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5월의 추천도서 (3353) 한없이 가까운 세계와의 포옹 1. 책소개 팬데믹 종식 이후에 우리가 진정 되찾아야 할 일상이 무엇인지 답하는 책이다. 이 책이 내놓는 답은 촉각 경험의 회복과 안전한 신체접촉 문화이다. 인도 출신 미국 이민자 가정에서 성장하며 촉각에 대한 문화 간의 차이를 경험했고, 본인 스스로가 신체접촉에 심한 거부감을 느꼈던 저자는 먼저 촉각에 대한 뿌리 깊은 오해의 문화적 맥락을 철학, 역사, 문화, 종교 등을 통해 폭넓게 검토하고, 신체접촉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탐구한다. 그 끝에 저자가 내리는 결론은 자신에게도 타인의 따뜻한 손길이 절실했다는 깨달음이다. 출처:교보문고 2. 저자 저자 : 수시마 수브라마니안 (Sushma Subramanian) 인도 출신 미국 이민자 가정에서 촉각에 대한 문화 간의 차이를 경험하며 성장했다. ..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 (3352) 세금 내는 아이들 1. 책소개 “애들아 등교했으니까 세금 내야지!” 유튜브 〈세금 내는 아이들〉 속 11년 차 초등학교 선생님이 체험하고 들려주는 돈으로 움직이는 교실 이야기 맛있는 음식을 먹거나 아플 때 치료를 받기 위해 또는 마음에 드는 물건을 사기 위해서…… 우리 일상의 모든 것이 ‘돈’과 관련이 있지만, 이상하게도 우리의 교육에서는 아이들에게 돈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말하기를 꺼리곤 합니다. 이런 사회 분위기에서 아이들은 돈의 흐름과 개념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한 채 돈에 서툰 어른으로 성장하고 말죠. 돈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세금은 어떤 것이 있는지, 신용등급은 왜 관리해야 하는지와 같은 살아가는 데 있어 너무나 중요하고 기초적인 지식을 교육 과정에서 배울 기회가 없기 때문입니다. 동화《세금 내는 아이들》은 ..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 (3351) 자녀는 왜 부모를 거부하는가 1. 책소개 최근 증가하는 부모 자식 간 관계 단절 현상에 대해 분석하고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한 책! 누구보다 가까운 부모와 자식. 이들 사이에 소리 없이 커지며 심각한 갈등을 일으키는 문제가 관계 단절이다. 가장 사랑하고 아끼던 사람에게 거절당하는 일은 부모의 삶에 있어 매우 혼란스럽고 고통스럽다. 몇 년간 자신의 딸과 관계 단절을 겪었던 심리학자인 저자는 그 고통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에, 이 걱정스러운 관계에 올바른 해답을 제시한다. 이 책은 성인이 되어 부모와 인연을 끊는 자녀들의 심리를 분석하고, 단절의 고통과 슬픔을 겪는 부모를 위로하며, 부모와 자녀 간 화해의 길을 찾아준다. 출처:교보문고 2. 저자 저자 : 조슈아 콜먼 조슈아 콜먼 박사는 가족관계, 부부관계, 자녀양육 분야의 전문가로 유..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 (3350) 나는 천재일 수 있다 1. 책소개 지금보다 똑똑해질 수 있다면 . . . 우리의 뇌는 약 860억 개의 세포들로 뒤엉켜 있다. 이들 세포가 서로 결합하고 연결되는 방식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두뇌는 수많은 세포들의 연결과 배열을 통해 작동한다. 우리는 평생 동안 뇌의 10퍼센트만 사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90퍼센트는 사용하지 않은 채로 방치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뇌세포는 한꺼번에 여러 가지 일을 수행하느라 과부하에 걸릴 정도다. 어느 하나도 빈둥거리지 않는다. 기억, 수학적 능력, 통찰, 천재성은 각각의 뇌세포들이 서로 연결 고리를 만들고 끊는 방식, 그리고 이 고리들을 이용하는 방식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뇌를 얼마나 잘 작동시키느냐에 따라 우리의 운명이 엇갈릴 수 있다. 대학교 입학시험이나 입사 및..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 (3349) 생각의 축제 1. 책소개 ‘2030 젊음에게 바치는 이어령 지성의 빛나는 향연’ - ‘우리 시대의 가장 젊은 정신’이 ‘다른 생각 다른 삶’의 젊음을 위해 유언처럼 남긴 ‘생각의 불꽃놀이’ 89세로 영면한 이어령 선생이 ‘2030 젊음’에게 남긴 유일한 유작, ‘8020 이어령 명강-생각의 축제’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1. 스스로의 삶을 선물이라고 마지막 유언으로 남긴 시대의 지성 이어령. 이 땅의 어떤 지성보다 언제 어디서나 젊음과 함께하고 젊음과 소통하고자 했던 무엇보다 젊음이 행복하기를 바랐던 ‘젊은 정신’이 2030 젊은이에게 마지막 선물로 남긴 ‘생각의 축제’ 2. 쉼 없는 말과 글의 노동으로 선과 악의 대립 이분법의 낡은 벽을 넘어 상생과 소통이라는 화해의 패러다임을 만들어내는 ‘생각의 축제’ 3. .. 더보기 이전 1 ··· 251 252 253 254 255 256 257 ··· 9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