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월의 추천도서 (114) 독일관념론철학 - 니콜라이 하르트만 1. 책 소개 독일관념론은 18세기의 말엽부터 19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의 사상운동이다. 그 무대는 라인홀트로부터 헤겔이 퇴임하기까지의 예나대학과 피히테, 슐라이어마허, 헤겔이 역임한 베를린 대학이다. 2. 저자 니콜라이 하르트만 라트비아의 리가(Riga)에서 프로이센 포병 장교의 아들로 태어났다. 군인이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으나 무릎 부상 때문에 군인의 길을 포기하고 철학 연구를 시작했다. 초기에는 신칸트학파인 마르부르크학파에 속했으나, 후설 현상학의 영향을 받아 존재론적·실재론적 입장으로 태도를 바꾸었다. 그리고 인식 문제에서도 인식은 대상의 생산 창조이며 사유와 존재는 동일하다는 마르부르크학파의 입장과 대립한다. 그에 따르면 인식이란 대상을 파악하는 것이므로 근원적으로는 인식 이전의 독립적인 존재..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113) 과학 혁명(革命)의 구조(構造) - 토머스 S. 쿤 ◎ 목차 001. 서론 : 역사의 역할....(21) 002. 정상과학에로의 길....(33) 003. 정상과학의 성격....(49) 004. 퍼즐 풀이로서의 정상과학....(65) 005. 패러다임의 우선성....(77) 006. 이상 현상 그리고 과학적 발견의 출현....(89) 007. 위기 그리고 과학 이론의 출현....(107) 008. 위기에 대한 반응....(121) 009. 과학혁명의 성격과 필연성....(141) 010. 세계관의 변화로서의 혁명....(165) 011. 혁명의 비가시성....(197) 012. 혁명의 해결....(207) 013. 혁명을 통한 진보....(227) 014. 추가 - 1969....(245) ◎ 본문 중에서.... 패러다임의 새로운 후보는 처음에는 지지자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