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국민운동

6월의 추천 도서 (840) 성찰(省察) - 데카르트 방법서설, 성찰, 정념론, 철학의 원리 중 성찰. 1. 책소개 2. 저자소개 르네 데카르트 신교도와 구교도의 갈등이 빚어졌던 16세기 후반 1596년 3월 31일, 현재는 그의 이름을 따 데카르트로 지명을 바꾼 프랑스 중서부 투렌의 라 에이에서 조아킴 데카르트(Joachim Descartes)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데카르트의 아버지는 브르타뉴의 고등법원 법관이었고 랑스 중부의 관료귀족 집안 출신이었지만, 생후 일 년 만에 어머니를 여의고, 예수회가 운영하는 학교에서 고전어, 수사학, 철학, 물리 등을 공부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당시는 “우주는 무한”이라고 말한 브루노(Giordano Bruno)가 화형당하는 한편, 갈릴레이(Galileo Galilei)가 천체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을 발견하는 등 .. 더보기
6월의 추천 도서 (839) 서경 1. 책소개                                                                                                                          출처 - 세계대백과사전 14. 동서문화사                                                                                                                  2. 서경해설                                출처 - 현대교육과 교양교육 부록편 위대한 저서의 소개 p294. 명지대출판부                                          유상근(명지대전신 .. 더보기
6월의 추천 도서 (838) 성(性)의 정치학(상,하) - 케이트 밀레트 1. 책소개 성이 정치적인 것이 될 수 있으며, 이미 정치적인 것인가라는 의문에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정치'라는 것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책의 저자 케이트 밀레트는 정치를 '권력구조적 제관계라고 정의하며,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는 구조를 성과 정치의 연관성에서 포착하고 있다. 저자는 에서 '가부장제'(patriarchy)란 용어를 사용하여 가부장제는 여성을 남성에 종속시키든가 여성을 열등한 남성으로 취급한다고 폭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여성은 사회와 가정에서 직,간접적으로 속박되며 민주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성이 애초부터 종속되어 왔던 상투적 성역할 체계에 의해 계속 강제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성별'(sex)과 '(사회학적)성'(gender)을 구별하여 성별은 생물학적으로 결.. 더보기
6월의 추천 도서 (837) 나의 길 나의 사상 - 김대중 목차 ●책을 내면서 3 ●나의 3원칙 3단계 통일 방안 10 ●94년의 남북관계를 전망한다 13 제1부 역사ᐧ민족ᐧ민주주의 우리 민족을 말한다 21 세계사의 흐름과 철학의 위치 87 제2부 새로운 세계질서와 민족통일의 전략 세계사의 흐름과 동북아정세 159 민족통일의 가능성과 필요성 191 독일통일의 교훈과 우리 통일의 방향 235 통일에 관한 독일의 경험과 한국의 전망 259 북한과 북한의 핵을 어떻게 볼 것인가 269 한반도의 통일과 한ᐧ러관계의 장래 285 제3부 나의 통일정책을 말한다 남북적십자회담과 나의 주장 295 7·4 남북공동성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 299 한반도의 평화와 민족통일 307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과 통일 319 통일을 위한 하나의 제안 333 공화국연합제 통일의 제창 343 나.. 더보기
6월의 추천 도서 (836) 성(性)의 역사 - 미셸푸코 1. 책소개 프랑스의 대표적 사상가인 미셸 푸코 말년의 역작. 푸코는 성에 대한 억압의 가설을 자세히 살피고 그것이 출현한 배경 또는 출현시킨 권력의 책략을 드러냄으로써, 그것의 허구성을 논박한다. 성에 관한 담론은 출발선에서부터 본질적으로 부르조아지가 자기 확인과 그들 자신의 주도권을 확립하기 위해 활용한 라는 사실을 우리들에게 일깨움으로써, 성적 욕망의 장치는 앎의 여러 유형들로 뒷받침하고 그것들에 의해 뒷받침되는 세력 관계들이 전술이라는 것을 가르치고 권력 자체가 아니라 근대적 주체의 등장에서 권력이 많은 역할에 맡은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그리고 성에 처해 있는 곤궁한 상태는 억압의 결과가 아니라 성적 욕망을 특정한 문화형태로 산출함에 따라 불행이 초래되는 "적극적인" 기제의 귀결이라는 것을 확인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