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월의 추천도서(219) 나의 조국 - 우융푸 1. 책 소개 대만원로시인 우융푸 시선집. 평범하고 단조로운 시어로 조국에 대한 강한 애국의식을 담은 시를 총 6부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2. 저자 1913년 대만 중부 난토우현 푸리에서 태어났다. 명문인 타이중 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 메이지대학 문예과에 입학, 당시 유명작가인 야마모도 유조, 신감각파의 거장 요꼬미즈 리이찌, 평론의 대가 고바야시 히데오 등으로부터 문학교육을 받았다. 1932년 일본 동경에서 쟝원환, 왕보옌 등 도일 유학생과 함께 「대만예술연구회」를 조직하여 일제시대 최초의 대만문예잡지 《Formosa(아름다운 섬)》발행하여 소설과 극본을 발표하였다. 60년대 후반부터 1964년 6월 창간된 대만 전통적인 대표 시지 삿갓 동인에 가입하면서 매끄러운 중국어로 작품을 발표했다. 3... 더보기
10월의 추천도서(218)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 - 류시화 책소개 "우리가 어떻게 공기를 사고팔 수 있단 말인가? 대지의 따뜻함을 어떻게 사고판단 말인가? 부드러운 공기와 재잘거리는 시냇물을 우리가 어떻게 소유할 수 있으며, 또한 소유하지도 않은 것을 어떻게 사고팔 수 있는가? 햇살 속에 반짝이는 소나무들, 모래사장, 검은 숲에 걸린 안개, 눈길 닿는 모든 곳, 잉잉대는 꿀벌 한 마리까지도 우리의 기억과 가슴속에서는 모두가 신성한 것들이다. 그것들은 우리 얼굴 붉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고스란히 살아 있다. 우리는 대지의 일부분이며, 대지는 우리의 일부분이다……." '인디언 연설문' 중에서 가장 유명한 시애틀 추장의 연설이다. 이 연설은 미국 땅을 점령한 백인들이 그곳에 살던 원주민들을 강요된 보호구역으로 밀어 넣기 위해 시애틀의 '퓨젓 사운드'에 도착했을 때 행.. 더보기
10월의 추천도서(217)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 - 버트런드 러셀 책소개 버트런드 러셀의 논리정연하고 유려한 문체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에세이와 주옥 같은 기고문을 편집한 책이다. 버트런드 러셀의 종교에 관한 에세이를 비롯해 지금도 여전히 큰 관심사가 되고 있는 여러 글들을 모아 엮었다. 러셀은 이 책에서 일관되게 정신의 자유를 강조하며, 열린 가슴과 열린 정신으로 세상을 바라보라고 이야기한다. 이 책에는 종교와 철학의 치열한 논쟁이 담겨 있다. 러셀은 이성의 눈으로 종교가 제시하는 논리와 주장들을 신랄하게 논파하였다. 종교가 문명에 공헌했는지에 대한 물음에서부터 하나님은 존재하는지에 대한 물음까지, 종교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저자소개 버트런드 러셀 버트런드 러셀 러셀은 40여 권에 이르는 수많은 저작을 남긴 철학자요, 1950년에 노벨 문학상.. 더보기
10월의 추천도서(216)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 홍세화 책소개 '똘레랑스'의 메시지를 전하는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개정판. 암울한 시대에, '남민전사건'으로 귀국하지 못한 채 빠리에서 택시를 몰아야 한 저자가 1995년에 출간한 책으로, 10여 년 만에 낸 개정판이다. 본문을 전체적으로 수정하고 '똘레랑스'를 다룬 부분을 보충했으며, 빠리의 사진을 컬러로 담아 보는 즐거움도 누리게 해준다. 1995년 '똘레랑스'라는 독특한 개념을 제시하면서, 우리 사회에 진지한 성찰을 요구한 이 책은, 짙게 남아 있는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에서 살아가던 우리에게 상식적인 배려와 용인의 미덕을 진지하게 들려줬다. 그리고 가난했지만 행복한 빠리 시절의 망명기를 담담하고 솔직하게 고백함으로써 공감도 얻어냈다. 초판 출간 당시 '남민전사건'으로 프랑스에 얽매여 있던 저자는 20.. 더보기
10월의 추천도서(215) 독서교육론 - 이만수 책소개 디지털 시대에 맞는 독서법 찾는 방법을 설명한 책. 독서란 무엇이며 독서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지, 독서 운동의 필요성과 초중고에 맞는 도서관 교육방법을 소개한다. 목 차 책을 내면서 1장 독서론 1. 독서란 무엇인가 2. 디지털 시대의 책 읽기 3. 독서문화 무엇이 문제인가 4. 세종대왕의 독서론 5. 다산 정약용의 독서론 6. 형암 이덕무의 독서론 2장 독서교육론 1. 독서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2. 독서하는 교사가 아름답다. 3. 독서요법 이론 4. Book sitter 양성 5. 외국의 독서교육 3장 독서운동론 1. 왜 독서운동을 해야 하는가 2.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 3.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방안 4. 공공도서관의 독서회 5. 공공도서관의 문화 활동 4장 도서관교육론 1. 교수-학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