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국민운동 썸네일형 리스트형 10월의 추천 도서(583) 미지의 세계로의 여행 – G.가모프 1.책소개 이 책은 물리학과 아무런 상관이 없는 톰킨스라는 은행원이 물리학의 세계에서 겪는 여러 가지 모험을 흥미롭게 소개하고 있다. 이를테면 '이상한 나라의 톰킨스'라고 할 만한 책이다. 까다로운 현대 물리학의 이론들에 대해 이보다 더 쉽고 친근하게 접근하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남경태(전문번역가) 출처 – 알라딘 2.저자소개 조지 가모브 1904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1930년 미국으로 망명한 핵물리학자이자 우주론 학자이다. 거대한 폭발로 우주가 형성되었다는 빅뱅이론의 창시자로 조지 워싱턴 대학과 콜로라도 대학의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상대성이론·우주론·양자론 등 어려운 물리학 주제를 쉽게 설명하는 과학책 저술을 통해 과학을 대중화한 최고의 과학자로 손꼽힌다. 전세계적으로 과학을 널리..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582) 미스 럼피우스 - 바버러 쿠니 1.책소개 미스 럼피우스의 인생 이야기. 대개의 처녀들이 행복한 결혼을 꿈꾸며 몸치레에만 힘썼을 테지만 미스 럼피우스는 직업을 갖고, 그것만으로도 성에 차지 않아 세상 여행을 떠납니다. 오랜 여행을 끝내고 어린 시절 꿈대로 바닷가 집에 정착한 미스 럼피우스. 어린 시절 할아버지와 약속을 지키기 위해 멋진 일을 생각해 내는데…. 는 나 혼자 살아가는 세상이 아닌, 다른 사람과 행복하게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생각만큼 모든 사람이 행복할 수 있는 일을 하기란 쉽지 않다. 이 그림책은 세상을 좀 더 아름답게 바라볼 수 있는 여유를 가르친다. 그림책의 모든 장면들은 공들여 그린 풍경화처럼 그려졌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2.저자소개 바버러 쿠니(1917~)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581) 미메시스 - 에리히 아우어바흐 1.책소개 오디세우스의 서사시에서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남긴 주요 작품들을 치밀하게 해석한 비평의 걸작『미메시스』. 이 책은 ‘관습이 어떻게 역사를 통하여 예술적 표현을 제약하는가, 그리고 이러한 관습은 어떠한 사회 조건에 의하여 규정되는가, 또 예술은 어떻게 이러한 것을 개조하고 새로운 표현으로 나아갈 수 있는가’라는 예술에 관한 가장 핵심적인 질문을 던진다. 아우어바흐는 이에 대한 탐구를 통해 예술의 존재 양식은 물론 사회와 예술의 관계에 대하여 날카로운 통찰력을 제시한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2.저자소개 에리히 아우어바흐 1892년에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처음 하이델베르크에서 법률 공부를 했으나 1차 세계대전에 종군한 뒤 예술사, 언어학을 공부하게 되었고 1921년에 로맨스..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580) 아무도 읽지 않는 책1,2(대학생이 꼭 읽어야 할 세계 고전 100선) - 서강대학교 교양인성교육위원회 1.책소개 대학생이 꼭 읽어야 할 세계 고전 100선을 소개하는 책. 서강대 교양인성교육위원회는 새로운 21세기에 걸맞은 교양인성 교육목표를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2006년 1학기부터 작업을 시작하여 2006년 2학기 말에 '서강대 필독서 230선'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공통으로 누구나 읽기를 바라는 책을 1차 필독서로 하여 문학 50여권, 인문사회 35권, 과학기술 15권을 선정하였다. 이 해제집은 1차 필독서 100선에 대한 안내를 담고 있다. 해제를 통해 책의 전반적 내용을 숙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차 필독서에는 130권이 소개된다. 각 전공별로 심화된 질문들을 제기할 수 있는 고전들로 이루어져 있다. 1차 필독서에 비해 인문사회의 비중을 더 높였으며, 특히 21세기 변화에 단초가 되는 ..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579) 미래의 충격 - A.토플러 1.책소개 문화의 충격이라는 인류학의 용어는 이미 상당한 정도로 일반화된 개념이다. 한 문화권의 생활 방식에 젖어 있던 사람이 전혀 다른 문화권 속으로 들어가게 됐을 때 겪는 격심한 혼란이 그것이다. 이란 이러한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 현재의 문화 속에 살고 있는 우리가 미래의 문화 속으로 갑자기 진입하게 될 때 느끼는 혼란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은 미래 사회의 문화가 현재의 문화와 완전히 다르며 우리가 그러한 미래의 문화에 접하게 되는 속도로 충격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빠르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앨빈 토플러의 이 책 은 이러한 두 개의 전제를 상세히 설명해 미래의 충격이 실재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충격의 양상과 저자 나름의 대응책까지 제시하고 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2.저자소개 .. 더보기 이전 1 ···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