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10월의 추천 도서(585) 미학 오디세이 (1,2,3) – 진중권 1.책소개 그들만의 미학을 우리의 미학으로! 유쾌한 미학자 진중권이 펼치는 ‘미’와 ‘예술’의 세계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 제1권 《 에셔와 함께 탐험하는 아름다움의 세계》. 출간 이후 미학의 대중화에 앞장선 《미학 오디세이》의 20주년 기념판으로, 독창적인 미학자 진중권의 말을 거는 듯한 특유의 문체로 철학, 정신분석학, 기호학 등 다양한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미’와 ‘예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 남다른 미적 감각을 제시한다. 고대, 중세, 근현대의 시공간적 경계를 넘나들며 에셔, 마그리트, 피라네시의 작품과 함께 예술사와 철학사를 한눈에 그림으로써, 예술 체험이 삶에 대한 철학적 성찰로 나아가는 경험을 선사한다. 1권 ‘에셔와 함께 탐험하는 아름다움의 세계’에서는 자연주의적 양식과 기하학적 양..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584) 미쳐야 미친다(조선 지식인의 내면읽기) - 정민 1.책소개 조선시대 지식인의 내면을 사로잡았던 열정과 광기를 탐색한 글. 남이 손가락질을 하든 말든, 출세에 보탬이 되든 말든, 혼자 뚜벅뚜벅 걸어가는 정신을 가졌던 이들, 이리 재고 저리 재지 않고 절망 속에서도 성실과 노력으로 일관한 삶의 태도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살펴본다. 책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미쳐야 미친다(不狂不及)'. 지은이는 18세기 지식인들이 마니아적 성향에 열광했다는 데에 주목한다.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미쳐 이룬 업적과 그 삶의 태도를 기록한다. 굶어죽고 만 천재 천문학자 김영, 과거시험 대필업자라는 조롱 속에 세상을 냉소하였던 노긍, 을 1억 1만 3천 번(지금의 숫자로는 11만번) 읽은 독서광 김득신, 어찌보면 엽기적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583) 미지의 세계로의 여행 – G.가모프 1.책소개 이 책은 물리학과 아무런 상관이 없는 톰킨스라는 은행원이 물리학의 세계에서 겪는 여러 가지 모험을 흥미롭게 소개하고 있다. 이를테면 '이상한 나라의 톰킨스'라고 할 만한 책이다. 까다로운 현대 물리학의 이론들에 대해 이보다 더 쉽고 친근하게 접근하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남경태(전문번역가) 출처 – 알라딘 2.저자소개 조지 가모브 1904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1930년 미국으로 망명한 핵물리학자이자 우주론 학자이다. 거대한 폭발로 우주가 형성되었다는 빅뱅이론의 창시자로 조지 워싱턴 대학과 콜로라도 대학의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상대성이론·우주론·양자론 등 어려운 물리학 주제를 쉽게 설명하는 과학책 저술을 통해 과학을 대중화한 최고의 과학자로 손꼽힌다. 전세계적으로 과학을 널리..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582) 미스 럼피우스 - 바버러 쿠니 1.책소개 미스 럼피우스의 인생 이야기. 대개의 처녀들이 행복한 결혼을 꿈꾸며 몸치레에만 힘썼을 테지만 미스 럼피우스는 직업을 갖고, 그것만으로도 성에 차지 않아 세상 여행을 떠납니다. 오랜 여행을 끝내고 어린 시절 꿈대로 바닷가 집에 정착한 미스 럼피우스. 어린 시절 할아버지와 약속을 지키기 위해 멋진 일을 생각해 내는데…. 는 나 혼자 살아가는 세상이 아닌, 다른 사람과 행복하게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생각만큼 모든 사람이 행복할 수 있는 일을 하기란 쉽지 않다. 이 그림책은 세상을 좀 더 아름답게 바라볼 수 있는 여유를 가르친다. 그림책의 모든 장면들은 공들여 그린 풍경화처럼 그려졌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2.저자소개 바버러 쿠니(1917~)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더보기
10월의 추천 도서(581) 미메시스 - 에리히 아우어바흐 1.책소개 오디세우스의 서사시에서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남긴 주요 작품들을 치밀하게 해석한 비평의 걸작『미메시스』. 이 책은 ‘관습이 어떻게 역사를 통하여 예술적 표현을 제약하는가, 그리고 이러한 관습은 어떠한 사회 조건에 의하여 규정되는가, 또 예술은 어떻게 이러한 것을 개조하고 새로운 표현으로 나아갈 수 있는가’라는 예술에 관한 가장 핵심적인 질문을 던진다. 아우어바흐는 이에 대한 탐구를 통해 예술의 존재 양식은 물론 사회와 예술의 관계에 대하여 날카로운 통찰력을 제시한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2.저자소개 에리히 아우어바흐 1892년에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처음 하이델베르크에서 법률 공부를 했으나 1차 세계대전에 종군한 뒤 예술사, 언어학을 공부하게 되었고 1921년에 로맨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