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8월의 추천도서 (177) 글쓰기의 영도 - 롤랑 바르트 1. 책소개 롤랑 바르트가 내놓은 최초의 평론집 . 그의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알리는 신호탄이자, 다양한 각도에서 글쓰기에 대한 심도 있는 탐색을 보여주는 책이다. 글쓰기를 언어체와 문체 사이에 있는 또 다른 형태적 현실로 규정하고 고전주의 시대 이후로 역사 및 사회와 맺는 관계로서 그것을 고찰한다. 고전주의 시대의 투명한 글쓰기에서부터 오늘날의 중립적 글쓰기까지, 글쓰기라는 개념의 생성과 변모의 과정을 사회-역사적으로 추적하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롤랑 바르트 프랑스 북부 쉐르부르 태생. 출생과 성장과정에서 다양성에 대해 열린 태도를 체득했다. 청년시절 폐결핵으로 고등사범학교 진학과 교수자격시험을 포기한 바르트는 소르본느에서 고전 문학을 전공한 후 젊은 시절 루마니아와 이집트의.. 더보기
8월의 추천도서 (176) 글로벌 시대의 경제학 - 김옥암 1. 책소개 글로벌 시대의 경제학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경제성장과 변동, 글로벌 기업가치와 주식시장, 세계는 하나의 시장, 경제사상과 정치환경에 대한 주제로 논의를 전개시켜 나간다. [예스24 제공] 2. 목차 제1장 경제성장과 변동 1. 경제변동과 성장의 개념 2. 한국경제의 구조 3. 각국의 상대적 지위변동 제2장 글로벌 기업가치와 주식시장 1. 주식시장과 기업가치 변도 2. 주식의 키포인트 3. 투자 대상의 선택 제3장 세계는 하나의 시장 1. 돈의 역사 2. 글로벌화로 국격이 없어진다? 3. 증식하는 금융경제 제4장 경제사상과 정치환경 1. 경제사상의 역사 2. 경제사상과 세계의 정치상항 찾아보기 [예스24 제공] 더보기
8월의 추천도서 (175) 근사록(近思錄) - 주희(朱熹),여조겸(呂祖謙) 공저 1. 책소개 유학 사상을 하나의 철학 체계로 완성시킨 성리학 최고의 입문서로 꼽히는 『근사록』은 중국 송나라 때의 유학자 주희와 그의 동료 여조겸이 그들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북송 시대의 대표적인 유학자 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의 저작 가운데‘학문의 요점과 일상생활에서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내용들’을 발췌하여 초학자들을 위해 편찬한 책이다. 《근사록》은 가까운 곳에서부터 인(仁)을 실천하라는 의미를 던지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선대 유학자들의 성과를 집대성하고 유학의 방향을 새롭게 전환시켜 동아시아 사상계의 큰 줄기로 자리 잡은 주희의 성리학 체계를 담고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책이라고 평가받는다. [예스24 제공] 2. 저자소개 주희 역자 : 안은수 역자 안은수는 성균관대학교 유학과와 동 .. 더보기
8월의 추천도서 (173) 역대 한국사신론 - 이기백 1. 책소개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구체적 사실들의 시대적ㆍ사회적 연결관계를 찾아 이를 체계화한 한국 역사서. 한국사의 새로운 이해, 원시공동체의 사회,성읍국가와 연맹왕국,문벌귀족의 사회, 민족국가의 태동과제국주의의 침략, 민주주의의 성장 등 17개 장으로 구성하였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이기백 이기백 평북 정주 오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한림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거쳐 한림과학원 객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등이 있다. [인터파크 도서 제공] 3. 목차 한글판 머리말 서장 한국사의 새로운 이해 제1장 원시공동체의 사회 제2장 성읍국가와 연맹왕국 제3장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의 발전 제4장 전.. 더보기
8월의 추천도서 (172) 근본 자원(상, 하) - 쥴리언 L.사이몬 1. 책 소개 이 책은 인구경제학에 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지구라는 행성에서 인구가 늘어나면 천연자원의 희소성이 증가하고 환경이 파괴된다고 주장하는 비평가들이 있다. 그러나 1969년경부터 이 분야의 연구를 수행해오는 동안에, 인구증가는 경제발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생활수준을 낮추지도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의 폭을 넓힐 수밖에 없었으며, 그 결과를 쓴 것이 이 책의 초판 1981년도이다 2. 목차 목차 저자 서문 ...5 초판의 감사의 글 ...20 신판의 감사의 글 ...23 서론. 인구와 자원문제의 실체 ...31 1부. 우리 아름다운 자원의 미래를 지향하며 1. 원재료의 희소성에 관한 놀라운 이론 ...65 2. 자원에 관한 물리적 예측이 자주 틀리는 이유 ...95 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