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 1825 1기(13.3~18.2) 썸네일형 리스트형 8월의 추천도서 (171) 근대 세계 체제론 1권 - 이수훈 1. 책소개 세계체제론의 형성과정, 자본주의 및 20세기 후반의 세계체제, 소련붕괴와 동서냉전 종식의 차원에서 살 핀 세계체제, 권력구조 등을 심도있게 분석 규명한 저술.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이수훈 이수훈 현재 한국비교사회학회 회장. 부산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공부하고, 미국 Johns Hopkins 대학에서 사회학으로 Ph.D.를 받았다. 1986년부터 현재까지 경남대에서 사회학과 국제정치경제학 강의를 해왔다. 논저 - '세계체제론', '세계체제의 인간학', '위기의 세계와 한국' 등 [인터파크 도서 제공] 3. 목차 제1부 세계체제론의 형성 제1장 윌러스타인과《근대세계체제Ⅰ》 제2장 세계체제론의 형성 제3장 이론과 방법론상의 쟁점들 제2부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전개 : 구조, 과정, 헤.. 더보기 8월의 추천도서 (170) 근대 국가에 있어서의 자유 - 라스키 1. 책소개 와 함께 라스키 초기의 다원적 국가론을 수정한 이 책은 다른 사회집단에 대한 국가의 우위성을 인정하기 시작한 시기의 대표작. 자유란 문명생활의 뿌리이며 이것이 위협받을 때 세계는 새로운 파국을 맞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자본주의를 날카롭게 비판하며 자유의 강화를 역설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H.J.라스키 H.J.라스키영국의 정치학자. 1893년 영국 맨체스터에서 출생. 20세기의 가장 뛰어난 정치학자이자 민주사회주의의 이론적.실천적 지도자. 현실 정치에 대한 진지한 접근 방법, 자유의 대한 정열과 신념, 전제와 독재에 대한 프로메테우스적 저항 정신, 서구적 민주주의 및 민주주의 기구에 대한 예리한 분석과 비판, 정치사와 정치사상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유명함. .. 더보기 8월의 추천도서 (169)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박완서 1. 책소개 소설가 박완서의 베스트셀러 소설 를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만화로 재구성됐다. 이 소설은 1930년대 개성 지방의 풍속과 훼손돼지 않은 산천의 모습, 생활상을 거쳐 1950년대로 들어서기까지의 사회상과 도시 풍속도를 실감나게 묘사한 작가의 자전적 성장소설이다. 는 우리가 잊고 지냈던 추억의 시간을 돌이키는 동시에 그 시대의 단면을 속속들이 보여준다. 이번에 출간된 만화는 원작이 갖고 있는 탄탄한 째임새와 시대적 상황을 완벽에 가까울 만큼 멋지게 재현해 놓았다. 수채화로 그려진 그림은 원작에 담겨 있는 해학과 익살을 능청스럽게 묘사한다. 예리한 통찰력을 선보이는 소설가 박완서의 원작과 서양 화가에서 만화계로 입문한 김광성의 그림이 멋드러지게 어울린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박완.. 더보기 8월의 추천도서 (168) 그림속의 그림 - 우훙 1. 책소개 중국화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가지고 중국 고대 화상석에서 10세기 남당의 인물화, 산수화와 문인화, 청대의 미인도에 이르기까지 그림속의 그림으로 떠나는 책. 중국화에 담긴 예술적 특징과 문화적 맥락을 풍부한작품사진과 함께 다루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목차 001. 서론 002. 병풍 003. '한시짜이의 밤잔치' 004. 내부공간과 외부공간 005. 안의 세계와 밖의 세계 006. 황제의 선택 007. 결론 008. 메타 회화 009. 지은이 주 010. 참고문헌 011. 그림목록 012. 옮긴이의 말 013. 인명 찾아보기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더보기 8월의 추천도서 (167) 그리스인 조르바 - 니코스 카잔차키스 1. 책소개 그리스의 대문호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소설 현대 그리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장편소설『그리스인 조르바』. 카잔차키스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작품으로, 호쾌한 자유인 조르바가 펼치는 영혼의 투쟁을 풍부한 상상력으로 그리고 있다. 주인공인 조르바는 카잔차키스가 자기 삶에 큰 영향을 끼친 사람으로 꼽는 실존 인물이다. 이 소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카잔차키스의 인생과 작품의 핵심에 있는 개념이자 그가 지향하던 궁극적인 가치인 '메토이소노', 즉 "거룩하게 되기"를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육체와 영혼, 물질과 정신의 상태 너머에 존재하는 변화이다. 이 개념에 따라 카잔차키스는 조르바라고 하는 자유인을 소설로 변화시켰다고 말한다. 이야기는 젊은 지식인.. 더보기 이전 1 ··· 329 330 331 332 333 334 335 ··· 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