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월의 추천도서(2289) 도널드 트럼프라는 위험한 사례 - 밴디 리 1. 책 소개 트럼프는 정말로 미친 것인가, 아니면 교활하게 미친 척하는 것인가? 도널드 트럼프를 겪은 이들이 분노와 억울함을 토로한 폭로성 글이 아닌, 취임 직후부터 미국 사회 전체에서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가 된 트럼프의 정신 건강에 대해 정신 건강 전문가들이 나서서 명확하고 근거 있는 답을 제시하는 『도널드 트럼프라는 위험한 사례』. 미국정신의학회 윤리 강령 중 ‘골드워터 규칙’이 있다. 정신과 의사가 자신이 직접 대면해 검사하지 않았고 합당한 허가를 받지 않았다면, 특정 공인의 정신 건강에 관해 전문적 의견을 제시하지 말라는 내용이다. 그러나 수십 억 인구의 생사를 좌우하는 권력을 지닌 사람이 명백하게 위험한 정신장애의 징후를 보일 때, 경보를 울려야 할 상황이 수시로 벌어지는 것을 충분히 목격했으..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2288) 조선의 딸 총을 들다 - 정운현 1. 책 소개 치마를 두른 독립운동가들, 그들을 기억하라 광복 70년이 되도록 우리가 알고 있는 여성 독립운동가는 유관순 열사 한 분뿐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일제 강점기 35년 동안 시기별로, 분야별로 수많은 여성 항일투사들이 조국 광복을 위해 헌신했으나 매국노, 하면 을사오적만 떠오르듯이, 수많은 여성들이 남성 못지않게 평생을 바쳐 투쟁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는, 그리고 대한민국은 그들을 잊어버리고 있다. 『조선의 딸, 총을 들다』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독립유공자 대열에서도 푸대접을 받고 있는 여성 독립운동가 24인의 삶과 행적을 복원한 책이다. 안중근의 어머니 조마리아, 신채호의 아내 박자혜, 이봉창·윤봉길의 의거를 도운 백범 김구의 비서 이화림으로 기억되지만, 그들은 어머니나 아내이기 이..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2287) 존엄하게 산다는 것 - 게랄트 휘터 1. 책 소개 존엄을 잃은 우리 사회에 경종을 울리다! 혼란의 시대 속에 삶을 강인하게 버텨낼 용기를 전하는 『존엄하게 산다는 것』. 독일을 대표하는 지성, 저명한 신경생물학자 게랄트 휘터가 ‘삶, 품격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 앞에 필생의 연구에서 길어 올린 통찰을 담은 책이다. 2000년 네덜란드에서 최초로 존엄사를 합법화한 이후 존엄한 죽음은 세계적 화두가 되었다. 하지만 환경오염으로 인해 꿀벌이 모두 사라진 괴팅겐의 들판에 앉아 저자는 강한 의문을 제기한다. “사람들은 왜, 품위 있는 존엄한 죽음은 말하면서도 그 이전에 존엄한 삶을 이야기하지는 않는가?” 저자는 반존엄한 삶의 조건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그 가운데 길을 잃고 파멸을 향해 가고 있는 우리 삶의 면면에 대해 뇌과학자로서 깊은 우..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2286) 덴마크 자유교육 - 송순재 1. 책 소개 감리교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하고가 교수 송순재가 편저한 『위대한 평민을 가르는 덴마크 자유교육』. 19세기 중엽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덴마크 자유교육의 역사와 현황에 대해 다룬다. 아이들이 자신의 길을 스스로 찾아나가도록 도와주는 덴마크 자유교육의 현장을 둘러본 탐방기와 보고서도 수록하고 있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편저자 송순재는 감리교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교수. 고려대학교와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독일 튀빙엔대학에서 교육학, 철학, 신학을 공부했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회장 역임. 현재 한국인문사회과학회 부회장. 저서/공저로는 『유럽의 아름다운 학교와 교육개혁운동』, 『위대한 교육사상가들(VII)』, 『교사, 대안의 길을 묻다』가 있고. 편저로는 『대학입시와 교육제도의 스펙..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2285) 데카르트적 성찰 - 에드문트 후설 1. 책 소개 ‘후설 현상학’의 진면목을 밝히다! 『데카르트적 성찰』은 선험적 현상학의 창시자 후설이 자신이 주창한 현상학이 무엇인지 직접 밝힌 책이다. 당시 프랑스 철학계는 셸러와 하이데거를 통해 간접적으로 후설 현상학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반쪽짜리 현상학’이 전파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후설이 직접 프랑스로 건너가 현상학을 강연하고 프랑스어로 된 ‘강연 요약문’을 나눠주었다. 이후 몇몇 제자의 도움을 받아 요약본을 다듬어 『데카르트적 성찰』로 출간한다. 따라서 『데카르트적 성찰』은 과연 ‘후설 현상학’이 무엇인지 후설 자신이 직접 밝힌 매우 귀중한 1차 자료라 할 수 있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에드문트 후설 현상학의 창시자로 독일에서 유태인으로 태어나 할레 대학의 강사, 괴팅겐 대학의 강사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