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월의 추천도서 (64) 계원필경(桂苑筆耕) - 최치원 ◎ 목차 계원필경집 1권 해제 교인 계원필경집 서문 (홍석주) 교인 계원필경집 서문 (서유구) 계원필경 서문 (최치원) 계원필경집 제1권|표表 10수 계원필경집 제2권|표表 10수 계원필경집 제3권|장狀 10수 계원필경집 제4권|주장奏狀 10수 계원필경집 제5권|주장奏狀 10수 계원필경집 제6권|당장堂狀 10수 계원필경집 제7권|별지別紙 20수 계원필경집 제8권|별지別紙 20수 계원필경집 제9권|별지別紙 20수 계원필경집 제10권|별지別紙 20수 계원필경집 2권 계월필경집 제11권|격서檄書 4수|서書 수 계월필경집 제12권|위곡委曲 20수 계월필경집 제13권|거첩擧牒 25수 계월필경집 제14권|거첩擧牒 25수 계월필경집 제15권|재사齋詞 15수 계월필경집 제16권|제문祭文 4수|서書 2수|기記 2수|소疏..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 (63) 계몽의 변증법(辨證法) - 아도르노, 호르크하이머 책소개이 책이 속한 분야인문 > 철학 > 서양철학자 > 하이데거/아도르노대학교재 > 인문 > 철학인문 > 대학교재 > 철학인간은 새로운 종류의 야만성에 빠졌다!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계몽을 통해 인류가 새로운 종류의 야만 상태에 빠졌다고 진단한다. 『계몽의 변증법』은 "왜 인류가 진정으로 인간적인 상태에 진입하는 대신에 새로운 종류의 야만성에 빠져버렸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하며, 소위 신화로부터 빠져나왔다고 간주되었던 계몽이 실제로는 신화론적 계기들에 여전히 얽매여 있다는 진단을 제시한다. 그들은 계몽의 현신을 비판적인 눈으로 반성함으로써 계몽의 자기모순성 즉 계몽이 본래적 이념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나치즘을 통해 타락한 몰골을 드러낸 서구 중심적인 이성과 문명을 역사철학적 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