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544) 초대받지 않은 형제들 1. 책소개 우리보다 훨씬 발달된 문명을 가진 우리의 ‘형제들’이 어느 날 불쑥 나타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우리의 삶은 어떤 식으로 변하게 될까? 2022년 박경리세계문학상 수상에 빛나는 작가 아민 말루프 최신간!!! 중년의 만화가 알렉과 소설가인 에브는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작은 섬 안타키아의 유일한 거주자다. 어느 날 그들이 가진 모든 외부와의 통신수단은 설명할 수 없는 이유로 불통이 되었고 어쩔 수 없이 두 사람은 만나게 되었다. 이 통신수단의 블랙아웃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지구는 이미 재앙의 희생자가 된 것일까? 핵전쟁과 대규모 테러 위협은 이미 만연한 상태였던 만큼 세계의 어디선가 대형 파괴가 일어난 것일까? 이 작은 섬과 가까운 군도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리고 이 작은 섬이 속한 국가..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543) 여성, 경찰하는 마음 1. 책소개 처음 읽는 여성 경찰의 세계, 여성 경찰은 우리 곁에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가 대한민국 사회의 첨예한 젠더 갈등, 남녀 갈등의 정점에 바로 ‘여성 경찰’이 있다. 현장에서 여경이 피의자를 단번에 제압하지 못하는 일련의 사건이 보도되면서 여경은 불필요하다는 이른바 ‘여경 무용론’이 점화되었고, 맹목적인 여성 혐오로 번졌다. 조롱과 인신공격, 듣기에 불편한 혐오의 말들이 여경을 향해 쏟아졌다. 범죄자를 다루는 데 신체적으로 약한 여성은 대응 능력이 떨어진다는 게 주 논리였다. 언뜻 타당해 보이지만 수면 아래에는 ‘성별 나누기’와 ‘성차별’이 깊게 깔려 있다. 1947년 미 군정기 때 최초로 여경이 채용된 이후 경찰조직 내 여경 비율은 그로부터 75년이 지난 2022년 현재 13%를 조금 웃..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542) 사랑에 빠진 소크라테스 1. 책소개 “나는 누군가를 사랑하지 않았던 적이 없다” 소크라테스의 젊은 날과 사랑에 관한 가장 진실된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전사, 레슬링 선수, 무용가, 연설가, 그리고 열정적인 연인. 소크라테스는 자신을 이렇게 표현한다. 그러나 우리가 아는 것은 맨발에 누더기를 걸치고 아고라를 활보하던 늙고 못생긴 철학자 소크라테스뿐이다. 철학하기 이전 젊은 시절의 소크라테스는 이와는 달랐던 것일까? 그렇다면 무엇이 그리스의 한 젊은이를 철학으로 이끌어 결국엔 철학에 대한 사랑으로 목숨까지 내던진 영웅이 되게 하였을까? 이것이 소크라테스 이야기의 핵심적인 미스터리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 철학을 위한 사랑만이 아닌, 그가 살았던 국가, 동료 시민, 그리고 궁극적으로 한 여성 ‘아스파시아’에 ..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541) 동물, 채소, 정크푸드 1. 책소개 “사람은 먹는 것으로 결정된다”는 말이 있다. 그렇다. 모든 것은 음식과 관련이 있다. 음식은 우리의 생존, 건강, 복지, 땅, 법, 에너지 공급, 물, 그리고 거의 모든 것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며 우리의 사고를 일깨우는 마크 비트먼의 책은 우리의 음식 시스템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 그리고 우리가 먹는 음식 한 입 한 입이 세계에 미치는 영향에 눈뜨게 할 것이다.” 『총, 균, 쇠』의 저자 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속가능성에서 자멸에 이르는 음식의 역사 마크 비트먼은 고대의 식품 채취에서부터 메소포타미아의 관개시설과 근대의 아일랜드 기근, 그리고 현대의 맥도날드의 성장까지를 분석했다. 그리고 현대로 올수록 농업이 우리의 필수적인 먹거리를 생산하는 것에서 무게 중심이 대..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540) 선비문화의 빛과 그림자 1. 책소개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선비론을 다루는 문헌이 대체로 선비문화와 선비정신을 칭송하고 이를 전승해야 한다는 논지를 제시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비해 그 부정적 측면은 상대적으로 가벼이 다루어졌다. 그처럼 자국의 문화유산을 긍정적으로 보는 태도 자체는 그 나름으로 중요하고 필요하지만, 적어도 사회과학적 이해를 위해서는 긍정과 부정의 양면을 객관적으로 해명하려는 시도는 해야 한다. 선비문화의 양면을 다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시도하는 책이다. ‘지식인 파워 엘리트의 사회학’이라는 부제를 달아 주로 지식인과 정치, 지식과 권력이라는 관점에서 선비의 당쟁과 같은 갈등 현상도 함께 해명하려 하였다. 아무리 훌륭한 문화유산이라도 인류역사상에서 간단없이 작동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음양변증법적 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