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월의 추천도서(2571)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 1. 책소개 독일과 한반도의 파란만장한 현대사 너머 분단극복의 첫 번째 단추를 끼운 두 거인의 가장 인간적인 이야기 변방의 아웃사이더에서 헌신하는 휴머니스트로 변모해간 두 리더의 운명적인 평행이론. 독일사회민주당 출신 정치인으로, 1969년 10월부터 1974년 5월까지 독일연방공화국(서독) 총리를 지낸 빌리 브란트. 그리고 민주개혁진영 출신 정치인으로, 1998년 2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재임한 김대중. 마침내 정치인으로서 정상의 자리에 올랐지만, 사실 이들은 각각 사생아와 서자로 태어난 순간부터 자신이 속한 사회의 아웃사이더였다. 그 자리에 우뚝 서기 전까지 두 사람의 인생은 변방인의 운명을 피할 수 없었다. 30년 넘게 독일 현대사와 독일통일 연구에 매진해온 최영태 교수는 이..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2570) 일제의 한국민족말살·황국신민화 정책의 진실 1. 책소개 일본 극우파의 정치세력화, 다시 고개를 쳐든 식민지근대화론… “일제 식민지정책의 민낯을 사실 그대로 직시하고 인식해야 할 필요가 그 어느 때보다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최근 일본에서 아베정권을 위시한 극우세력이 장기집권하면서 신군국주의 패권정책 지향 추세가 드러나고 있다. 이들 극우세력은 한국 침략과 식민지 강점 수탈이 한국사회를 근대화시켜준 시혜였다는 식의 거짓된 주장을 펴고 있다. 마찬가지로 최근 2019년 국내에서도 이에 보조를 같이한 ‘식민지근대화론’이 또다시 고개를 들었고, 격렬한 사회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들은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로 ‘합병’하여 개발 근대화시켜준 것이 ‘객관적인’ 사실이었다며 일본 극우세력의 역사수정주의와 입장을 같이한다. 한편, 지난해 일본정부가 한국에 대..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2569) 사람아, 사람아 1. 책소개 “시여, 한평생 나를 이기기만 하는 시여” 71년, 시작(詩作)의 세월을 응집한 황혼의 노래 한국 시단의 원로 시인 김남조의 열아홉 번째 시집 출처:교보문고 2. 저자 저자 : 김남조 1927년 경북 대구 출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시집 『목숨』 『사랑초서』 『바람세례』 『귀중한 오늘』 등 19권과 수필집 12권, 콩트집 『아름다운 사람들』 외 편저·논문 등이 있다. 한국시인협회, 한국여성문학인회, 한국가톨릭문인회 회장 역임. 한국시인협회상, 서울시문화상, 대한민국예술원상, 3·1문화상, 만해대상, 일본지구문학상 등을 받음. 2013년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예술원회원. 출처:교보문고 3. 목차 노을 무렵의 노래 Ⅰ 내 심장 나의 아가 종소리 환한 세상 아..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2568) 데카메론 1. 책소개 동서문화사 세계문학전집 제8권 『데카메론』은 단테의 신곡에 비해 인곡(人曲) 또는 지상(地上)의 곡(曲)이라 불리는, 세계 최초의 소설로서 인간의 실태를 적나라하게 파헤친 작품으로서 1349년에 착수하여 1353년에 끝난 이 『데카메론』은 10일 동안에 전개되는 이야기 모임에서 나온 100가지 이야기와 10편의 발라드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이 암시하는 바는 ‘10일의’ 라는 것으로서, 이것은 그리스어에서 연유된 것이다. 서로서로가 독립된 작품이기는 하지만 일정한 규격 속에 질서정연하게 분류된 단편들이다. 출처:교보문고 2. 저자 저자 : 조반니 보카치오 이탈리아 문예 부흥기의 시인 겸 작가. 1313년 피렌체 부근의 체르탈도에서 보카치오 디 켈리노와 잔느라는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다. ..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2567) 바이러스 폭풍의 시대 1. 책소개 메르스, 사스, 에볼라... 치명적 신종, 변종 바이러스들의 시대! 치명적 신종, 변종 바이러스가 지배할 인류의 미래와 생존 전략 《바이러스 폭풍의 시대》. 독창적 생물학자이자 세계적인 바이러스 전문가인 네이선 울프가 밝힌 파괴적 살인 바이러스의 정체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는 전염 바이러스에 관한 새로운 접근 방식,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인류를 괴롭히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러스의 행로를 바꿀 강력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역사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인간과 바이러스 간의 관계를 밝혀내고, 근래 대유행 바이러스 전염병의 상황을 유난히 자주 맞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무엇이며, 이런 유행병들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살펴본다. 더불어 대유행 바이러스 전염병을 박멸할 수 있는 범세계적 면역체계를 만들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