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825

2월의 추천도서(361)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 제레미 벤담 도덕 및 입법의 제 원리 서설(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책요약 전체 18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공리의 원리(the principle of utility)와 그 근거가 되는 쾌락과 고통에 대한 사실들, 인간행위와 관련된 일반적 사실들, 그리고 그에 근거한 범죄의 유형 및 처벌에 관한 그에 견해 등으로 채워져 있다. 법의 도덕적 근거를 밝히고, 법과 도덕의 차이를 해명하고, 범죄와 처벌의 관계를 새로이 정립했다는 점에서 크나큰 법철학적 의의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윤리학적 함축도 분명하게 나타난다.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으로 압축되는 그의 윤리이론은 서구 역사상 그리스, 로마 시대 이후 처음으로 나타나는 종교에 독립된 윤리이..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360)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 앙리 베르그송 책소개 1932년 초판 발행된 프랑스 철학자의 도덕, 사회, 종 교 이론서. 사회적 질서와 자연적 질서,저항들에 대한저항, 닫힌 도덕과 열린 도덕, 문명인에 있어 원시적 정신, 하나님의 존재에 대하여, 기계적인 것과 신비적인 것 등 66편으로 나눠 윤리와 종교현상을 설명했다. 저자소개 앙리 베르그송 저자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 1859~1941)은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폴란드계 유대인 아버지와 종교적 신심이 두터운 영국인 어머니를 두고 1859년 10월 18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베르그송은 어려서부터 모든 과목에 뛰어난 성적을 보이며 각종 상을 휩쓸다시피 했고, 특히 고교 수학 경시대회에서 1등을 한 그의 문제 풀이는 이듬해 수학 잡지에 실리기도 했다. 프랑스 엘리트 집합소인 파리 고..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359) 도덕과 정치론 - 데이비드 흄 저자소개 데이비드 흄(David Hume) 영국의 철학자. 그의 인식론(認識論)은, J.로크에서 비롯된 '내재적 인식비판'의 입장과 I.뉴턴 자연학의 실험·관찰의 방법을 응용했다. 인간본성 및 그 근본법칙과 그것에 의존하는 여러 학문의 근거를 해명하는 일이었다. 홉스의 계약설을 비판하고 공리주의를 지향한다. 출처 : 네이버 1. 역사적 상황(계몽과 이성의 시대)과 흄의 생애 데카르트가 죽은 1650년부터 흄이 죽은 1776년까지의 125년 동안에 유럽의 철학적 삶은 그 강렬함과 자기확신, 생명력과 낙관주의에 있어서 전대미문의 절정에 달해 있었다. 이 1650년부터 1770년까지의 시기는 계몽시대로 알려져 있다. 계몽기대의 철학적 전망과 분위기는 유럽과 아메리카를 휩쓸었다. 미국에서는 합중국의 창건자들인 ..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358) 도덕경(道德經) - 노자(老子) 책소개 노자가 에서 들려주는 진리의 말은 물질만능 주의에 빠진 현대인에게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 한문으로 5천자 남짓되는 81편의 짤막짤막한 경전을 풀어쓰고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노자 노자(기원전 6세기 경)는 중국 고대의 철학자이며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성은 이(李)이고 이름은 이(耳), 자는 담(聃)이다. 노담(老聃)이라고도 한다. 생몰연대가 불분명한 인물이나, 사마천의 『사기』중 에 따르면 춘추시대 초나라의 고현에서 태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초나라 사람으로 춘추시대 말기 주나라에서 국립 도서관 관리라고 할 수 있는 수장실의 사관으로 천문·점성·전적을 담당하는 학자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는 유가철학과 더불어 중국 고대철학의 양대산맥인 도가철..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357) 데카메론 - 보카치오 책소개 이탈리아 르네상스 문학의 태동을 이끌어 낸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이 이탈리아어 완역본으로 새롭게 출간되었다. 『데카메론』이 나온 700여년 전 유럽에서는 라틴어로 된 운문이 수준 높은 문학으로 인정받고 있었다. 하지만 그런 시기에 보카치오는 민중의 언어였던 이탈리아어와 민중의 표현 방식으로 문학 작품을 쓰며 문학의 새 지평을 열었고, 이후 많은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데카메론』은 문학사적으로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고, 동시에 민중들의 사랑 속에서 널리 구전된 인기있는 고전문학이다. 페스트를 피해 아름다운 별장에 모인 10명의 젊은 남녀가 10일간 주고받는 100편의 이야기 속에서 기발한 재치와 삶의 진면모를 찾을 수 있다. 이번에 출간된 『데카메론』은 평생 보카치오와 『데카메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