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월의 추천도서 (3340) 스테이트 오브 테러 1. 책소개 힐러리 로댐 클린턴 × 루이즈 페니 이제껏 보지 못한 스릴러의 탄생 미국의 정치인 힐러리 로댐 클린턴과 캐나다를 대표하는 미스터리 작가 루이즈 페니가 혼란스러운 국제 정치를 무대로 한 스릴러를 발표했다. 유명 인사 두 사람의 공동 집필이라는 점만으로도 큰 주목을 받은 이 스릴러는 테러를 막고 그 배후를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드라마틱하게 펼쳐 보인다. 주인공은 50대 후반의 여성으로 취임한 지 얼마 안 된 미국 국무 장관이다. 이렇듯 클린턴을 닮은 주인공은 물론 트럼프, 푸틴, 호메이니 등을 연상시키는 등장인물들과 외교 현장의 생생한 디테일이 현실성을 높여 준다. 무자비한 테러 공격을 감행하는 바깥의 적과, 대중을 선동하고 음모를 꾸미는 내부의 적. 세계 곳곳에서 동시다발.. 더보기
4월의 추천도서 (3339) 부족함과 실패를 이기는 긍정과 도전의 길 1. 책소개 울산대 오연천 총장이 자신이 성장 고비마다 겪은 번민과 내적 성찰을 통해 대학 구성원과 청년학도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1부에는 소년에서 청년에 이르는 초등학교 후반, 중고교, 대학시절, 미래를 동경하면서 가치관의 혼돈을 겪고 장래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을 다루었다. 2부에는 공무원 재직 중 해외 유학의 기회를 활용, 진로를 바꿔 학문으로 나아가는 길, 그리고 교수로서 존재가치를 실천하려는 과정을 서술했다. 3부에는 생각지 않았던 총장의 길로 나서게 된 동기와 배경, 번민과 결심, 그리고 평교수 시절 다양한 참여 기회가 가져다 준 공적 체험을 분야별 사례로 정리했다. 사례마다 공통이익 실현을 위한 공복(公僕)의 마음가짐과 갖추어야 할 기본역량을 경험론적 시각에서 제시했다. 총장 도전의 구체적 과정.. 더보기
4월의 추천도서 (3338) 난생처음 도전하는 셰익스피어 5대 희극 1. 책소개 “왜 다시 셰익스피어인가?” 혼란의 시대, 셰익스피어에서 길을 찾다 고려대 최고 인기 명강의(최우수 강의상 17회 수상) 쉽지만 품격 있는 설명!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오징어 게임.’ 이 드라마가 폭발적인 사랑을 받은 이유는 이야기 속 펼쳐진 기훈, 상우, 일남, 새벽, 덕수, 미녀 등 다양한 군상이 그려낸 인간의 원초적인 욕망과 갈등의 모습 때문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처한 환경을 오징어 게임 속 등장인물이나 대사에 투영하며 분노하고 또 위로받았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상연된 희곡 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 셰익스피어가 죽고 40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그의 작품을 사랑하는 이유 역시, ‘오징어 게임’과 같다. 셰익스피어의 깊은 통찰을 통해 그려진 이야.. 더보기
4월의 추천도서 (3337) 난생처음 도전하는 셰익스피어 4대 비극 1. 책소개 고려대 최고 인기 명강의(최우수 강의상 17회 수상) 박용남 교수의 편안하고 재미있는 셰익스피어 4대 비극 희곡 양식으로 쓰여 읽기 여간 까다로울 뿐 아니라 원문이 초기 근대 영어로 되어 있어 영국인, 미국인에게도 어려우니 이를 번역한 글 역시 쉬울 리 없다. 또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65세 이전에는 읽어봤자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라는 말이 있듯이 삶의 깊이를 인식해야 이해가 가는 어려움도 있다. 이 한계를 극복하고 가볍고 편안하게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을 읽어보길 원하는 많은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고려대 최우수 강의상인 ‘석탑강의상’을 17차례나 수상한 ‘영미 희곡의 고수’ 박용남 교수는 쉽지만 품격 있는 설명으로 셰익스피어의 맛을 소개한다. 출처:교보문고 2. 저자 저자 : 박용남.. 더보기
4월의 추천도서 (3336) 이기적 인류의 공존 플랜 1. 책소개 “우리는 새로운 선택이 필요한 역사적 시점에 서 있다” 세계은행, IMF, 영국 중앙은행 부총재를 역임한 경제학자가 제시하는 공존의 로드맵 코로나 팬데믹은 우리 사회가 품고 있던 균열을 가시화하며 기존의 세계를 유지해온 구성원 간의 합의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드러냈다. 저소득층과 저기술 노동자, 돌봄 노동을 떠안은 여성과 자활하지 못하는 노인,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인해 한층 심각해진 환경 위기와 커져가는 국가 부채 앞에서 우리는 우리 사회의 안전망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절감했다. 우리의 안전이 얼굴조차 본 적 없는 사람들의 책임 의식에 달리고, 생존을 위해서는 서로가 서로에게 의무를 다해야 하는 이때,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모두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