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월의 추천도서(1957) 과로 노인 - 후지타 다카노리 1. 책 소개 오늘날 노후의 안전지대가 존재하는가?오늘날 일본 노인들의 빈곤과 열악한 노동 상황을 보여주며 노인 빈곤 문제를 적나라하게 밝혀낸 『과로노인』.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저 막연하게 저녁 없는 삶을 살면서 일하느라 포기했던 일상을 노후에는 누릴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지만 불행하게도 우리 앞에는 지금보다 더욱 가난하고, 원하지 않는 노동을 죽을 때까지 해야 하는 미래가 기다리고 있다. 경제 성장기에는 열심히 저축하면 개인의 노후는 어떻게든 해결할 수 있었지만 장기 불황과 저출산, 고령사회의 문제가 심각해지며 노후는 개인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 연금은 턱없이 부족하고 가족도 더 이상 의지가 되지 못하고 오히려 자신보다 경제적으로 힘든 자식과 손주를 부양하거나 병든 부모의 간병을 .. 더보기
7월의 추천도서(1956) 공학을 생각한다 - 헨리 페트로스키 1. 책 소개 과학에 가려진 공학의 힘! 삶을 변화시키는 것은 바로 공학이다왜 과학이 공학보다 높게 평가되는 것일까? 과학자들이 공기와 식수에 들은 미생물이 치명적인 질환을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공학자들이 여과 및 소독 기술을 개발하고서야 식수에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미국 내의 장티푸스 발생 빈도는 10분의 1로 줄어들었다. 이런 환경공학자의 업적 덕분에 삶의 질이 높아졌지만, 사람들은 이것이 과학의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공학자의 작업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나 다른 전문가와 공조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정받는 경우가 드물다. 과학적 추구는 고상하고 공학적 업적은 실용적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과학이 높게 평가되는 것이다. 과학을 위한 과학은 굳이 눈에 보이는 목표나 대상이 필요 없다. .. 더보기
7월의 추천도서(1955) 공맹사상에서 문명충돌까지 - 양창삼 1. 책 소개 경영에 관한 교양서. 경영을 국가, 사회, 그리고 문명에까지 확대하고자 하는 필자의 의도를 담아 각 주제마다의 예와 설명으로 엮었다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석사)와 동 대학원에서 경영학(석사)을 전공, 미국 서일리노이주립대학원(MBA),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연세대학교 경영학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총신대학교 대학원(M.Div., Th.M.)을 마쳤다. 현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장 및 한양대학교 디지털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며, 목사이기도 하다. 많은 기업에서 경영컨설팅 자문역을 하고 있으며, 교회성장에 관련된 혁신적 시각을 제시하는 강연활동과 이에 관련된 글을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영성회복의 신앙] [기독교교육행정][교회행정학][창세기 강해].. 더보기
7월의 추천도서(1954) 공자가 내게 인생을 물었다 - 구위안 1. 책 소개 우리 시대 가장 빛나는 멘토 사서(四書)에게 듣는 인생 명강!멘토의 시대다. 저마다 인생의 멘토를 찾고, 그들에게서 힐링을 원한다. 어쩌면 극단의 경쟁과 생계를 위한 사투에서 오는 삶의 고단함이 이런 멘토 과잉의 시대를 낳았는지도 모른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다, 내가 지금 잘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다는 일상적인 공포가 누군가의 위로와 격려를 갈망하고, 때로는 따끔한 조언을 아끼지 않는 대상을 갈구하게 된 것은 아닐까? 중국 경전은 이런 시대의 흐름 속에서 오랫동안 멘토의 역할을 담당해왔다. 너무 고루하고 시대에 뒤떨어지는 고대 문헌이 아니냐고 반문할 사람도 있겠지만, 수천 년의 시간을 건너 지금까지 사서가 읽히는 이유는 그 안에 시대를 초월하는 진리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빛바래지 .. 더보기
7월의 추천도서(1953) 공자의 인생 강의 - 신정근 1. 책 소개 공자의 물음과 고민이 녹아든 《논어》에서 인생의 길을 찾다!『공자의 인생 강의』는 2014년에 방영되어 수많은 시청자들에게 《논어》의 참맛을 알린 EBS 〈인문학 특강〉 신정근 교수의 논어 강의를 엮은 책이다. 學(학), 政(정), 恕(서), 君子(군자), 禮(예), 信(신), 人(인) 등 7개의 키워드로 공자의 삶이 담긴 고전 《논어》의 핵심을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동시에 《논어》 속 내용을 우리 삶의 문제에 적용하는 활용법을 이야기한다. 가령 다른 사람을 어떻게 대우할지를 이야기하는 ‘恕(서)’를 ‘관용의 법칙’으로 재해석하고 그것을 층간소음 문제에 적용해보는가 하면, 딱딱하고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하는 ‘禮(예)’의 참모습은 ‘마음을 전하는 합리적 약속’이라고 밝히면서 오늘날 시민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