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년 추천 도서(20.3~21.2)

10월의 추천도서(2790) 험블파이 1. 책소개 “몰랐거나, 틀렸거나, 포기했거나” 긴장과 유희 사이, 우리의 수학적 사고력을 점검하는 유쾌한 경험 수학 풀이의 완성은 항상 검산으로 끝난다. ‘수학을 배우고 익히는 것은 수학자에게나 일반인에게나 끝이 없는 여정’이라고 한 김민형 교수의 말처럼, 실수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수학은 이론을 이해하고 계산을 옳게 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답을 찾고, 의심하고, 확인할 수 있는 방편을 찾아가는 모든 과정이 수학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험블 파이』는 실수 혹은 오류로 인해 수학이 부재하는 상황에서 벌어진 대참사를 한데 모은 책이다. 맥주 양조용 보리를 거래한 기록에 남겨진 인류 최초의 계산 실수부터 수식 하나 때문에 벌어진 금융권의 수천억, 수조 원 단위의 사고, 그리고 .. 더보기
10월의 추천도서(2789) 그리고 잘 지내시나요, 올리버 색스 박사님? 1. 책소개 밝혀지지 않았던 올리버 색스의 모든 것 올리버 색스의 절친한 친구 로런스 웨슐러가 쓴 올리버 색스 평전『그리고 잘 지내시나요, 올리버 색스 박사님?』. 이 시대 가장 영향력 있는 신경학자 올리버 색스, 그는 의학계의 계관시인, 과학계의 셰익스피어라 칭송받은 우리 시대의 의사이자 작가다. 평전에서는 그동안 기존 올리버 색스 저작에서 거의 등장하지 않았던 웨슐러(렌)가 올리버 색스의 집필 비화와 삶의 궤적을 상세히 다룬다. 저자 로런스 웨슐러는 올리버 색스 만년의 공개 강연 프로젝트를 주도했으며, 암과 싸우던 올리버 색스의 곁을 올리버의 연인이었던 빌 헤이스와 함께 끝까지 지킨 인물이다. 그는 올리버 색스와 교감을 나눈 수많은 인물들을 인터뷰해 올리버 색스를 다각도로 조명했다. 리버 색스 대표작.. 더보기
10월의 추천도서(2788) 108가지 결정 1. 책소개 ★ 우리시대 역사학자 105인이 선정한 한국사 108가지 선택 ★ 10년 동안 꾸준히 판매된 역사 분야 스테디셀러 ★ 본문 디자인ㆍ사진ㆍ캡션을 전면 교체한 리커버 에디션! 고조선 시대 쿠데타에서 21세기 수도 이전 논의까지… 대한민국의 역사는 우리 모두의 손에 달린 선택의 결과다. 대한민국 역사의 주인은 누구인가. 기원전 2333년 단군왕검이 세운 고조선부터 이성계가 건국한 조선 시대까지, 일반 민중은 역사의 그림자 속에 가려져 숨어 살아야만 했다. 언제나 중요한 결정은 왕과 귀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조선왕조 500년이 남긴 것은, 비단 빛나는 문화유산과 선조의 지혜만이 아니다. 조선 시대 최고 법전 『경국대전』에 나와 있듯이 법적 신분을 양반과 천민으로 구분한 양천제가 시행되고 있었으며.. 더보기
10월의 추천도서(2787) 중국과 협상하기 1. 책소개 중국, 어떻게 상대할 것인가 2015 마크 저커버그〈책의 해〉추천 도서 현대 중국의 도약기를 다룬 독보적인 회고록 세계적인 투자 은행 골드만 삭스의 최고 경영자(1999~2006)이자 미국의 74대 재무 장관(2006~2009)을 지낸 헨리 M. 폴슨 주니어가 1992년부터 2014년까지 중국과 상대했던 경험을 담은 회고록이다. 폴슨은 독보적인 방식으로 중국을 상대해 온 자타공인 미국 최고의 중국통이다. 골드만 삭스 시절에는 중국 국유 기업들의 기업공개를 주도하며 중국 경제를 세계무대 위로 끌어올렸고, 재무 장관 시절에는 미중 전략경제대화(미국과 중국이 양자 현안 및 세계 이슈 등을 폭넓게 논의하는 연례회의)를 통해 미중 간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끌었다. 25년간 100차례 넘게 중국을 왕.. 더보기
10월의 추천도서(2786) 선생님들에게 드리는 100가지 제안 1. 책소개 서로 만남, 서로 사랑, 서로 배려하는 인격주의적 교육 수호믈린스키의 전인교육론 『선생님들에게 드리는 100가지 제안』은 현장의 교사들을 위한 책이다. 수호믈린스키는 교장 재임 중에도 선생님들과 끊임없이 대화하면서 제안과 조언을 함께 나누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업무, 인성교육, 노작교육, 독서교육, 교원사업 같은 교육전반의 문제들에 대하여 선생님들에게 제안 형식의 문제제기를 하고 해답을 찾았다. 각 제안마다 하나의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실제경험과 결부시켜 하나의 이치로 설명하고 있으며, 전체 교육에 일반화시킬 수 있는 합법칙적 문제에 대하여 심오한 견해를 제기하면서 깊이 있는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선생님들이 교육이론을 연구하며 실제 문제를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