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 1825 1기(13.3~18.2) 썸네일형 리스트형 9월의 추천 도서 (1663) 탈출기 - 최서해 1. 책 소개 1925년 3월 『조선문단(朝鮮文壇)』 6호에 발표되었다. 주인공인 ‘박’은 가족을 데리고 고향을 떠나 간도로 건너간다. 간도에 건너가면 잘 살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가지고 건너가게 되나, 간도에서도 굶주림이 반복되고 도벌(盜伐)·잡역부(雜役夫)의 일을 계속하는 가운데 그의 희망과 기대는 무너진다. 시간이 지날수록 굶주림은 계속 되었으나 개선될 희망이 없었다. 그때부터 ‘박’은 그들의 빈궁이 반복되는 이유를 생각하기 시작한다. “나는 여태까지 세상에 대하여 충실하였다. …… 내 어머니, 내 아내까지도 뼈가 부서지고 고기가 찢기더라도 충실한 노력으로써 살려고 하였다. 그러나 세상은 우리를 속였다. …… 충실한 우리를 모욕하고 멸시하고 학대하였다. …… 우리는 여태까지 속아 살았다. 포악하고 ..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 (1662) 루어투어 시앙쯔 - 라오서 1. 책 소개 이 책은 루어투어 시앙쯔라는 이름의 한 담솔한 인력거꾼의 생애를 조감한 책으로 "포레스트 검프"의 스크린처럼 중국현대사의 지울 수 없는 장면들이 스쳐간다. 당대에 미국에서 번역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을 뿐 아니라 중국현대소설사의 장편의 백미로 꼽힌다. 우리에게 너무도 친근한 정경들, 한 인간의 있는 그대로의 내면적 진실을 왜곡시키고 좌절시켜가면서 진행되는 역사의 한들을 우리는 눈물없이 읽을 수는 없다. 그러나 그것은 중국역사의 따스한 비극적 정조 속에 담긴 영원한 인간의 희망이기도 하다. 섬세한 북경사투리의 감각을 유려한 한국말로 물샐틈없이 담아낸 역자 북경의 옛시가지 지도까지 손수 그려가면서 인력거의 골목골목을 따라다니고 있다. 2. 저자 라오서 1899년 중국 베이징에서 만주 족 무인의 ..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1661) 보이지 않는 인간 - 랠프 앨리슨 1. 책 소개 '나는 누구인가'라는 실존적 고뇌에 대한 이야기!20세기 미국 흑인 소설의 고전으로 꼽히는 랠프 엘리슨의 장편소설『보이지 않는 인간』제1권. 1952년에 출간된 이래 극찬을 받으며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작품으로, 1953년 내셔널 북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작가 생전의 유일한 장편소설인 이 작품은 그동안 무시되어 온 흑인 문학을 미국 문학의 반열에 올려놓은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소설은 흑인 소년이 미국 남부에서 북부로 이어지는 긴 여정을 통해 자신이 '보이지 않는다'는 현실을 깨닫고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노예제도가 폐지되었지만 흑인에 대한 차별이 여전히 존재하던 시기에 미국 남부에서 태어난 '나'는 백인 사회에 순응하면서 끊임없이 타인들에 의해 자신의 사회적인 역할..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 (1660) 퇴근후 3시간 - 니시무라 아키라 1. 책소개 바쁜 현대인들은 야근, 긴 출퇴근 시간 등으로 여가활동을 할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이 책은 여유를 갖고 찾아보면 하루에 3시간은 얼마든지 확보할 수 있다고 말하며, 발상을 전환하면 자투리 시간 활용이 인생을 바꾸는 자원이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 책은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인생 재구축이란 관점을 통해, 퇴근 후 자신만의 3시간 확보를 위한 전략적인 시간론을 소개하며, 그 시간을 어떻게 확보하며, 자기 계발과 인생 재구축을 향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말한다. 2. 저자 지은이 니시무라 아키라 _ 西村 晃 1956년 도쿄 출생. 와세다(早稻田) 대학 제1문학부를 졸업한 뒤 NHK에 입사. 경제 캐스터, , 등을 제작. 1992년 텔레비전 도쿄로 이적. 의 편집 주임 겸 캐스터로..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 (1659) 퇴계 이황 - 최영진 1. 책 소개 고전을 쉽고 흥미진진하게 풀어쓴『e시대의 절대사상』제22권. 읽기 어려운 고전을 당대 최고 학자들의 통찰력으로 쉽게 풀어낸 고전 총서이다. 고전에 가장 정통하면서도 오랜 연구업적을 쌓은 학자들이 자신의 학문적 경험을 응축시켜 새로운 고전에의 길을 열어준다. 고전이 탄생할 수 있었던 시대적 배경, 작가의 삶, 고전에 담긴 사상을 살펴본다. 에서는 조선 성리학의 토대를 닦은 퇴계 이황의 글들을 다루고 있다. 퇴계를 비롯한 당시 조선 유학자들의 독창적인 문제의식과 사유로 진행된 '사단칠정론'과 16세게 임금에 등극한 어린 선조를 위해 퇴계가 지어 바친 소책자인「성학십도」, 선조가 등극한 해인 무진년에 퇴계가 임금에게 올린 상소문인「무진육조소」를 통해 위대한 학자이자 실천하는 정치가였던 퇴계의 사.. 더보기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