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월의 추천도서(2676) 나는 자폐 아들을 둔 뇌과학자입니다 1. 책소개 “당신은 알고 있을 거 아니에요. 당신은 뇌과학자잖아요.” 뇌를 가장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아들의 뇌는 이해할 수 없었다 과학, 사랑 그리고 조금 특별한 순간이 가르쳐준 것들 “내가 이 책을 읽은 최초의 자폐인인 것 같다. 초고층 빌딩에 올라가 ‘이 책을 읽고 우리를 이해해줘!’라고 온 세상에 외치고 싶다.” _미국 아마존 독자 서평 세계적 뇌과학자 아버지 헨리 마크람과 자폐 아들 카이, 서로를 이해하기 위한 그들의 경이롭고 특별한 여정. 아들 앞에서 무력한 아버지이자 무능한 학자일 수밖에 없었던 헨리는 카이를 위해 자폐증 연구에 매달린다. 이 책은 헨리가 상처와 고통, 실패 끝에 기존의 상식을 뒤집고 마침내 새로운 진실에 도달하는 과정을 솔직하고 담담하게 그렸다. 우리는 모두 다른 세계에..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2675) 편견 1. 책소개 편견과 차별의 기원과 메커니즘을 밝힌 현대의 고전 사회심리학으로 밝힌 편견의 모든 것 인간의 마음은 왜 이토록 쉽게 편견에 물드는가? 『편견』. “그 사람들은 너무 따로 놀아요. 돈에 집착하는 것도 보기가 좀 그래.” “그 동네에 가봤어요? 더럽고 위험해서 밤에 거리를 나다닐 수가 없다니까. 저들이 들어오면 집값이 떨어질 수밖에 없지.” 남의 나라에서 끼리끼리 뭉쳐 살면서 이기적으로 군다고 비난받는 ‘그들’, 허구이거나 부풀려진 부정적 이미지에 갇혀 편견과 차별의 대상이 되는 ‘그들’은 누구인가? 나치 독일의 유대인, 미국의 흑인, 일제강점기의 재일 조선인이 ‘그들’이었고, 지금 한국 사회에선 중국 동포, 난민, 성소수자, 여성이 ‘그들’의 자리에 있다. ' 인류 역사상 편견 없는 사회, 편..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2674) 한반도 분단의 기원 1. 책소개 일본 최고의 한반도 전문가가 본 분단의 뿌리 분단의 역사를 통해 준비하는 대한민국의 내일 오늘날의 한반도를 이해하려면 분단의 역사를 바로 알아야 한다. 국제정치학계가 공인하는 일본 최고의 한반도 전문가 오코노기 마사오 교수의《한반도 분단의 기원》은 분단의 역사를 읽는 객관적이고 신선한 관점을 제공한다.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1차 자료를 풍부히 발굴하되, 단순한 역사 기술을 넘어서서 당시 한반도에 존재하던 딜레마, 즉 통일과 독립이 상충하는 상황을 지적한다. 그리고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혼란을 기회주의적으로 이용하느라 이러한 모순을 강화하고 마는 한반도 지도자들의 모습을 조명한다. 이를 통해 그는 한반도 분단이 과연 강대국만의 탓인지 우리에게 되묻는다. 한반도 분단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2673) 이승만 현대사 위대한 3년 1952~1954 1. 책소개 1954년 7월 28일, 워싱턴의 미 의회 상하 양원 합동회의. 기립박수를 포함해 서른세 차례나 박수가 쏟아진 끝에, 연설을 마친 여든 살 노신사가 연단을 내려선다. 닷새 뒤 뉴욕 브로드웨이의 유명한 ‘영웅 거리(Canyon of Heroes)’에서는 이 노신사를 위해 색종이 가루가 눈처럼 흩날리는 가운데 퍼레이드까지 벌였다. 극동 한귀퉁이, 플로리다주의 3분의 2쯤 되는 나라의 대통령이라고 했다. 연설이 있던 날은 그 나라에서 휴전협정이 맺어진 지 만 1년하고 하루 지난 날이었다. 반만년 가난 위에 전화(戰禍)까지 덮쳐 희망조차 없어 보이는 나라였다. 그런 나라를 위해 세계 최강대국 미국이 유엔을 움직여 전투병을 보내게 하고, 도무지 체급이 안 맞는 상호방위조약을 맺게 하고, 국빈으로 초청..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2672)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1. 책소개 한국 현대사 연구의 대가가 정리한 한국전쟁의 모든 것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북한과 미국 사이의 거친 설전, 남북한을 둘러싼 국내외 세력들의 대립 등으로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정국은 극단적인 대립과 애매한 평화 사이에서 요동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화의 가능성은 아직도 멀어 보이고 ‘군사 옵션’의 가능성이 끊임없이 회자되는 지금, 한반도가 전쟁에 휩싸일 것이라는 두려움 또한 커져 간다. 우리는 한반도 평화의 시계가 여전히 안개 속에 있는 이 위기의 시대를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하는 것일까. 무엇보다 이 위기의 근원은 무엇이고 앞으로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전쟁의 기억과 분단의 미래』는 전쟁의 기억을 되살리고 평화를 향한 길을 다듬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