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월의 추천도서(1781) 형이상학논고(Discourse on Metaphysics) - 빌헬름 라이프니츠 라이프니츠의 저작 7편을 엮어 라이프니츠를 이해하고자하는 독자들에게 그의 형이상학뿐만아니라 라이프니츠 철학의 핵심적인 내용을 비교적 일목요연하게 파악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라이프니츠 사상의 발전시기를 초기, 중기, 후기 세시기로 나누어 보았을 때 이 책에서는 이 세시기와 거의 상응하는 시기에 저술된 체계적인 저작을 통하여 라이프니츠 철학의 발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각 시기를 대표하는 『형이상학 논고』, 『자연, 실체들의 교통 및 영혼과 육체 사잉의 결합에 관한 새로운 체계』, 『모나드론』을 실었다. 그리고 라이프니츠의 철학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고 평가받는 세편을 추가로 선정하여 『인식, 진리 그리고 개념에 과한 성철』, 『제일철학의 개선 및 실체의 개념에 대하여』, 『동역학의 시범』을 담았고..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1780) 혈의 누 - 이인직 저 : 이인직李人稙호 국초(菊初)이며 경기 이천(利川)에서 출생하였다. 일본 도쿄[東京] 정치학교를 수학한 뒤 1906년에 『만세보(萬歲報)』 주필이 되면서 신소설 『혈(血)의 누(淚)』를 동지에 연재, 계속 많은 작품을 썼다. 1908년에는 극장 원각사(圓覺社)를 세워 자작 신소설 『은세계(銀世界)』를 상연하는 등 신극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국권피탈 때 이완용(李完用)을 돕고 다이쇼[大正] 일본왕 즉위식에 헌송문(獻頌文)을 바치는 등 철저한 친일행동을 하기도 했으나 한국에서 처음으로 산문성(散文性)이 짙은 언문일치의 문장으로 신소설을 개척한 공로는 크다. 『혈의 누』 외에 그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귀(鬼)의 성(聲)』, 그밖에 『치악산(雉岳山)』 『모란봉(牡丹峰)』 등이 있고, 단편으로 『빈선랑(貧鮮..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