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9월의 추천 도서 (1658) 퇴계의 생애와 학문 - 이상은 1. 책소개 조선시대 한국역사와 사상에 큰 획을 그은 퇴계 이황 의 생애와 인간적 면모, 학문 사상 등을 깊이있으면서도 평이한 어조로 들려주는 책. 퇴계의 수학시기, 출 사와 은퇴, 퇴계 학문의 배경 등 9개 장으로 설명하고를 실었다. 이 책은 원래 1973년 문고판으로 처음 나온 책이다. 원래 문고판에는 〈생애와 그 인간〉, 〈학문과 사상〉 두 편만 실렸으나 증보판에는 〈사칠논변과대설·인설의 의의〉가 덧붙여졌다.문고판에 실린 두 편의 글이 인간 퇴계의 일생과 사상의 핵심을 밝힌다면,글쓴이의 대표논문인 〈사칠논변과 대설·인설의 의의〉는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전개된 사단과 칠정, 리발과 기발의 문제에 객관적으로 접근해 현대 한국철학 연구의 물꼬를 튼 논문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증보하면서 지금 독자들을 위해..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1657) 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 - 김영두 1. 책 소개 ※ 제 44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수상도서 대학자 퇴계와 젊은 학자 고봉이 주고 받은 편지에는 어떤 내용들이 담겨 있었을까? 옛 학자들의 학문에 대한 괴로움과 서로에 대한 애정 그리고 존경심이 오늘을 사는 젊은 학자를 통해 온전한 우리 말로 되살아났다. 사심 없는 영혼의 교류란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2. 저자 퇴계 이황 퇴계 이황은 도산 서당에서 성리학의 심성론을 크게 발전시킨 한국철학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의 자는 경호이며, 호는 지산 ·퇴계이다. 연산군 7년 11월 25일 경상북도 안동 도산에서 진사 이식의 여섯 아들 중 막내로 태어났다. 퇴계의 아버지는 서당을 지어 교육을 해 보려던 뜻을 펴지 못한 채, 퇴계가 태어난 지 7개월 만에 4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퇴계는 홀어머니 ..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1656) 근대로의 길 (유럽의 교훈) - 박지향 1. 책 소개 『근대로의 길』을 관통하는 주제는 근대 세계의 패권을 차지한 유럽, 그중에서도 특히 최강국인 영국이 어떻게 하여 그와 같은 눈부신 성취를 이룰 수 있었는지를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교훈을 찾아보는 것이다. 대체로 유럽이 본격적으로 세계로 팽창해 나간 16세기에서 논의가 시작되어, 정치적 측면에서 근대 정치의 기반을 이룬 자유주의, 그리고 자유주의에서 민주주의로의 이행을 통해 자유민주주의가 확립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2. 저자 저자 박지향(朴枝香)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뉴욕주립대학(스토니브룩 소재)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 프랫대학과 인하대학을 거쳐 1992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경대학과 케임브리지대학 방문교수를 ..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1655) 통치론 - 존 로크 1. 책 소개 로크의 을 우리말로 옮긴 책. 은 시기를 달리하여 쓰인 제1론과 제2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로크 당대에도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대륙에서는 주로 제2론만이 번역, 출간되었다. 제2론은 "시민정부의 참된 기원, 범위 및 그 목적에 관한 시론"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이 책에서도 로크가 서양의 근대 정치사상에 건설적으로 기여한 바를 담고 있는 제2론만을 우리말로 옮겼다. 역자 해제에서는 로크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도와준다. 2. 저자 영국 최초의 계몽철학자이자 고전적 자유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그의 주저인 에서 군주의 왕권신수설 사상을 반대하고 자연적 권리(특히 재산권)를 옹호하고,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제한적인 헌법적 통치를 주장하였다. 그는 1632년 8월 29.. 더보기
9월의 추천 도서 (1654) 통섭 - 에드워드 윌슨 1. 책 소개 사회생물학의 창시자 에드워드 윌슨의 사상을 집대성한 책. 인간의 지식이 본질적으로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는 전망을 바탕으로, 자연과학과 인문ㆍ사회과학의 연구자들이 서로 협력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인간 본성에 대한 진실한 이해와 인간 외부 세계에 대한 정확한 지식에 근거한 21세기적 지식 혁명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저자는 서구 학문의 큰 줄기에서 갈라져 나온 다양한 분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분야의 전문가들이 간과했던 지식 통합의 가능성을 찾아 명확하게 보여준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세계관에서 출발하여 현대 자연과학, 사회과학, 예술, 종교 이론에 이르기까지 지식의 대통합이라는 전망 속에서 인간의 지적 모험을 통시적, 공시적으로 아우르고 있다. 2. 저자 에드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