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5 썸네일형 리스트형 1월의 추천도서(307) 헤르만 헤세의 독서의 기술 - 헤르만 헤세 책소개 지금까지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제대로 소개되지 못했던 헤세의 ‘독서가’, ‘책벌레’, ‘애서가’, ‘애서광’의 면모를 흥미롭게 보여주는 책. 번역 대본은 독일 주르캄프 출판사에서 1977년에 나온 로, 헤세 연구의 권위자이며 주르캄프 출판사의 편집장을 역임한 폴커 미켈스가 헤세의 수많은 에세이 가운데 책과 독서에 관한 것만을 골라 편집했다. 원서의 63편의 에세이 중 24편을 수록했다. 헤세는 독서를 단순한 심심풀이나 시간 때우기로 생각하는 독자들을 준엄하게 꾸짖으며 ‘질적인 독서’의 중요성을 말한다. 독서라는 행위에 앞서 책이라는 물건 자체에 대해 지극한 경외심과 존경심을 지닌 헤세는 독자들에게 책을 낯설어하거나 어려워하지 말고 마치 친구를 사귀듯 친숙하게 지내보라고 독려하면서, 오랜 세월 책을 ..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306)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 달라이 라마 책소개 은 명상과 예화, 불교와 심리학의 만남을 통하여 우리가 매일 겪다시피 하는 우울, 걱정, 분노, 질투 또는 기분 나쁜 감정 등등을 어떻게 다스리는가를 보여준다. 인간관계, 건강, 가정, 직업 등을 이야기하면서 어떻게 인생의 난관을 헤쳐나가면서도 내적인 깊은 평안함을 간직할 수 있는지 알려준 것. 하워드 커틀러는 달라이 라마를 처음 만난 자리에서 "당신은 행복한가?" 하고 단도직입적으로 묻는다. 이에 달라이 라마는 조금도 망설임 없이 "그렇다"고 대답했다는데, 도대체 나라를 잃은 한 나라의 종교적.정치적 수장이 이렇게 답해도 되는 것일까? 이어 하워드 커틀러는 "외롭지 않는가?"고 또 묻는다. 그에 대해서도 달라이 라마는 "전혀 외롭지 않다"고 대답한다. 그 자신은 매순간 모든 인간 존재와 하나로 ..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305) 톨스토이 단편 걸작선 - 레프 톨스토이 저자소개 레오 톨스토이 Lev Tolstoy 러시아의 소설가 ·사상가. 남러시아 툴라 근처의 야스나야 폴랴나 출생. 도스토옙스키와 함께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세계적 문호임과 동시에 문명비평가 ·사상가로서도 위대한 존재였다. 명문 백작가의 4남으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잃고 친척집에서 자랐다. 1847년 대학교육에 실망을 느껴 카잔대학을 중퇴하고 향리로 돌아가 지주로서 영지 내의 농민생활을 개선하려 하였으나, 그의 이상주의는 실패로 끝나고 잠시 방탕생활에 빠졌다. 1851년 형의 권유로 군대에 들어가 캅카스에서 사관후보생으로 복무하고, 다음해 처녀작 《유년시대 Detstvo》(1852)를 익명으로 발표하여 네크라소프로부터 격찬을 받았다. 《소년시대 Otrochestvo》(1854) 《세바스토폴 ..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304) 단편선집 - 유도라 웰티 1. 책소개 열정적인 관찰자이자 위대한 이야기꾼 유도라 웰티의 단편을 만나다!미국 남부의 협소하고 단조로운 삶에서 인간 사회의 다양한 갈망과 갈등을 포착해 낸 열정적인 관찰자이자 위대한 이야기꾼, 유도라 웰티 전통적인 남부 지역사회의 풍경에 유머와 신화적 상상력을 더해 비극적 서사로 승화시킨 20세기 최고의 단편들 윌리엄 포크너와 함께 미국 남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유도라 웰티의 단편 선집이 현대문학 「세계문학 단편선」 서른네 번째 권으로 출간되었다. 과거 퓰리처상 수상작인 장편소설 『낙천주의자의 딸』이 출간된 적은 있으나, 웰티 문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단편소설집이 국내에 정식으로 소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자신이 나고 자란 미시시피 지역의 풍경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좁은 공동체 안에서 살아가는..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303) 단편선집 - 애드거 앨런 포 책소개 환상 공포 문학 영역을 개척한 천재적인 작가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들을 모은 단편선. 독특한 소재와 건조하고 무거운 글쓰기를 지향했던 포는 미국 단편소설의 시조로 불리는 동시에 현대 단편소설의 형식과 스타일을 정립했다고 평가받는다.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은 환상적이고 그로테스크한 소재를 통해 이성과 감성, 현실과 초현실, 일탈과 순응 사이의 간극을 넘나드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그는 이성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인간 심리의 복합성을 포착해 그에 대한 탁월한 통찰을 보여 준다. 정체성의 위기, 무의식, 정신분열, 광기, 위반과 일탈의 심리 묘사에서 보이는 포의 독창성과 선구성은 보르헤스, 보들레르 등 20세기를 이끈 작가들에 의해 수없이 인용되었고, 라캉과 데리다 같은 학자들에 의해서도 다양하게 해석되.. 더보기 이전 1 ··· 228 229 230 231 232 233 234 ··· 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