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썸네일형 리스트형 12월의 추천 도서 (1378) 탄핵받는 '탄핵', 그 이후 - 고종석 1. 책소개 특집1 에서는 헌정사상 초유의 탄핵 사태의 배경과 의미를 3가지 측면에서 조망해 보았다. 특집2 에서는 이주노동자, 혼혈인, 언어순수주의의 문제를 다루면서 '단일함''순수주의''순혈 지향' 등 다양성의 가치와 덕목을 거스르는 우리 내부의 부정적 요소들에 시선을 돌리고 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康俊晩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준만은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이다. 전공인 커뮤니케이션학을 토대로 정치, 사회, 언론, 역사, 문화 등 분야와 경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사회를 꿰뚫어보는 안목과 통찰을 바탕으로 숱한 의제를 공론화해왔다. 2005년에 제4회.. 더보기 12월의 추천 도서 (1377) 노무현과 클린튼의 탄핵 정치학 - 안병진 1. 저자소개 2. 목차 3. 책속으로 P.5-7 P.258-261 P.282-중략 P.283-중략 P.284-285 더보기 12월의 추천 도서 (1376) 대한민국헌법 - 정종섭 12월의 추천 도서 (137 6) 대한민국헌법 - 정종섭 대한민국 헌법 개정사 대한민국헌법은 한국의 최고 기본법으로, 현재까지 9차례 개정이 이루어졌다. 제헌헌법-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로 구성된 국회(제헌국회)가 헌법기초에 착수하여 동년 7월 17일 공포. 대통령, 부통령을 국회에서 간접 선거로 선출하도록 함. 1차 개헌(1952년 발췌개헌)-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승만이 국회에서 당선될 가능성이 없음을 인정하고 장기 집권을 위해 강제력을 동원하여 헌법을 개정함.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정부안과 의원내각제를 주내용으로 하는 의외 발의안이 충돌하자 정부와 의회가 협장으로 양 개정안에서 발췌한 발췌개헌안을 만들어 공고절차도 없이 기립표결로 통과. 이렇게 야당의 개헌안과 정부의 안을 절충한데서.. 더보기 12월의 추천 도서 (1375) 대통령과 국가경영 - 김충남 [1권] 1. 책소개 『대통령과 국가경영』의 저자(김충남)는 일관된 잣대로 역대 대통령들의 장단점을 정리한 다음 총체적인 평가를 시도했다. 그리고 한국의 국가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소개함으로써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개선하려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에서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당시의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론 식민통치의 유산과 미군정 3년간을 살펴보고 이어서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차례로 각 대통령에 대한 장별로 정리했으며 각 장의 마지막 절에서는 각 대통령의 리더십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들을 제시했다. 또한 그들의 지도력으로 한국이 어떻게 살아남았으며 어떻게 현대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이승만은 어떻게 공산주의 위협으로부터 나라를 보위.. 더보기 12월의 추천 도서 (1374) 한국대통령학 & 대권 시나리오 - 채수명 1. 책소개 실전 대통령학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연구서. 정치학적 측면이 아닌 최고경영자로서의 대통령이라는 측면에서 신지식 대통령학의 이론 정립과 역대 대통령 당선 원인분석, 통치철학과 정책분석 평가, 유권자 분석을 통한 대권주자 분석, 차차기 주자 분석을 살펴보고 국가경영정책 방안을 제시한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충남 서산에서 출생하여 80년대 서울의 봄 당시 민주화 투쟁의 배후 조종 주동자로 전국 수배령을 받아 구속되어 고충을 겪었다. 단국대 대학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였고 (자)산업관계연구원 수석전문위원, (주)한서울기획본부장 겸 대표대행, 광주여대 전임강사, 정인대학 겸임교수, 한국표준협회 지도위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21세기경영연구소 소장이자 행정신문 주간.한국대통령학연.. 더보기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