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4월의 추천 도서 (1497) 주역 - 작자미상

 

 






1. 책소개

 

유교의 경전() 중 3경()의 하나인 《역경()》.

단순히 《역()》이라고도 한다. 이 책은 점복()을 위한 원전()과도 같은 것이며, 동시에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흉운()을 물리치고 길운()을 잡느냐 하는 처세상의 지혜이며 나아가서는 우주론적 철학이기도 하다. 주역()이란 글자 그대로 주()나라의 역()이란 말이며 주역이 나오기 전에도 하()나라 때의 연산역(), 상()나라의 귀장역()이라는 역서가 있었다고 한다. 역이란 말은 변역(), 즉 '바뀐다' '변한다'는 뜻이며 천지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고 풀이한 것이다.

이 역에는 (이간)·변역·불역()의 세 가지 뜻이 있다. 이간이란 천지의 자연현상은 끊임없이 변하나 간단하고 평이하다는 뜻이며 이것은 단순하고 간편한 변화가 천지의 공덕임을 말한다. 변역이란 천지만물은 멈추어 있는 것 같으나 항상 변하고 바뀐다는 뜻으로 양()과 음()의 기운()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불역이란 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모든 것은 변하고 있으나 그 변하는 것은 일정한 항구불변()의 법칙을 따라서 변하기 때문에 법칙 그 자체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주역》은 8괘()와 64괘, 그리고 괘사()·효사()·십익()으로 되어 있다. 작자에 관하여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왕필()은 복희씨()가 황허강[]에서 나온 용마()의 등에 있는 도형()을 보고 계시()를 얻어 천문지리를 살피고 만물의 변화를 고찰하여 처음 8괘를 만든 뒤 이를 더 발전시켜 64괘를 만들었다고 하였다. 또 사마천()은 복희씨가 8괘를 만들고 문왕()이 64괘와 괘사·효사를 만들었다 하였으며, 마융()은 괘사는 문왕이 만들고 효사는 주공()이, 십익은 공자()가 만들었다고 하는 등 작자가 명확하지 않다.

역은 양()과 음()의 이원론()으로 이루어진다. 즉, 천지만물은 모두 양과 음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하늘은 양, 땅은 음, 해는 양, 달은 음, 강한 것은 양, 약한 것은 음, 높은 것은 양, 낮은 것은 음 등 상대되는 모든 사물과 현상들을 양·음 두 가지로 구분하고 그 위치나 생태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것이 주역의 원리이다. 달은 차면 다시 기울기 시작하고, 여름이 가면 다시 가을·겨울이 오는 현상은 끊임없이 변하나 그 원칙은 영원불변한 것이며, 이 원칙을 인간사에 적용시켜 비교·연구하면서 풀이한 것이 역이다.

태극()이 변하여 음 ·양으로, 음 ·양은 다시 변해 8괘, 즉 건()·태()·이()·진()·손()·감()·간()·곤() 괘가 되었다. 건은 하늘·부친·건강을 뜻하며, 태는 못[]·소녀·기쁨이며, 이는 불[]·중녀()·아름다움이며, 진은 우레·장남·움직임이며, 손은 바람·장녀, 감은 물·중남()·함정, 간은 산·소남()·그침, 곤은 땅·모친·순()을 뜻한다. 그러나 8괘만 가지고는 천지자연의 현상을 다 표현할 수 없어 이것을 변형하여 64괘를 만들고 거기에 괘사와 효사를 붙여 설명한 것이 바로 주역의 경문()이다.
 

출처 - 두산백과 제공

 

 

2. 저자소개


인문으로 읽는 주역-신원봉




주역-유덕선





 

3. 인문으로 읽는 주역


①목차




②책 속으로

p.4-25





p.31-37





p.341-349





p.353-364





p.685-693





4. 주역


①목차




②책 속으로



p.3-5




p.27-44





p.101-107





p.462-467




p.647-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