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술

1월의 추천도서(324) 대자석론 - 윌리엄 길버트 1월의 추천도서(324) 대자석론 - 윌리엄 길버트 1. 저자소개 윌리엄 길버트 1540~1603 영국의 의사 · 물리학자. 자기학(磁氣學)의 아버지로 불린다. 전기에 처음으로 일렉트릭스(electrics)라는 이름을 붙였다. 콜체스터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의학을 배웠다. 런던에서 개업하다가 1601년 엘리자베스 1세의 시의(侍醫)가 되었다. 주저《자석에 대하여》(1600)는 라틴어로 씌어 있지만 자기(磁氣) 및 지구자기(地球磁氣) 현상을 조직적이고 순수 경험적으로 다루어 지구 자체가 하나의 자석임을 발견, 자침이 남북으로 향하는 이유를 밝혔다. 이것으로 자침의 반발과 서로 끌어당기는 현상을 반감 · 공감에 비유하여 생기체적(生氣體的)으로 설명했고 가열함으로써 자력이 강해진다는 이전의 속설을 부..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323) 대의정부론 - 존 스튜어트 밀 1월의 추천도서(323) 대의정부론 - 존 스튜어트 밀 1. 저자 소개 저자 존 스튜어트 밀은 1806년 5월 20일 런던에서 출생했다. 아버지 제임스 밀은 벤담(Jeremy Bentham)과 더불어 공리주의 철학의 기초를 세운 유명한 사상가였다. 부자 2대에 걸쳐 학명을 떨친, 흔치 않은 집안이었다. 밀은 1823년 아버지 주선으로 동인도회사에 취직한 뒤 1858년 동인도회사가 해체될 때까지 35년 동안 근무했다. 1865년에는 웨스트민스터 유권자들의 ‘강권’에 따라 하원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868년 낙선하자 본업인 저술 작업으로 돌아왔다. 1873년 5월 8일 프랑스의 아비뇽에서 별세해 아내와 함께 그곳에 묻혀 있다. 2. 목차 목차 머리말 제1장 정부 형태의 선택 제2장 좋은 정부 형태의 기..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322) 대승기신론소 - 원효 1월의 추천도서(322) 대승기신론소 - 원효 책소개 『대승기신론소병별기』은 대승적인 마음을 일으키게 하는 논전이다. 대승기신론소는 일심이 우리 마음의 본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승기신론 별기는 수행을 통해 일심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세가지를 묶은 대승기신론소병별기에 중도사상과 화쟁사상이 담겨져 있어 걸림없이 자재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제시해 주고 있다. 내용 ≪기신론≫의 본문에 따라 일일이 해석을붙인 책이다. 원효는 중국의 현학적인 주석에서 탈피하여 원문의 글뜻에 매달리지 않고 원저자의 정신을 드러내려고 하였다. 구성은 크게 ① 종체(宗體)를 밝힌 부분, ② 제목에 대한 해설, ③ 본문에 대한 해석으로 구분된다. 종체를 밝힌 부분에서는 ≪기신론≫의 문장 하나하나가 어느 경전의 말씀..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321) 대사들(핸리 제임스의 문학과 배경) - 최경도 1월의 추천도서(321) 대사들 - 헨리 제임스 저자소개 헨리 제임스 헨리 제임스는 한때 예술, 특히 문학은 "삶을 만들고 관심을 만들고 중요성을 만든다"라고 쓴 적이 있다. 제임스의 소설과 비평은 당대의 글 중 가장 의식적이고 정교하며 또 난해하다. 일반적으로 제임스는 트웨인과 함께 19세기 후반 최고의 미국 작가로 꼽힌다. 제임스는 국제적인 주제들, 다시 말해 순진한 미국인과 국제적 사고를 지닌 유럽 인과의 복잡한 관계를 그린 작가로 주목받고 있다. 그의 전기를 쓴 레온 에델은, 제임스가 여행기 《대서양 횡단 스케치(Transatlantic Sketches)》(1875), 소설 《미국인(The American)》(1877), 《데이지 밀러(Daisy Miller)》(1879) 그리고 대작 《여인의 초..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320) 대머리 여가수 - 외젠 이오네스코 1월의 추천도서(320) 대머리 여가수 - 외젠 이오네스코 책소개 현대 연극계의 거장 외젠 이오네스코의 초기 희곡 세 편을 모아 엮었다. 이 책에 실린 세 편의 작품은 흔히 '반연극' 삼부작이라 불리는데, 이 용어는 이오네스코가 자신의 작품세계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낸 말이다. 그는 포착한 현실 그 자체를 보여줌으로써, 현실 논리에서 벗어난 자신만의 인식세계를 형상화하고자 한다. 개연성을 위한 문학적, 연극적 장치를 배제하고 현실의 모순과 갈등을 있는 그대로 담으려는 그의 시도는, 그 자체로 상당히 급진적이어서 조국인 루마니아에서 상연금지 처분을 받기도 했다. 이오네스코는 현대 사회의 부조리한 속성을 치밀하게 추적한다. '대머리 여가수'는 한 영국가정의 하루를 보여주면서 현대인의 무의미한 일상과 허위의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