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도서

9월의 추천 도서(561) 미겔 스트리트 - 빈디아 다르나이폴 1.책소개 2001년 노벨문학상 수상작가로 선정된 V.S. 네이폴의 1959년작 연작 장편소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는 제3세계 식민화의 폐해를 그리고 있지만, 비극성보다 희극성을 강조함으로써 절망을 오히려 더 깊게 각인시킨다. 소설의 배경은 1930년대, 트리니다드 섬의 수도인 포트 오브 스페인의 슬럼가 '미겔 스트리트'. 그 속에 사는 사람들의 모습이 17편의 연작 단편에 하나씩의 에피소드로 갈무리되어 있다. 어조가 유쾌할 수 있는 것은, 에피소드들이 어린 소년의 눈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 그러나 이야기들은 하나도 빼놓지 않고 '실패담'이다. 미겔 스트리트의 주민들은 가난, 무기력, 퇴폐에 절은 공동체에서 벗어나려 이런 저런 도피의 길을 모색하지만 대부분 실패하고 만다. 영국와 스페인의 식민통치가..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56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 페르낭 브로델 1.책소개 역사학의 교황, 브로델이 들려주는 자본주의의 과거와 현재! 자본주의라는 이름의 히드라 이야기『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읽기』. 프랑스의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이 1976년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에서 ‘물질문명과 자본주의’라는 주제로 강의한 내용을 엮은 것이다. 세 번에 걸쳐 강의한 내용을 실었으며, 역자의 해제 ‘브로델이 들려주는 자본주의라는 이름의 히드라 이야기’를 덧붙였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15~18세기 서유럽을 중심으로 자본주의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태어났는지 밝혀내고 있다. 특히 ‘물질생활-시장경제-자본주의’로 구성된 삼층집 모델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자본주의의 핵심은 경쟁이 아니라 독점에 있음을 주장하며 자본주의의 핵심을 바라보는 유용한 틀을 제공하였다. 현재 자본주의의 역..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559) 물질과 기억 – 앙뢰 베르그송(N1927 프) 1.책소개 베르그손의 (1896)을 완역한 책. 이 책은 베르그손의 주저 가운데 하나로, 그의 심리학 또는 심신 이론이 지속의 형이상학적 바탕 위에서 체계적으로 선보인 작품이다. 읽기 편한 의역보다는 원문에 충실한 직역을 택했다. 이 현존재자의 의식형태의 관찰을 토대로 순수 지속이라는 정신적 실재의 모습을 발견했다면, 이 책은 자연 속에서 우리 신체의 본래적 기능에서부터 정신과 신체가 관계하는 방식을 보이려고 시도한다. '신체와 정신의 관계에 관한 시론'이라는 부재가 붙은 이 책에서 베르그손은 실험심리학이라는 새로운 토대 위에서 영혼과 신체의 통일이라는 전통적인 철학적 문제를 조망한다. 출처 – 알라딘 2.저자소개 앙리 베르그손 1859년 10월 18일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다. 고교 시절 전국 학력경시..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558) 물리의 언어로 세상을 읽다 – 로빈 애리앤로드 9월의 추천 도서(558) 물리의 언어로 세상을 읽다 – 로빈 애리앤로드 1.책소개 현대물리학의 밑그림을 완성한 천재들의 위대한 방정식을 만난다! 『물리의 언어로 세상을 읽다』는 중력에서 전자기이론, 특수상대성이론까지 수학의 언어를 이용해 세상을 상상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증명해 보였던 물리학 혁명가들의 연구과정과 삶을 추적한 책이다. 수학은 왜 물리학의 언어로서 중요성을 띠며 그 성과는 무엇인지 또 그로 인해 인류의 삶에 일어난 변화는 무엇인지 자세히 소개한다. 전체 13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뉴턴에서부터 패러데이와 맥스웰을 거쳐 아인슈타인에 이르는 그들의 치열한 탐구 과정과 생애를 흥미진진하게 서술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위대한 물리학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현대물리학에 있어 그 이론과 수학의 관계를 ..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557) 문명의 실크로드를 걷다 – 장준희 9월의 추천 도서(557) 문명의 실크로드를 걷다 – 장준희 1.책소개 다양한 민족과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중앙아시아 5개국 대륙의 오아시스를 찾아 떠나는 역사 문화 기행. 우리에게 친숙한 한편 낯선 중앙아시아에 대해 좀 더 가깝게 접근하는 책이다. 특히 중앙아시아를 이루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5개국의 역사와 문화를 그들의 민족성, 자연환경, 유물과 유적, 실생활을 통해 구체적으로 만날 수 있다. 우리는 중앙아시아에서 어떤 것을 보고 느낄 수 있을까?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해 생소한 사람도 이 책을 통해 쉽게 우리와 그들의 친연성을 발견하고, 그들의 역사와 문화에 감탄하며, 앞으로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할지 고민할 수 있다. 출처 - 알라딘 2.저자소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