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월의 추천 도서 (1690) 페테르부르크 - 안드레이 벨르이 1. 책 소개 러시아의 대표적 상징주의 작가, 안드레이 벨르이 장편소설. 은유와 환유, 반복과 전위, 라이트모티브 등의 독특한 문체로 서술된 실험소설의 전형을 보여준다. 또한, 니체ㆍ베르그송ㆍ슈타이너 등 20세기 초 철학자들의 사상과 역사관이 투영되는 등 러시아 상징주의 특유의 철학적 사색이 내포되어 작품의 깊이를 더한다. 소설은 제1차 러시아 혁명 직후인 1905년 10월, 제국의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시ㆍ공간적 배경으로 하여 러시아의 사회와 역사를 기록한다. 혁명과 전쟁이라는 역사적 소용돌이 속에 휩싸여 종말을 눈앞에 두고 있는 페테르부르크를 통해 러시아 민족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를 중심 테마로 다루고 있다. 2. 저자 안드레이 벨르이 러시아의 상징주의 시인이자 소설가, 문학이론가이자 상징주의 철..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 (1689) 페스트 - 알베르 카뮈 1. 책 소개 극한의 절망 속에서도 억누를 수 없는 희망의 의지!20세기 실존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 알베르 카뮈의 소설 『페스트』. '페스트'라는 비극적인 현실 속에서 의연히 운명과 대결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린 이 작품은 20세기 문학이 남긴 기념비적인 고전으로 꼽힌다. 무서운 전염병이 휩쓴 폐쇄된 도시에서 재앙에 대응하는 사람들의 각기 다른 모습이 묘사된다. 인물들은 재앙에 대처하는 서로 다른 태도를 드러내 보인다. 그들의 모습을 통해 절망과 맞서는 것은 결국 행복에 대한 의지이며, 잔혹한 현실과 죽음 앞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는 것이야말로 이 부조리한 세상에 대한 진정한 반항임을 이야기한다. 2. 저자 저자 알베르 카뮈는 1913년 알제리 몽드비에서 출생하였다. 당시 알제리는 프랑스의 식민지 였다. 농..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 (1688) 페미니즘의 도전 - 정희진 1. 책 소개 ‘남성 언어’로 길들여진 세상에 문제를 제기하다!한국 사회 일상의 성정치학『페미니즘의 도전』. 이 책은 여성학자인 정희진이 ‘여성의 눈’으로 우리 사회를 다시 보도록 안내한 책이다. 가정폭력, 성과 섹스의 문제, 성판매 여성 문제, 군사주의 문제, 동성애 등 사회적으로 논란이 된 여러 이슈와 사건들을 재해석한다. 저자는 페미니즘은 투쟁과 쟁취가 아닌 협상과 사유, 공존과 상생의 길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여성과 장애인, 외국인 노동자, 성 판매 여성 등 오랫동안 소외당해 온 우리 사회의 ‘다른 목소리’들이 서로 경쟁하고 소통하고 공존하는 세상을 꿈꾸며, 찬성이냐 반대냐 하는 이분법적 시각을 넘어 새로운 목소리로 소통과 공존을 이야기한다. 2. 저자 저자 정희진은 여성학, 평화학 연구자. 다(..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 (1687) 페르시아인의 편지 - 몽테스키외 1. 책 소개 프랑스 계몽사상의 대표자 몽테스키외가 32세의 나이에 익명으로 발표, 일약 그를 사교계의 유명인사로 만든 서간체 풍자 소설. 프랑스를 여행하는 페르시아인의 눈을 통해 당시 우월감과 자만심에 가득 차 있던 프랑스인과 프랑스 사회를 날카롭게 풍자했으며, 동시에 이후 을 비롯한 몽테스키외의 일련의 저작에서 펼쳐지게 되는 법, 군주, 종교, 인권, 자유, 개인, 덕, 정의 등에 대한 사상의 근간들을 엿볼 수 있다. 2. 저자 지은이 몽테스키외Montesquieu(1689∼1755) 프랑스 보르도에서 1689년에 출생한 몽테스키외는 계몽사상의 대표자 중 한 사람이다. 보르도 대학에서 법학부를 졸업하고, 보르도 고등법원에서 법률고문관을 지내고 1716년에 고등법원장이 되었다. 1721년 32세에 익명..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 (1686)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사이먼 싱 1. 책 소개 350년 만에 풀린 역사상 최대의 수학 난제!!xn + yn = zn ; n이 3 이상의 정수일 때, 이 방정식을 만족하는 정수해(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 17세기 프랑스의 아마추어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가 디오판토스의 저서 《아리스메티카》에 남긴 이 한마디에 지난 350여 년간 수학자들은 혹독한 시련을 겪어야 했다. 그 누구도 이'증명'을 재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국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가 이를 증명하는데 성공하였다. 앤드루 와일즈의 소년 시절, 시골 도서관에서 이 '정리'와 처음 접하면서 그것을 증명하기로 마음 먹었고 포기하지 않았다. 마침내 그의 꿈은 40대에 실현 되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피타고라스 시대부터 ‘수학의 아름다움’에 미쳐버린 사람들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