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8월의 추천 도서(524) 무량수전 배홀림 기둥에 기대서서 - 최순우


1. 책소개

 

최순우의 한국미 산책!

깔끔한 체제와 컬러 도판, 새로운 글들을 보완한 고전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개정판. 혜곡 최순우 선생의 유작으로 그의 전집에서 주옥같은 글들만을 추려내 엮은 단행본이다. 회화, 도자기, 조각, 건축 등 한국 미술의 전 영역에 걸쳐 작품의 면면을 살펴보고 군더더기 없는 아름다움을 담아낸 12편의 글들을 만나볼 수 있다.

 

이번 개정판은 총 130여 개의 흑백 도판을 컬러 도판으로 바꾸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특히 오랫동안 석굴암과 불국사, 부석사 등 우리나라의 주요 문화재를 전문적으로 찍어온 사진작가 안장헌의 사진으로 석굴암의 본존불과 십일면관음, 부석사의 무량수전 등을 보다 생생한 컬러로 선보인다.

 

여기에 겸재 정선,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등의 회화 작품과 오묘한 청자의 비색을 제대로 살펴 볼 수 있는 도판을 실어 저자의 해설을 더욱 실감나게 이해할 수 있다. 시원하고 깔끔한 편집으로 가독성을 높였으며, 회화 부문에 빠져 있던 조선의 초성화와 김홍도의 <군선도> 등에 대한 글을 더 보충해 풍성하게 읽을 수 있게 하였다.

 

혜곡 최순우 선생은 한국 미술사학과 미술평론의 토대를 다진 우리 문화의 거목이었다. 우리 미술과 문화재를 살피는 빼어난 안목을 유려한 문장으로 소화시켜 대중들이 우리 미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한 한국미의 전도사역할을 톡톡히 했다.

 

출처 - 인터넷교보문고

 

 

2. 저자 소개

   

최순우

 

1916년 개성에서 태어나 개성 송도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43년 개성 부립박물관에 입사하여 2년후 서울국립박물관으로 전근하였다. 이후 국립박물관 학예관, 미술과장, 학예연구실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0년대부터 서울대, 고려대, 홍익대, 이화여대 등에서 미술사 강의를 하였으며, 1967년 이후 문화재위원회위원, 한국미술평론가협회 대표, 한국미술사학회 대표 등으로 활동하였다. 1974년부터 1984년까지 제4대 국립중앙박물관의 관장으로 활동하면서, 국립중앙박물관의 발전, 확장에 공을 세웠다. 1981223일 홍익대학원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19841216일 성북동 자택에서 별세했다.

 

 

한 평생 문화재와 한국 전통미술에 대한 애착으로 살아온 그는 심미안의 소유자로 일찍이 우리나라 고미술의 빼어난 아름다움을 알아보았다. 한국의 도자기, 전통 목공예, 회화사 부분에서 많은 학문적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대표작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는 이러한 애정을 바탕으로 하여 회화, 도자, 조각, 건축 등 한국 미술의 전 영역에 걸친 작품 120여점에 대한 글들을 담고 있다. 그는 이 책에서 달항아리를 '너무나 욕심이 없고 순정적이어서 마치 인간이 지닌 가식 없는 어진 마음의 본바탕을 보는 듯 하다', '그 어리숭하게 둥근 맛을 어느 나라의 항아리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는 데서 대견함을 느낀다', '잘생긴 며느리 같다'고 표현하는 등 예술과 전통을 대중들이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황수영, 진홍섭과 더불어 개성의 3걸로 불린 그는 박물관에서 일한 경험에 근거하되 강한 직관을 바탕으로 한국의 미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한국미에 대해 "우리 강산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거기에는 우리민족의 성정이나 생활이 녹아 있어 그들이 표현한 미술품에 나타난 아름다움도 다른 나라와 비교할 수 없는 익살, 은근, 고요, 순리, 백색, 담조(淡調), 추상 등 독자적인 미의 특질을 지녀 세계적인 미술품으로 당당히 자리잡은 것"이라는 한국미론을 구축하였다.

 

 

논문으로는 단원 김홍도 재세연대고(檀園金弘道在世年代攷), 겸재 정선론(謙齋鄭?), 한국의 불화(佛畵), 혜원 신윤복론(蕙園申潤福論), 이조의 화가들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한국미술사,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가 있다.

 

 

그가 살았던 '최순우 옛집'은 서울 성북구 성북2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셔널트러스트의 시민문화유산1호로 지정되어 잘 보존되고 있다. 개발논리에 의해 사라질 뻔한 것을 시민들이 지켜냄으로써 최순우 선생의 정신을 기림과 동시에 근대문화유산 보존에 대한 의미도 함께 살리고 있다. 이곳에서는 문화강좌, 연극활동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개최되어 있어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과 공전이라는 현대적 의미를 재창조 하고 있다.

 

 

출처 - 예스24

 

 

3. 목차

 

 

개정 신판에 부쳐초판 서문혜곡 최순우 선생을 기리며

한국의 미와 얼

우리의 미술

건축미에 나타난 자연관

한국의 실내의장

신라 공예송

한국의 탈

한국의 자수병풍

살결의 감촉, 도자기

고요한 익살의 아름다움

연경당에서

온돌방 장판 맛

후원과 장독대

하늘빛 청자

분청사기의 멋

조선의 회화

조선 초·중기의 회화

강희안의 물을 바라보는 선비

사임당 신 씨의 수박

조속의 나무 위에 앉은 한 쌍의 까치

이항복 초상

조선 후기의 회화

벼상벽의 고양이와 참새

조영석의 장기놀이

이인상의 노송도

정조대왕의 국화

이인문의 산수

김득신의 대장간

김득신의 파적

이재 초상

서직수 초상

한국 호랑이

겸재 정선

청풍계도

금강산 만폭동도

비로봉도

통천문암도

낚시하는 노인

인곡유거도

단원 김홍도

봄시내

사민도 중 ''

고누놀이

무동

군선도

평안감사 부임 축하잔치

혜원 신윤복

미인도

연못가의 여인

월하정인

기방도

밀회

선술집

검문

초당놀이

굿놀이

봄나들이

빨래터

조선 말기의 회화

김정희의 산수

조희룡의 매화서옥도

김수철의 송계한담도

홍세섭의 헤엄치는 오리

이재관의 송하처사도

허련의 산수

채용신의 운낭자 초상

전통건축과 공예

전통건축

불국사의 대석단

부석사 무량수전

통도사

창덕궁의 부용정

경회루의 돌기둥

경복궁의 옛 담장

백제의 무늬벽돌

신라의 막새기와

신라의 보상화무늬 벽돌

공예

황금 보관

금 귀걸이

상원사동종

성덕대왕신종

용두보당

익산 왕궁리 석탑 사리장치

송림사에서 나온 관장식

물가풍경무늬 정병

자개장

삼층 탁자

나전칠기 소나무대나무무늬 빗접

노리개

불상과 탑

불상

고구려 연가 칠년이 새겨진 부처

백제 석조불좌상

금동반가사유상

목조미륵보살반가상

장창골 석조보살입상

석굴암 본존불

석굴암 십일면관음상

석굴암의 범천상

철조석불좌상

철조불두

한송사 석조보살좌상

안동 제비원 석불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과 공양상

삼척 비석머리

토기와 도자기

신라토기

신라 토우

토기 오리 한 쌍

녹유 뼈항아리

청자

청자 연못동자무늬 꽃 모양 대접

청자 대나무마디무늬 병

청자 보자기무늬 매병

청자 거북이 모양 주전자

청자 석류 모양 주전자

청자 오리 모양 연적

청자 구름학무늬 매병

청자 참외 모양 주전자

청자 모란무늬 항아리

청자 모란구름학무늬 베개

청자 물고기용무늬 매병

청자 연꽃무늬 주전자

청자 잎무늬 매병

분청사기

분청사기 모란무늬 편병

분청사기 추상무늬 편병

분청사기 연꽃넝쿨무늬 병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병

분청사기 풀무늬 장군

분청사기 넝쿨무늬 대접

백자

백자 모란무늬 병

백자 풀무늬 편병

백자 대나무무늬 항아리

백자 포도무늬 항아리

백자 용무늬 항아리

백자 달항아리

백자 제비구름무늬 항아리

백자 가을풀무늬 병

백자 낚시무늬 병

백자 연꽃무늬 병

백자 구름용무늬 항아리

백자 학춤무늬 항아리

백자 목련무늬 사발

백자 국화무늬 병

백자 소마누매화무늬 복숭아 모양 연적

백자 구름학무늬 베갯모

 

 

출처 - 도서11번가

 

 

4. 출판사 서평

 

 

서울시 성북구 성북 2126-20번지 한갓진 골목에 자리 잡은 최순우 옛집에는 요즈음 하루 500여 명이 넘는 방문객이 찾는다. 혜원 신윤복을 주인공으로 삼은 드라마와 영화가 인기를 끌면서 <미인도>를 내놓은 간송미술관의 전시에 인파가 몰리고,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의 시민문화유산 1로 보존된 이곳을 들르는 이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자원봉사자들은 방문객들에게 단아하고 정갈한 사랑방을 가리키며 최순우 선생의 명저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가 집필된 곳이라고 설명한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는 최순우 선생의 전집에서 주옥 같은 글을 추려내 엮은 단행본이다. 회화, 도자, 조각, 건축 등 한국 미술의 전 영역에 걸쳐 작품의 면면을 더듬고, 군더더기 없는 아름다움을 그린 120여 편의 글이 꾸준히 눈 밝은 독자를 찾아갔다. 이 책은 1994년 초판 출간 이래 50만 부가 나갔고,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다.

 

도서출판 학고재는 혜곡 최순우 선생의 유작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를 새롭게 손질한 개정 신판으로 펴낸다. 그동안 우리의 아름다운 유물을 생생한 컬러 도판으로 감상하고 싶어 하는 많은 독자들의 요청이 있었음에도, 출판사의 여건상 책의 체제를 새롭게 바꾸기가 쉽지 않았는데, 작년부터 차근차근 진행해온 일들이 이제서야 결실을 맺었다. 옛 도판들의 컬러판을 일일이 찾아내는 것도 쉽지 않았고, 선생의 전집에서 새 글을 가려 뽑는 일에도 진지한 숙고가 필요했다. 새로운 개정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작은 활자를 키우고 목차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으며, 시원하고 깔끔한 편집으로 가독성을 높여 새로운 세대의 독자들을 배려했다.

 

2. 130여 개 흑백 도판을 컬러 도판으로 바꾸었다.(몇 개의 도판은 개인소장품으로 컬러도판을 찾을 수 없었다.) 특히 오랫동안 석굴암과 불국사, 부석사 등 우리나라의 주요 문화재를 전문적으로 찍어온 사진작가 안장헌의 사진으로 석굴암의 본존불과 십일면관음, 부석사의 무량수전 등을 보다 생생한 컬러로 선보인다. 뿐만 아니라 겸재 정선,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등의 회화 작품과 오묘한 청자의 비색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도판을 실어 최순우 선생의 해설을 더욱 실감나게 이해할 수 있다.

 

3. 회화 부문에서 구판에 빠져 있던 조선의 초상화(이항복 초상, 이재 초상, 서직수 초상)와 김홍도의 <군선도>, 정조대왕의 <국화>, 추사 김정희와 허련의 <산수> 작품에 대한 선생의 글 등 10꼭지를 더 보충해 조선회화사를 체계적이고 너른 시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4. 국립중앙박물관의 새로운 전시용어 체계에 맞추어 표제와 용어 등을 고치고 미술사 용어 등 어려운 어휘에는 간단한 주석을 달았다. 이를테면 강희안의 <고사관수도><물을 바라보는 선비>, 조속의 <노수서작도><나무 위에 앉은 한 쌍의 까치>, ‘청자상감과형주자청자 참외 모양 주전자등으로 바꾸어 이해를 쉽게 했다. 다만 우리말로 문화재 용어를 순화하고자 했던 최순우 선생의 선구적인 노력과 그의 독특한 관점이 드러난 명명은 그대로 두었다. 예를 들면 선생이 조선 공예가 보여주는 추상정신을 강조하기 위해 통칭 분청사기조화선조문 편병분청사기 추상무늬 편병으로 명명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즘 세인의 관심을 끌고 있는 혜원의 풍속화에 대해서도 선생의 독특한 해석이 담긴 명칭이 있어 주목할 만하다. 혜원이 비구니가 기녀들을 맞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알려진 작품(통칭 <이승영기尼僧迎妓>)에 대해 선생은 <봄나들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점이다.(본문 233) 즉 그림에서 여인들을 맞는 이는 비구니(尼僧)가 아니라 여인들의 아랫도리 흰 속곳을 훑어보고 있는 승려이며 과거 우리 사회의 남녀군상이 보여주는 생태의 이면상을 보인 것으로 자못 주의를 끌 만하다고 말한다.

 

이와 더불어 혜원의 <미인도>도 선생의 눈에 특별한 존재로 비친다.(본문 201) 모두가 그림 속 주인공을 기생으로 보는 데 반해 선생은 지체 있는 선비의 소첩으로 지목하고 있고, 공민왕의 <노국공주 초상>이 남아 있다면 이 <미인도>와 짝을 이룰 명품이었을 것으로 회고하고 있다.

 

한국미 전도사혜곡 최순우

 

혜곡 최순우 선생은 한국 미술사학과 미술평론의 토대를 다진 우리 문화사의 거목이었다. 우리 미술과 문화재에 대한 깊은 사랑에다 빼어난 안목과 유려한 문장을 겸비했고, 이 땅이 순산한 아름다움을 성심으로 보듬어안은 정 깊은 감식안이었다. 그는 1916년 개성에서 태어나 1943년 개성 부립박물관에 들어간 뒤 40년 동안 한결같이 박물관 인생으로 살았다. 1984년 작고할 때까지 10년 동안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역임하며 한국미술 5천년전등의 대형 해외 전시를 통해 우리 미술을 만방에 퍼뜨린 한국미의 전도사이기도 했다.

 

선생은 옛 것에 숨결을 불어넣는 마술사적 문장으로 우뚝하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를 펼치면 연둣빛 무순 향기’ ‘연연하고도 맵자한 앳된 맵시’ ‘백옥같이 갓맑은 살결의 감촉같은 청초하고 감칠맛 나는 표현들이 쏟아진다. 유홍준(전 문화재청장), 이태호(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이원복(국립 전주박물관장) 등 후학들은 선생의 기막힌 문장에 반해 미술사의 길을 걷는 행복을 함께 누린 사람들이다.

 

최순우의 유작이 남긴 아름다운 이야기들

 

1992년 학고재가 펴낸 첫 책이 최순우 선생의 전집 5권이었다. <최순우 전집>을 펴낼 당시만 해도 1억 원 이상 들어가는 미술 전집을 내는 건 다들 꺼려했다. 원로 학자들이 최순우 선생의 글로 전집을 묶으려고 하는데 출판사들이 손사래 친다는 이야기를 들은 학고재 우찬규 사장은 갓 시작한 출판사로서 이를 감히 맡겠다고 나섰다. 이 에피소드는 출판계의 미담으로 회자된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는 전집에서 주옥 같은 글들을 추려내 엮은 단행본이다. 전집의 버거운 분량 때문에 많은 독자들이 쉽게 구입하기가 마땅치 않자, 선생의 글을 좀 더 많은 독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선생의 후학들이 달려들어 단촐한 체제의 단행본을 꾸민 것이다.

 

아름다운 저자와 아름다운 글에 아름다운 사연이 없을까. 입에서 입으로 호평을 옮긴 초기 독자들은 이 책을 우리 문화재 관련 대표 도서로 자리매김한 일등공신이었다. 문화방송 프로그램 <느낌표!>에 소개된 2002년 새로 보급판을 펴내면서 단박에 30만 부가 나갔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는 미술서 시장이 빠르게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고유섭, 김용준 등이 쓴 우리 미술사의 고전들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켰다.

 

선생은 부석사의 무량수전을 일러 그리움에 지친 듯 해쓱한 얼굴로 나를 반기고, 호젓하고도 스산스러운 희한한 아름다움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다고 썼다. 부석사에 간 관광객들이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은 지금도 흔하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는 우리 것을 아끼는 모두가 여전히 기대서고픈 기둥인 것이다.

 

 

출처 - 알라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