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6월의 추천 도서 (842) 성학집요(聖學輯要) - 이이(李珥) 1. 책소개 한국적 리더십의 원형이자 조선조 제왕학의 교본 완역본 는 한국적 리더십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는 조선조 제왕학의 교본이다. 1575년 율곡 이이는 역사서에 담긴 성현의 말씀 중 학문과 정사에 절실하게 요구되는 말을 가려 뽑은 를 완성해 임금에게 바쳤다. 성학이란 성인이 되기 위해 배우는 학문, 제왕을 성인으로 만들기 위한 제왕의 학문이라는 뜻으로, 는 성인이 되기 위한 학문 중에서도 핵심만을 모으고 간추린 책이다. 는 높은 수준에 오른 율곡의 학문적 업적과 정치개혁을 향한 강한 신념이 집대성된 저작이다. 자기자신의 완성을 가장 근본으로 보는 수기치인의 이념에 따라 구성되었으며, 특히「대학」의 팔조목의 체계를 본따 유교적 정치 이념과 도덕 이상을 집약하고자 했다. 는 제왕의 학문을 목적으로 .. 더보기 6월의 추천 도서 (841) 성학십도(聖學十道) - 이황(李滉) 1. 책소개 2. 저자소개 저자 이황 (李滉 : 1501 - 1570)은 본관은 진보(眞寶),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으로 경북 예안(禮安) 출생이다. 1523년(중종 18년)에 성균관에 입학하고, 1534년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부정자(副正子).박사(博士).호조좌랑.정언(正言) 등을 거쳐 형조좌랑으로서 승문원 교리를 겸직하였다. 1542년에 검상(檢詳)으로 충청도 암행어사로 나갔다가 사인(舍人)으로 문학(文學)교감(校勘) 등을 겸직, 장령(掌令)을 거쳐 이듬해 대사성(大司成)이 되었다. 1545년(명종 즉위) 을사사화 때 삭직되었다가 이어 사복시정(司僕寺正)이 되고 응교(應敎) 등의 벼슬을 거쳐 1552년 대사성에 재임, 1554년 형조.병조 참의에 이어 15.. 더보기 이전 1 ··· 1949 1950 1951 1952 1953 1954 1955 ··· 23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