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월의 추천도서 (4319) 당신이 모르는 진짜 농업 경제 이야기 1. 책소개    먹을 것이 넘쳐나는 미식과 먹방의 시대,우리가 모르는 농업이라는 근원의 먹거리 산업 이야기먹을 것이 넘쳐나는 미식과 먹방의 시대,우리가 모르는 농업이라는 근원의 먹거리 산업 이야기밥맛이 매해 달라지고 품종에 따라 밥물도 다르게 잡는다. 애플수박, 골드사과, 킹스베리 등 매년 새로운 과일들이 출시돼 소비자를 유혹한다. 인기 연예인들이 TV에 나와 쇠고기의 부위별 맛과 특징을 도축업자처럼 읊는다. 해외에서 접해본 낯선 식재료가 저녁 식탁에 올라온다. 먼 곳에서 온 식재료와 우리 것을 섞어 만들어 파는 식당에 긴 줄이 이어진다.유명 미식을 실시간으로 소비하는 시대이지만 음식의 유래를 거슬러 농업에 이르면 우리는 백지상태가 된다. 1970~1980년 한국의 도시 인구 90%는 농촌 출신이었다지..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4318) 김택근의 묵언 1. 책소개    “누구나 어느 순간 그의 묵언과 강렬하게 부딪힐 것이다.” 『김대중 자서전』과 『새벽: 김대중 평전』 쓴 김택근은 ‘문장의 고수’로도 불린다. 오랜 기자 활동으로 얻은 단단한 논리와 시적 정서는 수많은 독자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전해왔다. 중언부언 설명하지 않고 본질에 닿으나, 인간과 자연 앞에서 언제나 겸허한 저자의 글은 맑고 예리해 어지러운 마음을 정화한다.김택근의 글은 시대를 뛰어넘는 통찰의 기록이기도 하다. 지난 글이 바로 지금의 현실을 관통한다. 수십 년간 그의 칼럼은 혐오로 얼룩진 정치를 꾸짖고, 국가적 참사에 희생된 이들을 호명했으며, 잃어버린 시절과 자연을 노래했다. 오늘날에도 유효할 뿐 아니라 몇 번이고 곱씹고 읽게 만든다. 그래서 소설가 정지아는 “김택근의 글은 잘 벼..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4317) 광장의 문학 1. 책소개    러시아문학의 프리즘에 비춰본현대 한국의 시대사현대사를 점거한 이념과 실존의 광장에서시대 지표이자 대리 발언대로 우리 곁을 지켜온한국의 러시아문학 이야기그 정신이 20세기 한국의 지식인ㆍ민중 모두를 움직였다는 데서 러시아문학은 각별하다. 세기 초에 계몽ㆍ방랑ㆍ빈궁ㆍ민중의식ㆍ저항정신의 모습으로 찾아와 세기 후반에 사회적 격변기를 통과하면서 연민과 공감 그리고 분노와 실천으로 파문의 반경을 넓혀간 문학. 개인을 넘어 시대가 읽고 집단이 감동했다면, 지나친 표현일까.꼭 7년 전 전작에서 ‘근대’ 한국의 러시아문학 수용사를 분석했던 저자는 이번에 시야를 좀 더 ‘현대’로 끌어당긴다. 이 책은 해방 후 분단기부터 1990년대 개방기에 이르기까지 반세기 동안 한반도에서 러시아ㆍ소비에트문학이 어떻게 ..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4316) 여행하는 일본사 1. 책소개    도쿄에서 가고시마까지, 고대에서 현대까지, 먹자골목에서 박물관까지여행하며 공부하는 일본사여행하듯 알아가는 일본의 과거와 현재 가깝고도 먼 나라, 알면서도 모르는 나라. 일본에 관한 수식어다. 가장 가까이 있기에, 또한 여러모로 한국과 친숙하기에 가장 많은 한국인이 찾는 여행지이기도 하다. 휴식을 위한 여행, 관광을 위한 여행,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한 여행… 이 모든 것이 가능한 일본이지만, 여행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역사 탐구’이기도 하다.역사와 여행에 관한 글을 쓰고 강연을 하는 저자가 ‘일본 역사를 아는 가장 좋은 방법’인 여행과 ‘일본 여행을 알차게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콘셉트’인 역사를 엮어 《여행하는 일본사―도쿄에서 가고시마까지, 여행하며 공부하는 일본..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 (4315) 어두운 시대에도 도덕은 진보한다 1. 책소개    「모든 위기는 위험과더불어 사회를 개선할 기회도 품고 있다.」현대 철학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는세계적인 철학자 마르쿠스 가브리엘,우리 삶을 위한 보편적 가치를 고찰하다새로운 실재론을 추구하며, 오늘날 가장 중요한 현대 철학자로 불리는 마르쿠스 가브리엘이 이번에는 『어두운 시대에도 도덕은 진보한다』를 통해 〈새로운 도덕적 실재론(도덕적 신실재론)〉에 관해 탐구한다. 그에 따르면, 도덕은 실재하며 사실에 근거하고, 또 과학 기술 발전은 윤리에 의해 인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진리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근본적인 믿음뿐만 아니라 강력한 학제 간 협력이 필수 불가결하다.자유 민주주의의 위기부터, 만연한 인종 차별, 전 세계적 기후 재앙, 고삐 풀린 디지털화, 그리고 포퓰리즘의 확산까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