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국민운동 썸네일형 리스트형 5월의 추천도서(435) 로마제국 쇠망사 - 에드워드 기번 책소개 독자적인 인간관과 세계관을 보여주는 로마 역사서의 고전! 로마 제국의 역사를 최초로 개관한 역사서『로마제국 쇠망사』세트. 역사가이자 작가인 에드워드 기번이 집필준비와 출간까지 20여 년에 걸쳐 완성한 책으로, 1776년에서 1788년까지 12년 동안 모두 여섯 권으로 간행되었다. 서기 2세기부터 콘스탄티노플의 함락으로 동로마제국이 몰락한 15세기까지 1,400여 년의 시간을 생생하게 담았다. 냉정함을 유지하면서 균형잡힌 시각으로 로마제국의 쇠망 과정을 그려냈으며, 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에 대한 통찰력 있는 시선을 보여준다. 또한 로마의 쇠퇴와 몰락이라는 주제를 통해 진보의 의미에 대해서도 성찰하고 있다 저자소개 18세기 영국의 역사가.《로마제국쇠망사》는 2세기부터 1453년 콘스탄티노플의 멸망까지 ..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434) 로마인 이야기 - 시오노 나나미 책소개 로마의 쇠망을 논한 역사서나 연구서는 그야말로 바닷가의 모래알만큼 많지만, 황당무계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것들을 제외하면 그 모든 것이 다소는 옳다. 그것들을 주워 모으면 로마가 쇠망한 요인을 손쉽게 알 수 있을 정도다. 하지만 한 번뿐인 인생을 남의 업적이나 주워 모으는 작업에 소비할 마음은 나지 않았다. 그래서 마지막 다섯 권에서는 특히 '왜'보다 '어떻게' 쇠망해갔느냐에 중점을 두어 쓰기로 했다. 한 나라의 역사도 한 사람의 생애와 비슷하다. 어떤 사람을 철저히 알고 싶으면 그 사람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 평생을 더듬어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오늘날 세계 각국의 교과서는 서기 476년을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해로 명기하고 있다. 그런데 어느 교과서도, 어느 로마사 권위자도 서로마 제국이..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433) 로마 신화 - 제인 F. 가드너 책소개 로마인들의 이야기는 신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로마인 자신들의 이야기이다. 아에네아스와 로마의 운명, 로 마건국의 아버지 로물루스와 로마의 왕들, 옛 신들과 새로운 신들 등 7개 장으로 나눠 로마의 신화를 해설 형식으로 삽화와 함께 들려준다. 목차 001. 002. 아에네아스 전설의 초기 역사 003. 아에네아스 이전의 로마 004. (아에네아드)와 아우구스투스:현대화한 전설 005. 006. 로물루스,레무스와 로마 건국 007. 쌍둥이의 창조 008. 로마인을 위해 신부를 얻는 로물루스 009. 로마의 왕들 010. 다른 대안의 역사:로마의 에트루리아민 011. 012. 호라티우스와 챔피온전 013. 스카이볼라는 어떻게 손을 잃었나? 014. 코리올라누스와 로마의 포위공격 015. 016. 배신녀 ..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431) 로드 짐 - 조지프 콘래드 책소개 20세기 모더니즘의 선구자 조셉 콘래드가 한 영혼에 불어닥친 불행과 절망의 풍랑을 그린 소설. 드넓은 세계와 미지의 인생에 대한 동경에 가득찬 청년 선원 짐은 풍랑으로 일대 혼란이 빚어진 배에서 무력감으로 괴로워하다 돌연 승객을 버리고 탈출한다. 그러나 배는 침몰하지 않았고,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법적 처벌과 함께 도덕적 비난에 시달린다. 선원 자격을 박탈당한 짐은 동남아 각지를 떠돌다 어느 오지 마을에 정착, 새 삶을 꾸려간다. 그곳에서 그는 지배적 위치에 오르지만 해적 일당의 습격을 받고 자살이나 다름없는 죽음을 맞는다. 작가는 다양한 시점을 사용하고 서술 속에서 시간 순서를 전도시킴으로써 난해할 정도로 복잡하며 인격적 분열까지 보이는 현대인의 복잡한 내면을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서구 사회의 ..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429) 레비아 그라비아 - 지오수에 카르두치 5월의 추천도서(429) 레비아 그라비아 - 지오수에 카르두치 작가 설명 이탈리아의 시인이자 고전문학자로 이탈리아 문학 교수와 상원의원을 지냈고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국어의 순화, 국민 문학의 제창, 고전연구 등으로 이탈리아 근대문학의 정통적 방향을 잡았으며, 고전적 이상주의 시풍을 창조하였다. 저서에 《레비아 그라비아》 등이 있다. 토스카나주(州) 발디카스텔로 출생. 아버지는 의사이며 애국적인 정치가였다. 아버지를 따라 볼로냐(1839∼1849)·피렌체(1849∼1850) 등으로 옮겨 살았다. 스코로피학교에서 신부(神父) G.바르소티니에게 배우고, G.T.가르가니 및 E.넨초니와 교유(交遊)하였으며, 이어서 1853∼1855년 피사의 사범대학 문학부에서 공부하였다. 그는 고전문학을 애호하여 당시 전.. 더보기 이전 1 ···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