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썸네일형 리스트형 2월의 추천도서(363) 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놓기 - 임마누엘 칸트 책소개 난해하다는 평을 받아온 칸트의 다른 저작과는 달리, 이 책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도덕성'에서 출발해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면서 논의를 이어가고 있어 그의 도덕 철학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된다. 베를린 학술원판 을 대본으로 하고 있으며, 칸트를 전공한 이의 번역과 해제로 독자들은 좀 더 그의 사상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임마누엘 칸트 저자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는 1724년 동(東)프로이센의 항구 도시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80평생을 같은 도시에서만 살았다. 1730년에 학교 교육을 받기 시작, 1740년부터 6년간 대학에서 철학, 수학, 자연과학을 폭넓게 공부하였다. 대학 졸업 후 9년간 시 근교의 세 가정을 전전하면서 가정교..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362) 도덕의 계보(The Genealogy of Morals) - 프리드리히 니체 책소개 다락원 명저 노트 제8권 『도덕의 계보』. 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논술답안 작성과 논리 정연한 글쓰기로 고민하는 중·고생을 위한 논술대비서. 저자와 작품에 대한 배경지식, 그리고 매 CHAPTER나 SECTION 별로 ‘요점정리’와 ‘풀어보기’가 실려 있다. ‘요점정리’에는 복잡하고 난해한 원저의 내용을 명쾌하고 간략하게 정리해 놓아 그 내용을 명쾌하게 파악하도록 했다. 인간의 도덕적 판단에 대해 문제점을 제기함과 동시에 비판을 곁들이고 있으며, 세 편의 논문으로 구성된 『도덕의 계보』. 첫 번째 논문은 이른바 ‘주인 도덕’과 ‘노예 도덕’을 대비시키고 있다. 두 번째 논문인 “‘죄’, ‘양심의 가책 및 기타’”는 죄, 불량한 도의심, 그리고 기타 사항을 다룬다. 세 번째 논문인 “금욕주의적 이상..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361)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 제레미 벤담 도덕 및 입법의 제 원리 서설(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책요약 전체 18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공리의 원리(the principle of utility)와 그 근거가 되는 쾌락과 고통에 대한 사실들, 인간행위와 관련된 일반적 사실들, 그리고 그에 근거한 범죄의 유형 및 처벌에 관한 그에 견해 등으로 채워져 있다. 법의 도덕적 근거를 밝히고, 법과 도덕의 차이를 해명하고, 범죄와 처벌의 관계를 새로이 정립했다는 점에서 크나큰 법철학적 의의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윤리학적 함축도 분명하게 나타난다.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으로 압축되는 그의 윤리이론은 서구 역사상 그리스, 로마 시대 이후 처음으로 나타나는 종교에 독립된 윤리이..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360)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 앙리 베르그송 책소개 1932년 초판 발행된 프랑스 철학자의 도덕, 사회, 종 교 이론서. 사회적 질서와 자연적 질서,저항들에 대한저항, 닫힌 도덕과 열린 도덕, 문명인에 있어 원시적 정신, 하나님의 존재에 대하여, 기계적인 것과 신비적인 것 등 66편으로 나눠 윤리와 종교현상을 설명했다. 저자소개 앙리 베르그송 저자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 1859~1941)은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폴란드계 유대인 아버지와 종교적 신심이 두터운 영국인 어머니를 두고 1859년 10월 18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베르그송은 어려서부터 모든 과목에 뛰어난 성적을 보이며 각종 상을 휩쓸다시피 했고, 특히 고교 수학 경시대회에서 1등을 한 그의 문제 풀이는 이듬해 수학 잡지에 실리기도 했다. 프랑스 엘리트 집합소인 파리 고..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359) 도덕과 정치론 - 데이비드 흄 저자소개 데이비드 흄(David Hume) 영국의 철학자. 그의 인식론(認識論)은, J.로크에서 비롯된 '내재적 인식비판'의 입장과 I.뉴턴 자연학의 실험·관찰의 방법을 응용했다. 인간본성 및 그 근본법칙과 그것에 의존하는 여러 학문의 근거를 해명하는 일이었다. 홉스의 계약설을 비판하고 공리주의를 지향한다. 출처 : 네이버 1. 역사적 상황(계몽과 이성의 시대)과 흄의 생애 데카르트가 죽은 1650년부터 흄이 죽은 1776년까지의 125년 동안에 유럽의 철학적 삶은 그 강렬함과 자기확신, 생명력과 낙관주의에 있어서 전대미문의 절정에 달해 있었다. 이 1650년부터 1770년까지의 시기는 계몽시대로 알려져 있다. 계몽기대의 철학적 전망과 분위기는 유럽과 아메리카를 휩쓸었다. 미국에서는 합중국의 창건자들인 .. 더보기 이전 1 ··· 219 220 221 222 223 224 225 ··· 246 다음