리고 찬란했던 미술작품의 비밀'영혼의 화가', '태양의 화가' 반 고흐(네덜란드,1853- 1890). 불후의 명작을 남겼지만 지독한 가난에 시달렸던 그는 후원자인 동생 테오와 오랜 세월 편지를 주고 받았다(668통). 이 책은 그가 테오와 어머니, 여동생, 고갱 등에게 보낸 편지 중 일부를 엮은 것으로, 이미 6년 전에 초판이 나왔으며 이번에 테오의 편지를 포함한 40여 통의 편지와 그림을 추가한 개정증보판이 나왔다. 이 책은 고흐를 '천재'나 '순교자', 혹은 '광인'으로 보는 일반적인 관점을 거부하고 '인간' 고흐, '화가' 고흐로서의 모습을 조망하려 한다. 그래서 그에 대한 후대의 평가가 아니라 그가 직접 쓴 편지와 그림을 통해 독자가 그의 내면에 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