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553) 식물을 위한 변론 1. 책소개 “식물은 어떻게 싸우고, 번식하고, 협업하는가?” 가장 조용한 세계에서 벌어지는 가장 극적인 사건들 세계적인 식물 블로거이자 인기 팟캐스트 〈식물을 위한 변론(In Defense of Plants)〉의 진행자 맷 칸데이아스의 화제작!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아마존 식물 1위를 거머쥔 이 책은 식물이 어떻게 진화하며 지구상에서 살아가는지를 ‘식물의 일상적인 삶’이라는 관점에서 소개하고 있다. 특히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기이하고 신기한 식물의 생활사를 집중 조망하면서, 식물이 싸우고 섹스하고 새로운 영역을 정복하는 과정을 재미있게 들려준다. 꿀벌처럼 생긴 꽃, 시속 100킬로미터로 폭발하는 씨앗, 걸어 다니는 야자나무, 경쟁 식물을 독으로 암살하는 풀, 곰팡이에 기생해서 사는 식물 등 ..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552) 극한 식물의 세계 1. 책소개 출처:교보문고 2. 저자 가장 기이하게, 가장 교활하게, 가장 열정적으로 진화한 극한 식물들 식물은 때때로 저게 진짜 가능한지 의심스러울 만큼 극한의 모습으로 살아갑니다. 꽃들은 악취로 저 멀리 있는 곤충을 유혹하고, 스스로 열을 내어 주변의 얼음을 녹이며, 마하의 속도로 움직이는 등의 괴이한 전략을 씁니다. 또한 식물들은 생존하기 위해 동물의 살을 찢고, 성실한 곤충에게 교묘히 사기를 치며, 또 다른 식물의 숨통을 졸라 죽이는 악랄한 방식을 동원하기도 합니다. 먼지 같은 크기, 기나긴 휴면, 기계를 뛰어넘는 구조, 극강의 맹독성까지, 낭비란 모르는 씨앗의 신비로운 능력도 극한 식물의 세계에선 필수적인 요건이죠. 사실 우리의 눈에는 식물이 한자리에서 고요히 서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551) 마지막 지평선 1. 책소개 “우주 지평선 너머,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을까?” 우주의 기원부터 확장과 소멸까지, ‘실존적 우주’를 둘러싼 물리학의 공방 전 이탈리아 15개 지역, 200여 개 학교 대상 1만 명의 학생과 교사, 700명의 교수 및 지역 과학 위원회가 2년간 최고의 과학 대중 저작물에 수여하는 제6회 아시모프상(Premio Asimov 2021) 최종 수상작! “과학적 현실과 비교할 때 귀중한 사례들이 증명되었으며, 이론과 기이한 수학 공식들이 묘사하는 현실 사이를 연결하는 훌륭한 지침서다.” ─ 제6회 아시모프상 선정위원회 이탈리아 천문학계의 젊은 재능으로 조명받는 물리학자 아메데오 발비(Amede Balbi)의 우주를 둘러싼 현대 물리학 최전선에서 오가는 흥미로운 공방을 담은 책이다. 저자는 이 책..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550) 앙겔라 메르켈 1. 책소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정치인의 초상 2021년 9월, 독일을 16년 동안 이끈 앙겔라 메르켈이 퇴임했다. 이로써 메르켈은 독일 정계에서 가장 막강한 자리를 자발적으로 내려놓은 유일한 정치인으로 기록되었다. 그 외에도 항상 최초의 여성 총리, 최초의 동독 출신 총리, 최연소 독일 총리 같은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메르켈이 새로운 지도자의 모습을 제시한 상징적 인물이라는 데 이견을 가지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장기간 집권한 만큼 평가는 다각도에서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독일인들은 대체적으로 메르켈을 이데올로기나 세계관, 원칙에 전혀 구애받지 않는 실용주의자로 칭송한다. 동시에 어떤 이데올로기나 세계관, 원칙 없이 오직 총리가 되는 것만을 유일한 목표로 삼았다는 날카로운..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549)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 1. 책소개 ‘치매가 있어도 좋은 삶’의 기록 거의 모든 치매 환자에게 희망을 주는 책!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의 저자는 치매 환자다. 2014년, 58세라는 이른 나이에 조기 치매를 진단받고, 그렇게 인생의 끝을 느낀 시점에서 다시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자신의 모든 것을 기록한 것이다. 치매 당사자인 저자가 들려주는 치매 이야기, 그녀의 기록은 한마디로 요약해서 ‘치매가 있어도 좋은 삶’이다. 그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모든 병이 그렇겠지만, 특히나 치매는 병의 진행이 급속하지 않아서 시작과 중간과 끝이 선명히 이어지는 질환이다. 그래서 그 과정을 이해한다면, 누구라도 설령 치매 환자가 되어도 지나치게 당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저자의 조언이다. 그리고 ‘치매가 있어도 좋은 삶’을 나름대로 행복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