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국민운동 썸네일형 리스트형 8월의 추천 도서 (899) 수레바퀴 아래서 -헤르만 헤세(N1946 독일) 1. 책소개 을 수상한 저자의 자전소설. 슈바츠발트라는 작은 마을에 재능이 풍부한 한스 기벤라트와 헤세 자신의 모습이 담겨있는 하일러 두 소년의 이야기. 명예심과 규격화된 인물을 만들려는 교육제도에 의해 서서히 파괴되어 가는 한 인간의 모습을 신랄하게 보여준 작품이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헤르만 헤세 내면의 변화를 주제로 오랜 작품세계를 그려온 작가로 자기 탐구를 거쳐 삶의 근원적 힘을 깨닫게 되고 관조의 세계를 발견함으로써 자연과 인간을 순수하게 사랑하고 삶을 보다 깊이 이해해 나가는 모습들을 주로 그리고 있다. 1877년 남독일 뷔르템베르크의 칼프에서 출생하였다. 목사인 아버지와 신학계 집안의 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1890년 라틴어 학교에 입학하고, 이듬해에 어려운 주(州).. 더보기 8월의 추천 도서 (898) 수도원의 비망록 - 주제 사라마구(N1998 포르-) 1. 책소개 18세기 포르투갈을 배경으로 한 신비로운 러브 스토리!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주제 사라마구가 그린 신비로운 사랑 이야기『수도원의 비망록』. 최근 개봉된 영화 의 원작으로 잘 알려진 포르투갈 출신의 작가 주제 사라마구를 세계적인 반열에 올려놓은 작품이다. 18세기 마프라 수도원의 건립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발타자르와 블리문다의 마술적인 사랑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국왕 주앙 5세가 왕위를 계승할 아들을 얻지 못해 고심하던 중, 프란시스쿠 수도회 소속의 안토니우 수사가 마프라 마을에 수도원을 세우면 하느님이 자식을 허락해줄 것이라는 말을 전한다. 주앙 5세가 수도원을 약속하자 왕비는 임신을 하게 되고, 노역을 위해 농민들이 징집된다. 한편, 전쟁에서 한 손을 잃은 발타자르는 우연히 마녀의 딸 블리문.. 더보기 8월의 추천 독서 (897) 쇼펜하우어의 수상록(隨想錄 ) - 쇼펜하우어 1. 책소개 이 책은 쇼펜하우어의 철학적 에세이집인 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은 쇼펜하우어가 만년(57세)에 그의 철학의 정소를 요약하고 쉽게 해설하여 일반인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쓴 에세이 집이다. 쇼펜하우어는 당시까지 철학계와 일반인 모두로부터 그의 철학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 책은 그러한 그의 철학으로 하여금 비로소 세상의 광범위하고도 깊은 관심을 끌게한 작품이다. 이 책은 학계와 일반에 커다란 충격을 안겨 주었으며 일대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그것은 일반 철학서가 갖지 못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이 책은 13개의 에세이와 1개의 자전(自傳)으로 되어 있다. 13개의 에세이는 삶의 괴로움, 허무, 생존의지, 사랑, 교육, 죽음, 정치 등의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 더보기 8월의 추천 도서 (896) 송사삼백수(宋詞三百首) - 주조모 1. 책소개 시가로서의 문학성과 음악으로서의 실용성을 고루 갖춘, 중국 시가 문학의 황금기를 수놓은 송사(宋詞)의 정수. 『송사삼백수』는 청대(淸代)의 사학자(詞學者) 주조모가 송대의 대표적인 사작가의 작품을 골라 모은 사선집이다. 사는 악곡에 맞춰 지은 시가로, 노래의 가사 부분을 지칭하는 이름이며, 책은 송나라 때의 가요라 할 수 있는 송사의 다양한 작품과 그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다. 이 책에는 송사의 대표적 작가의 작품뿐만 아니라 기타 송대의 사단에서 활약한 작가들의 작품도 수록되어 있어, 송사의 전반적인 풍격과 변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송사는 크게 남녀의 염정을 위주로 부드럽고 아름답게 노래한 완약(婉約) 풍격과, 다양한 제재를 음률에 얽매이지 않고 웅대하게 풀어낸 호방(豪放) 풍격으로 나.. 더보기 8월의 추천 도서 (895) 송명성리학(宋明性理學) - 진래(陳來) 1. 책소개 인물로 보는 송명 성리학사. 송명시대의 대표적 사상 가 22인을 통해 그 시대의 성리학을 재구성한 연구서.주희를 주축으로 하는 성리학의 집대성과 이후의 계승, 극복과정을 보여주고 왕수인을 주축으로한 양명학의확립과 분기과정을 추적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목차 1. 이끄는 말 2. 송명성리학의 선구 3. 북송성리학의 건립과 발전 4. 남송성리학의 발전 5. 명대 중후기의 리학 6. 끝맺는 말[예스24 제공] 3. 책속으로 당대 중엽에 시작하여 북송때 안정되고 확립된 문화적 전환은, '근세화'과정의 일부분이었다. 이러한 근세화 문화 형태는 중세의 정신과 근대 공업 문명과의 중간 형태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며, 그 기본 정신은 두드러진 세속성, 합리성, 평민성이다. 송명리학 전체에 대한 .. 더보기 이전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