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소개
이 책은 인구경제학에 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지구라는 행성에서 인구가 늘어나면 천연자원의 희소성이 증가하고 환경이 파괴된다고 주장하는 비평가들이 있다. 그러나 1969년경부터 이 분야의 연구를 수행해오는 동안에, 인구증가는 경제발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생활수준을 낮추지도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의 폭을 넓힐 수밖에 없었으며, 그 결과를 쓴 것이 이 책의 초판 1981년도이다
2. 목차
목차
저자 서문 ...5
초판의 감사의 글 ...20
신판의 감사의 글 ...23
서론. 인구와 자원문제의 실체 ...31
1부. 우리 아름다운 자원의 미래를 지향하며
1. 원재료의 희소성에 관한 놀라운 이론 ...65
2. 자원에 관한 물리적 예측이 자주 틀리는 이유 ...95
3. 에너지를 비롯한 천연자원의 공급량은 정말 무한한가? 물론이다 ...117
4. 대이론 ...151
5. 대기근 발생? 1975? 1995? 2025? ...171
6. 식량생산의 한계란 무엇인가? ...193
7. 현재의 세계 식량 사정: 부족위기, 과잉위기, 그리고 정부 ...213
8. 땅이 사라지나? ...245
9. 두 유령: "도시팽창"과 토양침식 ...267
10. 물, 숲, 습지 - 그 다음은? ...287
11. 석유가 바닥나나? 천마에! ...305
12. 오늘날의 에너지 문제 ...339
13. 원자력: 미래의 위대한 에너지 기회 ...379
14. 지구는 죽어간다? 언론매체가 대중에게 겁주는 방법 ...395
15. 오염에 관한 특이한 이론 ...411
16. 오염의 역사적 방향 ...431
17. 오염의 실상: 구체적 추세와 쟁점 ...445
18. 환경과 자원에 관한 나쁜 소동 ...469
19. 쓰레기더미에 파묻히나? ...503
20. 다른 목적으로 자원을 보존해야 하나? 어떤 자원을 보존할 필요가 있나? ...519
21. 재활용 강요, 강제 보존, 자유시장 대체 ...545
2부. 인구증가가 자원과 생활수준에 미치는 영향
22. 서 있을 자리 밖에 없나? 인구에 관한 사실
23. 미래의 인구는 어떻게 증가하나?
24. 사람도 파리처럼 번식하나? 시궁쥐처럼 새끼를 낳나?
25. 인구증가와 자본축적
26. 인구가 기술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27. 규모의 경제와 교육
28. 인구증가, 천연자원, 미래세대
29. 인구증가와 토지
30. 사람은 환경오염물인가?
31. 사람은 멸종의 원인인가?
32. 인구증가는 건강과 심리적 사회적 복지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34. 거대경제의 모습 Ⅱ: 후진국
3부. 자료를 넘어서
35. 일이 좋아지고 있나 나빠지고 있나? 비교방법이 사람의 신념에 미치는 영향
36. 인구조절의 수사학: 끝이 좋으면 다 좋은가?
37. 수사의 논법
38. 사람의 기본 가치
39. 핵심 가치
결론
에필로그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의 추천도서 (175) 근사록(近思錄) - 주희(朱熹),여조겸(呂祖謙) 공저 (0) | 2013.08.22 |
---|---|
8월의 추천도서 (173) 역대 한국사신론 - 이기백 (0) | 2013.08.20 |
8월의 추천도서 (171) 근대 세계 체제론 1권 - 이수훈 (0) | 2013.08.18 |
8월의 추천도서 (170) 근대 국가에 있어서의 자유 - 라스키 (0) | 2013.08.17 |
8월의 추천도서 (169)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박완서 (0) | 2013.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